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 1,000억 달러 규모 광물 투자 프로젝트 발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1-23
- 출처 : KOTRA
-
o 1.15일(현지시간) 사우디는 1,000억 달러(약 146조 원) 규모의 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자국 산업의 석유 의존도 완화 및 경제 다변화를 모색
- 동 프로젝트의 세부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리튬·구리·니켈 등 핵심광물 및 희토류 원소 탐사 확대 계획을 논의
출처: CNBC(’25.01.15), 연합뉴스(’25.01.16) 등 언론보도 KOTRA 종합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1월 3주)
비철금속
주요 기업 생산실적 부진으로 동 가격↑, 中 전기차 시장 확대 등으로 니켈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1~11월
전년비(%)
1.2주
1.3주
전주비(%)
동
8,478
9,147
7.9
8,917
9,057
1.6
니켈
21,474
16,812
△21.7
15,191
15,659
3.1
아연
2,647
2,779
5.0
2,840
2,834
△0.2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o (동) 주요 구리 생산기업 생산실적 부진 및 거래소 재고량 감소세로 전기동 가격 상승압력 발생
- 칠레 Antofagasta社의 ’24년 동 생산량은 66만 4천 톤으로 품위 저하·용수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연초 수립한 생산목표치 하회
o (니켈) 中 전기차 시장 확대 및 인니 니켈 채굴 쿼터 감축에 따른 니켈 가격 상승압력 발생
철강
호주 폭우에 따른 생산 차질로 철광석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1~11월
전년비(%)
1.2주
1.3주
전주비(%)
연료탄
173.32
136.43
△21.3
117.74
116.45
△1.1
원료탄
295.71
240.90
△18.5
196.80
192.00
△2.4
철광석
119.32
109.89
△7.9
97.12
100.70
3.6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o (철광석) 호주 Pilbara 지역의 폭우로 생산 차질이 발생하며 철광석 가격 상승압력 발생방압력 발생
o (유연탄) 인도네시아 석탄 증산 기조에 따른 연료탄 가격 하방압력 발생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1월 3주)
희소금속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감산 및 유지보수로 탄산리튬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년
전년비(%)
1.1주
1.2주
전주비(%)
페로망간
1,266
1,201
△5.1
1,110
1,120
0.9
탄산리튬
35,697
12,526
△64.9
10,211
10,363
1.5
수산화리튬
37,972
11,398
△70.0
9,598
9,601
0.03
코발트
(U$/lb)
17.82
16.25
△8.8
14.47
14.00
△3.2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330,258
257,362
△21.1
224,000
227,500
1.6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78,383
55,684
△29.0
55,550
56,770
2.2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o (탄산리튬) 스포듀민 원광 가격 상승에 따른 탄산리튬 생산기업의 감산 및 유지보수 활동으로 인해 탄산리튬 가격 상승압력 발생
에너지
원유가격 ↑美 정부 신규 對러 제재, 美 원유 재고 감소 등으로 원유 가격↑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3년
’24년
전년비(U$/bbl)
1.2주
1.3주
전주비(U$/bbl)
두바이유
82.10
79.58
△2.52
76.98
83.21
6.23
브렌트유
82.17
79.86
△2.31
77.24
81.01
3.77
WTI
77.60
75.76
△1.84
74.32
78.58
4.26
* 자료원: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o (원유) ▲美 정부의 신규 對러 제재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美 원유 재고 감소 등으로 유가 상승압력 발생했으나, 中 원유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는 상기 상승압력 일부 상쇄
- 1.10일(현지시간) 러시아 주요 기업 2개사와 183척 이상의 선박 제재 등으로 인해 4개월 만에 80달러 돌파
- 1.10일(현지시간) 기준 美 상업 원유 재고는 4억 1,268만 배럴로 전주 대비 196만 배럴 감소하며 ’22.4월 이후 최저치 기록
- 中 해관총서에 따르면, ’24년 中 원유수입량은 5억 5,340만 톤으로 코로나19 기간 제외 시 20년 만에 최초로 전년 대비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