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로아티아] 건설업 연 15% 이상 성장, 인력 부족은 심각
- 단신 속보뉴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윤태웅
- 2025-02-26
- 출처 : KOTRA
-
연간 8,000~9,000명의 노동력 추가 필요, 자재 가격 급등으로 어려움 겪어
□ [크로아티아] 건설업 연 15% 이상 성장, 인력 부족은 심각
ㅇ 크로아티아 건설업, 연 15% 이상 성장하며 활황 지속
- 물리계획·건설·국유재산부, 건설업 연간 6% 신규 인력 필요
- 연간 8,000~9,000명의 노동력이 추가로 필요
- 지진 복구 프로젝트에서 인력 부족이 특히 두드러짐
ㅇ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 문제 해결 필요
- 공공 입찰에서도 건설업체 선정이 어려운 상황, 비용 초과 문제 발생
- 주요 교역국 경기 침체가 크로아티아 경제 및 건설업에 미칠 영향 우려
ㅇ 정부의 건설업 주요 정책 4D 전략 발표
- 인구정책 → 2030년까지 국가 주택정책 계획 발표 예정
- 탈탄소화 → 에너지 자립 및 탄소 배출 저감 정책 추진
- 디지털화 → 물리계획 및 데이터 디지털 처리 강화
- 핵심 법안 개정 → 건설법, 물리계획법, 건물 에너지 효율법 개정
ㅇ Luka Burilović HGK(상공회의소) 회장
- 외국인 노동력 의존에서 벗어나 국내 노동력을 확보하는 방안 논의 필요
- EU 기금 활용 극대화 강조
ㅇ 건설업 경기 호조 지속 전망
- Mirjana Čagalj HGK 부회장, 건설업 주요 지표 15~30% 증가, 지속적인 성장 유지 필요
- 업계 관계자들,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유통 단계에서의 가격 상승 문제 해결 요구
- Branislav Brizar(ING-GRAD), "자재 공급은 원활하지만 높은 가격 유지 문제 해결해야"
□ [크로아티아] 건설 자재 가격 최대 100% 급등…정부, 가격 제한 검토
ㅇ 건설업계, 인력 부족 외에도 자재 가격 급등으로 어려움 겪어
- 시멘트, 유리 등 주요 자재 가격 지속 상승
- 코로나19 팬데믹 및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가격 하락 없이 고공 행진
ㅇ 정부, 건설 자재 가격 제한 방안 검토 중
- 브랑코 바치치 건설부 장관 “자재 가격 상승 억제 조치 가능성 검토 중”
- 부동산 가격 상승 방지 차원에서 정책적 개입 논의
ㅇ 업계 현황 및 도전 과제
- 연간 8~9천 명 노동력 부족 문제 지속
- 민간 투자 위축으로 추가 성장 동력 확보 필요
- 현재 건설업 성장률 15~30% 유지, 지속적인 정책 지원 필요
- 유럽 일부 국가에서 건설 경기 둔화 조짐 보여…크로아티아도 영향 받을 가능성
*기사원문 링크
- Construction Sector - Growth and Labor Shortages (2025.02.25)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