-
中, 이중용도 품목 수출통제 발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중국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2-13
- 출처 : KOTRA
-
o 2.4일 中 상무부와 해관총서는 텅스텐·몰리브덴·텔루륨·비스무스·인듐 등 광물 5종을 이중용도 품목으로 분류하여 수출통제 단행
* 이중용도품목(dual-use item)은 군사 및 민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소프트웨어, 기술을 의미
- 중국은 「대외무역법」, 「수출통제법」에 근거해 수출금지 및 규제 품목과 기술을 수시로 조정
* 기존 수출통제 대상 이중용도 품목 : 흑연, 안티모니, 갈륨, 게르마늄, 희토류 등 1,026여 종
- 특히 해당 광물자원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에 주로 사용되므로 국내 공급망에 영향 발생 예상
o 중국에서 해당 품목과 관련한 제품·기술 수출 시 중국 상무부의 허가증 취득이 의무화됨.
- 삼무부의 심사기간은 45일이나, 中 정부 판단에 따라 필요시 국무원 최종심사 진행(기한 미정)
신규 수출통제 대상 품목 세부사항
(단위 : 만 톤)
품목
품목설명
용도
中 보유규묘(비율)
텅스텐
(Tungsten)
금속 중 녹는점이 가장 높고 인장강도와 내식성이 강하여 안정적인 원소
- 반도체용 소재(텅스텐파우더)
- 철강 및 특수강(탄화텅스텐) 등
- 매장 230 (52%)
- 생산 6 (81%)
몰리브덴
(Molybdenum)
용융점, 열전도율이 높으며 열팽창률이 낮은 원소
- 강철, 스테인리스강, 주철 등에 첨가 (마모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 개선)
- 매장 580 (39%)
- 생산 11 (42%)
텔루륨
(Tellurium)
금속광택을 갖는 준금속 (금속-비금속의 중간 성질)
- 주로 금속 합금 첨가 원소로 사용
- 태양광, 반도체 및 전자산업 등
- 매장 3 (9%)
- 생산 0.04 (67%)
비스무스
(Bismuth)
동, 연 등 제련의 부산물
- 철의 단조성 향상
- 무기화학 촉매, 화장품 원
- 매장 24 (65%)
- 생산 1.6 (80%)
인듐
(Indium)
아연 제련의 부산물로 생산되는 무른 금속
- LCD, 마이크로 LED 등 평판 디스플레이의 전극(투명전도막)
- 매장 3.8 (75%)
- 생산 0.6 (66%)
영향 및 시사점
o 미국의 중국 제품 10% 추가관세 부과 이후 동 조치가 발표된 바, 미중 무역장벽 문제 심화 우려
핵심 키워드
수출통제
반도체
출처: KOTRA 글로벌공급망실 자료, 광해공단 중국사무소,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무역안보관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