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무수불산 공급망 동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중국
  • 고태우
  • 기업명 :
  • 2024-12-05
  • 출처 : KOTRA

o 무수불산 개요

- 무수불산(약칭 AHF, HS Code: 281111.9000)은 무색의 발연 액체로 산성과 흡수성이 강하고 화학 활

  성도와 유전율이 높아 불소 화학공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무수불산 산업의 가치사슬 상류는 원자재

  (농, 산성 등급 형석 분말)를 취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되며, 중류는 무수불산 제조회사, 하류에는 불소

  함유 냉매, 불소 함유 고분자 재료, 무기 불소 화합물, 불소 함유 정밀 화학 제품 등 무수불산 제품을

  활용하는 업체들이 광범위하게 포함된다.


o 수요 및 소비 동향

- 최근 반도체, 신에너지 자동차, 태양광 산업 등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이들 산업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불소 함유 무수불산의 수요도 대폭 증가하고 있다. ’20년 이후 중국의 무수불산 소비량은 지속 증가했으며,

  ’23년에는 전년 대비 22.9% 증가한 190만 5,000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19~’23년 中 무수불산 실제 소비량 (단위: 만 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35.6

112.4

142.0

155.0

190.5

[자료원] BAIIINFO


- 무수불산은 냉매, 불소 함유 고분자 재료, 불소 함유 정밀 화학 제품, 무기 불소 화합물 등 각종 불소 

  화합물의 원자재로 사용되며, 특히 냉매 물질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 중금기신국제컨설팅 자료에 따르면

  ’22년 냉매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무수불산 수요량이 중국 전체 분야별 무수불산 수요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22년 中 무수불산 분야별 사용 비중


o 무수불산 생산 동향

지속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맞춰 중국 무수불산 생산업체들도 공장 가동률을 향상시켜 무수불산 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BAIINFO에 따르면 ’22년 중국의 최대 무수불산 생산가능량은 286만 6,000톤으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으며, ’23년에는 343만 4,000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실제 무수불산

  생산량도 ’20년부터 ’23년까지 지속 증가했는데, ’23년 중국의 무수불산 생산량은 213만 9,000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19~’23년 中 무수불산 생산능력 및 실제 생산량 (단위: 만 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최대 생산능력

232.4

235.9

252.9

286.6

343.4

실제 생산량

162.5

132.2

168.1

179.7

213.9

[자료원 BIINFO]


o 무수불산 가격 동향

중국의 무수불산 월평균 가격은 지난 1년 동안(’23.9월~’24.9월) 톤당 10,000위안 전후에서 등락을 반복

  하고 있다. 특히 올해 3월 국가광산안전감독국의 「형석 광산 안전 생산을 위한 전문 정비 실시에 관한

  통지」 발표에 따라, 3월~5월 무수불산의 주 원료인 형석 분말 가격 상승이 무수불산 가격의 일시 상승을

  견인했으나, 이후 가격은 다시 하락하고 있다.


[그림 2] ’23.9월~’24.9월, 中 월평균 무수불산 가격 추이 (단위: 위안/톤)


o 무수불산 수출 동향

중국의 주요 무수불산 수출 국가 및 지역은 일본, 한국, 대만 순으로 ’22년 중국의 對⽇ 수출액은 1억

  5,729만 달러로 ’21년 대비 7.8% 증가했으나, ’23년에는 1억 2,101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23년 중국의 對韓 무수불산 수출액은 9,813만 달러로, 전년 대비

  24.1%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 ’20~’23년 中 무수불산 주요 수출국 및 지역 (단위: 천 달러)

연번

국가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

일본

106,200

145,929

157,290

121,014

2

한국

88,275

116,170

129,255

98,132

3

대만

50,457

76365

91,696

59,152

4

UAE

-

-

673

18,813

5

태국

7,038

10,279

13,913

12,371

6

브라질

5,150

8,098

12,305

11,233

7

베트남

8,646

9,339

10,356

10,278

8

싱가포르

8,007

9,735

10,402

7,575

9

인도

841

-

2,102

6,358

10

말레이시아

7,983

3,426

3,829

4,779

총계

282,597

379,342

431,822

349,706


o 무수불산 생산기업 동향

중국 무수불산 생산은 주로 저장성, 푸젠성, 장쑤성, 산둥성, 장시성, 네이멍구 등지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內

  주요 무수불산 생산업체로는 DONGYUE GROUP LIMITED, Zhejiang Sanmei Chemical Industry, Zibo

  Feiyuan Chemical, Zhejiang Juhua, Do-Fluoride New Materials 등이 있다.


o 무수불산 유통 동향

- 중국의 무수불산 유통 방식은 주로 자체 생산 판매를 병행하는 방식이며, 대리점 판매, 온라인 플랫폼

  판매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통망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무수불산 수출 시 중국의 '이중용도 물품 및

  기술 수출 허가증(Export License for Dual-use Items and Technologies of PRC)'과 '수출 화물

  통관서'를 신청하여 승인을 득해야 수출이 가능하다.

  

o 시사점

- 향후 AI, 신에너지차 등의 첨단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고순도 무수불산에 대한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용의 보편화로 리튬배터리 산업의 활황은 무수불산 수요

  확대를 지속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정보 업체 Baiinfo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은 무수불산의 생산과

  공급에서 꾸준히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 측면에서는 형석 등 관련 자원에 대한 중의 

  규제 정책으로 인해 형석 가격이 상승하면서 무수불산 가격 또한 상승했다. 이에 따라 무수불산 및

  관련 원자재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중국 생산기업의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출처: 중연망, BAIINFO, 중금기신국제컨설팅, 세관총서, 한국무역협회, Wind 등 KOTRA 상하이무역관 자료 종합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