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 실리콘 및 망간 관련 제품 세이프가드 조사개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고태우
- 기업명 :
- 2024-12-30
- 출처 : KOTRA
-
o 12.17일(현지시간) EU 집행위는 망간 및 실리콘 기반 합금 원소 및 해당 제품의 역내
수입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일부 회원국의 요청에 따라 관련 조사개시
- 관련 제품은 규소·페로망간·페로실리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조사는 개시일로부터 최대
9개월 소요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12월 3주)
비철금속
中 경기지표 부진에 따른 동 가격↓, 美 전기차 지원축소 전망으로 니켈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1~11월
전년비(%)
12.2주
12.3주
전주비(%)
동
8,478
9,165
8.1
9,055
8,856
△2.2
니켈
21,474
16,940
△21.1
15,723
15,244
△3.0
아연
2,647
2,753
4.0
3,091
2,998
△3.0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o (동) 中 경기지표 부진 및 재고량 증가세 지속으로 전기동 가격 하방압력 발생
- 다만 페루 등 주요국의 동 광산 생산량 부진 전망에 따라 상기 하방압력 일부 상쇄
o (니켈)美 대통령 인수위는 IRA 관련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를 권고하는 등 美 전기차 지원축소
전망에 따른 니켈 가격 하방압력 발생
철강
中 조강생산 규제에 따른 철광석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1~11월
전년비(%)
12.2주
12.3주
전주비(%)
연료탄
173.32
136.82
△21.1
132.55
128.55
△3.0
원료탄
295.71
245.31
△17.0
204.80
202.95
△0.9
철광석
119.32
110.59
△7.3
106.36
104.25
△2.0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o (철광석) ) 中 환경규제에 따른 조강생산 제한으로 수입이 둔화되며 가격 하방압력 발생
o (유연탄) 中 석탄 증산 및 수요 부진에 따른 가격 하방압력 발생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12월 3주)
희소금속
中 기업 아프리카 광산 확보로 탄산리튬 가격↓, 美 브라질 광산 개발로 코발트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1~11월
전년비(%)
12.2주
12.3주
전주비(%)
페로망간
1,266
1,208
△4.5
1,150
1,150
-
탄산리튬
35,697
12,734
△64.3
10,464
10,397
△0.6
수산화리튬
37,972
11,631
△69.4
9,514
9,574
0.6
코발트
(U$/lb)
17.82
16.36
△8.2
15.01
14.83
△1.2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330,258
260,566
△21.1
226,700
223,500
△1.4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78,383
55,576
△29.1
57,680
56,240
△2.5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o (탄산리튬) 中 주요 리튬 생산업체가 아프리카 광산을 통해 탄산리튬 생산량을 확보하며 가격 하락세 시현
o (코발트) 美 정부의 브라질 소재 코발트 광산 개발 소식이 전해지며 가격 하락세 지속
에너지
EU 대러 제재 강화, 美 원유 재고 감소 등으로 원유 가격↑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3년
’24년
전년비(U$/bbl)
12.2주
12.3주
전주비(U$/bbl)
두바이유
82.10
79.71
△2.39
72.56
73.53
0.97
브렌트유
82.17
80.00
△2.16
73.15
73.34
0.19
WTI
77.60
75.89
△1.71
69.71
70.32
0.61
* 자료원: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o (원유) ▲EU 대러 제재 강화, ▲美 원유 재고량 감소 등으로 유가 상승압력 발생했으나, 中 경제지표
부진으로 상기 상승압력 일부 상쇄
- 12.16일(현지시간) EU는 장관급 회의를 통해 대러 제재 패키지를 최종 채택, 러시아 유조선 52척,
기업 30개사 등을 제재 대상에 추가
재정정책과 완화된 통화정책 실시를 강조하며 지급준비율 인하 및 초장기 특별국채
발행 확대 등을 언급
- 12.13일(현지시간) 美 상업 원유 재고는 전주 대비 93.4만 배럴 감소한 4억 2,101.6만 배럴로 5년
동기 평균 대비 5% 이상 낮은 수치 기록
- 12.16일(현지시간) 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中 11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3.0%로 전월 증가율 4.8%
대비 둔화했으며 시장 예상치인 4.6%를 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