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로아티아] 여전히 성장 중, 2025년에도 강세 예상
- 단신 속보뉴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윤태웅
- 2024-12-31
- 출처 : KOTRA
-
2024년 성장률 3.6%까지 예상, 2025년에는 2.7% ~ 3.3% 예상
□ 크로아티아 여전히 성장 중, 2025년에도 강세 예상
ㅇ 2024년 성장률은 3.6%까지 예상, 2025년에는 2.7%에서 3.3%로 예상
- EU 자금과 임금 상승에 따른 국내 수요 증가가 주요 원인
- 블랙 프라이데이에 약 8300만 유로 소비, 전년 대비 약 8% 증가한 수치
- 소비자 낙관주의가 GDP 성장에 기여
- 개인 소비와 유럽 자금이 수출 수요 감소와 글로벌 지리정치적 위험의 영향을 완화
ㅇ 2025년 GDP 성장률은 2.7%로 둔화 예상
- 유로존 경제 상황이 크로아티아에 영향을 미칠 것
- 수출 경쟁력 악화 예상
- PMI 지수가 50포인트 이하로 하락
ㅇ 임금 성장 및 재정 지출 증가
- 최저 임금 15.4% 인상, 공공 부문 임금 58% 증가
- 공공 투자와 임금 증가로 인한 국내 수요 강세
- 2025년 GDP 수준의 고용 성장 예상
- 예산 적자 발생 예상
ㅇ 예산 지출 확대
- 유럽 자금으로 인한 투자가 성장의 강력한 엔진이 될 것
- 2025년에도 2~3%의 GDP 적자 유지 예상
- 신용 등급 유지 및 OECD 가입 지원 목표
ㅇ 수출 수요의 위험 요소
- EU 및 주요 교역국의 성장 전망이 불확실
-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와 독일의 구조적 문제
- 관광 산업에도 부정적 영향 예상
ㅇ 미국 관세의 부정적 영향
- 유로존 상품 수출에 대한 관세 도입의 직접적 영향은 GDP의 약 0.3%에 해당
- 독일 등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강한 국가들이 더 큰 타격 예상
- 생산 과정의 분배 고려 필요
- 간접적 영향으로 고용 감소와 투자 결정에 부정적 영향 예상
ㅇ 지리정치적 위험
- 독일 경제 회복이 중요하지만 불확실
- 미국 무역 정책 변화가 무역 흐름에 큰 영향 미칠 수 있음
- 크로아티아는 직접적 영향은 없지만 주요 교역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ㅇ 임금 성장 둔화 예상
- ECB 금리 인하로 크로아티아 금리 인하 예상
- 법인 대상 금리 인하가 민간 투자에 긍정적 영향
- 2025년 임금 성장 둔화 예상
- 실질 성장은 유지되고 평균 인플레이션 하락 예상
- 소득 과세 조정으로 일부 임금 인상 예상
ㅇ 개인 소비와 투자가 성장의 주요 동력
- 가처분 소득 증가로 개인 소비 증가 예상
- 유럽 자금 유입과 건설 부문이 투자 지원
ㅇ 실업률 5% 이하로 감소 예상
- EU 자금 유입으로 인한 투자 증가가 크로아티아 경제에 긍정적 영향 미칠 것이라 언급
- 2024~2028년 생산성 성장률이 CEE 평균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
-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개발, 혁신 투자 필요
-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되어야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
ㅇ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경제 성장에 위험 요소
- 외국인 노동자 유입으로 노동력 부족을 보완
- 기술 발전이 지연되고 교육 시스템 개혁이 필요
- 크로아티아 경제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
- 글로벌 지리정치적 환경과 에너지 위기가 하방 위험 요소
- 중장기적으로 인구 감소와 낮은 생산성이 주요 도전 과제
□ 크로아티아, 여전히 경제 성장 최상위권 유지…관광이 주요 리스크 요인 될 수도
ㅇ 크로아티아 경제, 2025년 3.3% 성장 전망
- 국내 수요, EU 기금 흡수, 민간 투자 증가가 성장 동력
- 관광 부문, 독일 경제 둔화 및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 받을 가능성
- 유니크레딧 발표, 2025년 중유럽 및 동유럽 지역 성장률은 2~3%, 2026년 성장률 2.9%로 가속화 예상
- 독일과의 경제 연계도가 14%로 체코(20%), 폴란드(17%)보다 낮으나 관광 의존도가 높아 위험에 취약
- 자그레브 은행 분석, 민간 투자 증가가 기대되며, 5월 지방선거로 인해 공공 투자도 증가 전망
- 크로아티아 정부, 여전히 연료 및 에너지 가격 규제 유지 중이며, 2025년 해제 시 물가 상승 영향 예상
- 인플레이션 4%까지 상승 가능성 있음, 이후 점진적 하락 전망
- 소기업 및 중소기업(SME) 부문이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 담당, GDP 기여도 대기업보다 높음
- 유니크레딧, 2025년 '유니크레딧 포 CEE' 프로그램 통해 90억 유로의 금융 지원 제공 계획
- 디지털화된 금융 접근성 확대 및 중소기업을 위한 자문 서비스 강화
- 크로아티아 경제 성장 유지 위해 지속적인 금융 지원 및 혁신 촉진 필요
*기사원문 링크
- Croatia still among the best in terms of economic growth, the main risk could be felt by tourism (2025.01.14)
- Croatia is still flying. So let's spend while there is! (2024.12.31)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