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크로아티아] 미국의 새로운 관세, 기업의 비즈니스 및 수출에 심각한 위협
  • 단신 속보뉴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윤태웅
  • 2025-01-23
  • 출처 : KOTRA

관세 도입 시 가격 조정 불가피, 매출 감소 우려

□ 미국의 새로운 관세, 크로아티아 기업의 비즈니스 및 수출에 심각한 위협

   ㅇ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관세 도입을 위한 각서를 이미 서명

       - 유럽연합(EU)에 대한 조사는 4월까지 진행되며, 미국산 석유 및 가스 구매 확대 요구

       - 관세 도입 시 독일에서만 30만 개의 일자리 상실 우려

       -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협상 의지 표명

       - EU는 관세 도입에 대한 대응 전략 준비 중이며, 미국과의 협력을 강조

   ㅇ 미국과 EU의 무역 불균형

       - 2023년 미국의 EU 무역적자는 1,558억 유로

       - 독일은 미국으로의 최대 수출국이며, 자동차 및 기계류가 주요 수출 품목

   ㅇ 크로아티아의 무역 현황

       - 2023년 미국으로의 수출: 9억 100만 달러, 수입: 12억 달러로 무역적자 상태

       - 주요 수입품: 에너지 제품(4억 7,000만 달러), 광물 및 광석(2억 6,600만 달러), 화학 제품(5,400만 달러)

       - 주요 수출품: 화학 제품(3억 4,900만 달러), 기계류(1억 900만 달러), 전기제품(1억 달러)

  ㅇ 기업별 대응 방안

      - HS Produkt(방산): 미국 시장이 주력, 관세 도입 시 가격 조정 불가피, 매출 감소 우려

      - Končar(변압기): 미국 시장 수출액 740만 유로(전체 매출의 1%), 고압 변압기 공급 계약 수행 중

      - CircuitMess(교육용 STEM장난감): Walmart를 통해 판매 중, 관세 도입 시 심각한 타격 예상

      - 일부 가구 제조업체: 특정 고객층을 대상으로 가격 인상으로 대응 계획


□ 미국의 관세 부과, 글로벌 무역 흐름에 큰 변화 예상

  ㅇ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발표된 관세 정책, 글로벌 무역 흐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 제기

      -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 미국이 관세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향후 8년간 연평균 2.9%의 무역 성장 예상

      - 그러나 중국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와의 무역 강화로 기존 무역 경로 변화 전망

      - 기업들은 공급망 민첩성을 높이고 지정학적 변화에 대응할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

  ㅇ BCG, 60/25/20 시나리오(중국산 제품 60%, 캐나다·멕시코산 25%, 기타 국가산 20% 관세)를 분석

      - 중국산 수입품에 60% 관세 부과 시 미국 수입 비용이 610억 달러 증가 예상

      - 자동차 부품 및 완성차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분야로, EU, 멕시코, 일본과의 무역에 타격 전망

      - 소비자 전자제품, 전기 기기 및 패션·액세서리 분야에서 중국이 가장 큰 영향 받을 것으로 예상

  ㅇ 크로아티아 기업의 대응 방안

      - 지역 및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대비할 조직 역량 구축 필요

      - 무역 보호주의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며, EU의 대응 전략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 

      - 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공급망 단축(glocalization) 개념 강화, 경쟁력 확보 필요

  ㅇ 미국의 중국 의존도 축소 및 글로벌 사우스와의 무역 강화

      - 미국, 멕시코, 캐나다(USMCA) 간 무역 증대 기대, 2033년까지 연간 4% 성장률로 3,150억 달러 도달 전망

      - 중국은 글로벌 사우스와의 무역 확대, 2033년까지 1.25조 달러 증가 예상

  ㅇ EU의 경쟁력 강화 노력

      - 에너지 안보와 규제 변화로 전통적 무역 관계 재검토

      - 향후 10년간 중국 및 러시아와의 무역 정체 전망, 특히 러시아와의 무역은 1,060억 달러 감소 예상

      - 미국과의 연간 무역 규모는 3,030억 달러 도달 전망

  ㅇ ASEAN 국가 및 인도의 부상

      - ASEAN(브루나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무역 성장 전망

      - ASEAN과 중국 간 무역 연평균 5.6% 성장 예상, 2033년까지 5,580억 달러 도달 전망

      - 인도는 연평균 6.4%의 무역 성장 예상, 2033년까지 연간 1.8조 달러 수준 전망


기사원문 링크

Tariffs - By introducing tariffs, the US could tectonically change the flows of global trade (2025.01.23)

U.S. Customs - A Blow to Croatian Companies (2025.01.22)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