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라오스] 미국 관세와 글로벌 경기 둔화가 라오스 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제학자들이 경고
  • 단신 속보뉴스
  • 라오스
  • 비엔티안무역관 Aibounthawee VANHNATHUM
  • 2025-07-03
  • 출처 : KOTRA

미국 관세와 글로벌 경기 둔화가 라오스 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제학자들이 경고

 

*경제학자들은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글로벌 경제 침체가 2025년과 2026 라오스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 국가 경제 사회 과학 연구소(National Economic and Social Science Institute) 따르면, 수요 감소, 외국 직접 투자(FDI), 관광객 방문 감소—특히 중국, 태국, 베트남, 유럽 연합(EU) 주요 파트너 국가들로부터의 감소—가 라오스 경제 성장에 타격을 것으로 예상됨.

*2024 라오스의 주요 3 무역 파트너인 태국, 중국,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수출의 82.4% 차지했으며, 이는 US$81 7,600 달러에 달함. 국가들은 라오스의 주요 투자국이자 관광객 공급원임.

*IMF 글로벌 성장률이 2024 3.2%에서 2025 2.8%, 2026 3.0% 하락할 것으로 전망. 미국은 라오스 상품에 최대 48%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무역 적자 규모가 US$762 달러를 초과했다고 밝힘. 그러나 라오스 정부 자료에 따르면 무역 흑자는 US$42백만이며, 미국으로의 수출은 US$283.8백만, 수입은 US$241.6백만임.

*라오스의 주요 미국 수출품은 가구, 조명기구, 전자제품, 화학제품, 의류, 신발이며, 주요 수입품은 목재, 기계, 동물 사료, 차량.

*미국과의 양자 무역은 라오스 수출의 2.9%만을 차지하지만, 글로벌 관세 변화의 광범위한 영향은 상당할 있음. 라오스 경제학자들은 수요 감소와 수출 주문 감소로 인해 2024 4.3%에서 2025 3.9%, 2026 4.0% 국가 GDP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현재 시행 중인 90 관세 유예 조치는 7 9일에 만료될 예정이며, 협상이 진행 .

자료원: 비엔티안 타임즈( 2025.07.02 )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