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기고] 말레이시아의 코로나19 관련 의료산업 동향 및 향후 전망
  • 외부전문가 기고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박지호
  • 2020-11-23
  • 출처 : KOTRA

김성은 법인장 (주) 인바디 아시아법인




말레이시아 의료기기 시장

 

2018년 기준 말레이시아 의료기기 시장은 24억7000만 달러(약 2조5000억 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중 수입 시장은 약 7억2500만 달러(약 8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1위 수입국은 미국(24.6%)이고 차례로 싱가포르(17.3%), 독일(10.8%), 일본(9.9%), 중국(7.9%), 벨기에(3%) 그리고 한국(2.6%)이다. 2017년 대비 의료기기 수입이 25% 증가했고 현재의 낙후된 시설 및 부족한 공급을 고려할 때 수입 규모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발효된 의료기기법(Medical Device Act 2012 (Act 737, Act 738))에 의해 말레이시아로 제조, 수입, 유통되는 모든 의료기기는 주무관청인 말레이시아 의료기기청(Malaysia Medical Device Authority)에 등록돼야 하며, 수입업체 또한 기관 라이선스(EL: Establishment License)를 취득해야 한다. 외국 제조사의 경우 지정 대리인(Authorized Representative)를 선임해야 하며 이 지정대리인이 의료기기 등록, 시판 후 조사, 결함 보고, 유통기록 등의 의무를 지고 수입 및 유통이 가능하다. 의료기기는 위험도에 따라 Class A-D로 분류되며, 신청 및 등록 제반 비용은 약 US$ 25~5000이고 현지 컨설팅 업체를 선임하는 경우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

 

말레이시아가 가성비에 민감한 국가이기는 하나 의료 설비에 있어서는 브랜드 및 현지 서비스를 깊이 고려하는 편이다. 특히 정부병원일수록 최고급 사양을 갖춘 제품을 선호하며, 주요 사립병원 체인들도 최신 이미징 장비 등 최고급 제품을 설치해 설비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주변 동남아 국가들에 비해 의료기기 관리에 대한 규제가 비교적 발달돼 있으며, 의료기기의 경우 매년 제조사로부터 캘리브레이션 및 전기안전테스트를 실시해야 하므로 현지 서비스 응대 여부가 중요하다.

 

말레이시아 의료 서비스 시스템

 

말레이시아는 공공의료 서비스 분야와 민간의료 서비스 분야로 나뉘어져 있으며, 2019년 공공의료 서비스 예산은 287억 링깃 (약 7조7000억 원) 규모이며 전체 국가 예산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37%인 108억 링깃(약 2조9000억 원)은 의료기기·의약품 구입 및 공공의료시설의 개발, 유지, 업그레이드에 배정돼 있다.

 

2018년 기준으로 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MOH) 산하에 144개의 국립병원, 210개의 사립병원으로 총 354개의 병원이 존재하며 국방부(Ministry of Defence, MOD) 소속 5개의 군 병원과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MOE) 소속 5개의 국립대학병원이 있다. 사립병원은 Parkway Pantai Group, KPJ Group, Columbia Asia Group 등 주요 사립 병원 체인이 과반 수 이상을 구성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KPJ는 지역 소재 2, 3차 병원들을 지속적으로 그룹 산하로 편입하며 공격적으로 병원 수를 확장하고 있다. 1차 의료기관으로는 MOH 소속 정부 클리닉 1090개, 민간 클리닉 7718개가 존재한다. 병상 수는 공공 4만 2424개, 민간 1만 5957개이다.


구분

정부 기관

민간 기관

병원 수

154

210

클리닉 수

1,090

7,718

병상 수

42,424

15,957

의료지출(2019)

약 7조 원

약 6.7조 원

GDP대비 의료지출(2019)

2.2%

2.1%

 

말레이시아의 공공의료 서비스는 영국 식민지 시기 시스템의 기초가 형성돼 유럽식 의료시스템을 따르고 있으며, 정부의 보조금을 통해 전 국민이 1-3차 시설 입원 및 수술비 포함 상당히 저렴한 금액으로 전 국민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노인의 경우 추가로 50% 할인된 가격에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수요에 비해 부족한 시설 및 공급으로 인해 중·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사립의료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이 경우 사립 의료보험을 통해 비용을 커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용주가 피고용주들의 사립 의료보험을 가입하고 이를 통해 비용을 일부 부담하며, SOCSO(Social Security Organization)에 가입돼 있으면 SOCSO 산하 클리닉을 이용할 수도 있다.  2019년 기준 공공, 민간 의료지출은 각각 7조 원과 6조7000억 원이며, 총 GDP 대비 4.24%이다. 민간 의료지출 중 77%는 개인이 비용을 부담하고 20%는 사설 의료보험이나 회사로부터 지불되는 형태이다.

 

말레이시아의 코로나19 관련 의료산업 동향

 

말레이시아는 코로나 확산 초기인 3월부터 적극적인 이동통제령(Movement Control Order)를 시행해 초기 확진자 수를 일일 10명대로 비교적 잘 유지했으나 9월 교도소 집단 감염 및 사바주 지방선거발 감염으로 인해 11월 현재 시점으로 일일 확진자가 천여 명을 넘어서서 12월 6일까지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조건적 이동통제령(Conditional Movement Control Order)이 다시 발효됐다.

 

약 80명대의 환자가 ICU 시설에서 치료받고 있으며, 그중 31명이 인공호흡기를 사용 중인 상태이나 유럽이나 미국과 같이 의료 시스템 마비와 같은 현상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기존 예산들이 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예산으로 많이 변경되면서 현지 의료기기 및 의약품 납품 업체들의 공급 계약이 많이 축소되거나 변동된 상황이다. 이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상대적으로 긴급도가 떨어지는 의료기기 및 소모품에 대한 구입은 예산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어 이를 감안한 현지 영업 및 제안이 필요하다.

 

특히 의료관광에 의존하고 있던 많은 사립병원 및 민간 클리닉들의 수입이 크게 감소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의료관광산업은 주변 인접 국가들에 비해 저렴한 의료비용과 비교적 높은 의료 서비스 품질, 영어·중국어가 가능한 환경 및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 힘입어 매년 크게 발전하고 있는 산업이다. 특히 페낭, 조호, 동부 해안 지역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대만, 호주 및 유럽권 의료관광객들이 해당 지역 병원 및 클리닉 검진 의료 서비스 수입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의료관광객이 급감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말레이시아 정부가 정부의 허가를 거친 의료관광객은 입국해 의료시설에서 직접 격리를 진행하고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작년 의료관광산업 수입이 연간 약 16억7000만 링깃(약 4600억 원) (2019) 규모였으나 올해는 2020년은 75% 감소한 5억 링깃(약 1400억 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 2021년 정부 예산 및 의료산업에의 영향


더 안타까운 것은 현재 발의된 내년도 정부예산(Budget 2021)에서 의료 관련 예산이 크게 삭감됐다. 보건복지부 전체 예산은 전년대비 4%로 소폭 증가한 319억 링깃(약 8조6000억 원)이나 의료 예산은 작년 142억 링깃(약 3조8000억 원)에서 113억 링깃(약 3조400억 원)으로 약 20퍼센트 감소했으며, 의료 서비스의 각 분야별 예산의 경우 비전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s, NCDs)들에 대한 예산이 크게 삭감됐고 약 74%까지 예산이 삭감된 분야도 있다(신장내과). 동남아시아 지역 중 비만율 1위인 말레이시아는 이와 연관된 심혈관질환, 당뇨 등 성인병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고 2019년 현지 통계에 따르면 연간 약 9조 원에 가까운 비용이 비전염성질환에 사용되고 있는 만큼 코로나 상황을 차치하더라도 관련 예산 삭감에 대해 현지 의료계에서도 큰 우려를 표하고 있다.

 

external_image

 

다만 내년 예산안에서 의료관광에 대한 세금 면제 혜택을 2022년까지 연장하면서 심각하게 타격을 입은 의료관광산업을 부양하고자 하는 노력은 긍정적이다. 현재 말레이시아의 민간 의료 기업 중 외국인 환자에게 민간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얻은 소득에 대해서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해당 기업은 소득세 면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돼 있다.

  · 매 평가연도에서 민간 의료 서비스를 받은 총 환자 중 최소 10%는 의료관광객일 경우

  · 매 평가연도에서 해당 민간 의료기업의 총 수입 중 최소 10%가 의료관광객으로부터 발생한 경우

 

소득세 면제는 의료 서비스 수출에서 파생되는 법정 소득의 70%까지 제공되며, 원래 이 혜택은 2020년 말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추가적으로 2년 연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관광산업은 검진과 필수적으로 연관돼 있고 이에 의료기기 및 체외진단 관련 산업은 혜택을 받는 산업군으로 분류돼 향후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며 의료관광산업이 회복됨에 따라 한국산 의료기기 업체들도 기회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되는 향후 유망 시장

 

현지 의료기기 및 진단 관련 시장은 GE, Abbott와 같은 대기업들이 주로 주도하고 있고 저가 시장은 중국산, 동남아산 제품들이 포진하면서 브랜딩으로나 가격적으로나 현지 시장에 어필이 어려웠으나 코로나를 성공적으로 응대한 한국 자체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국산 제품에도 기회가 찾아오고 있는 것이 체감된다. 특히 한국산 진단키트는 지금 현재로써도 각광받고 있는 수입 물품으로 내년까지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현지 의료 시스템은 아직 상당 부분 수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자의료 시스템(Electrical Medical Record System)이 주변 국가인 태국이나 싱가폴 등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다. 의료정보 디지털화에 대해 아직 병원 차원에서 큰 필요와 긴급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2014년부터 보건복지부 주도로 전자차트화 전환을 위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전자화를 장려하고 있으나 아직 일부 사립병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들은 아직도 도입하지 않고 있으며, 도입하더라도 기본적인 기능에 그치는 수준이다. 디지털화에 대해 데이터 통합·연동·자동화 등 현지 시스템들이 제대로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니즈가 있기에 이 부분을 공략할 수 있다면 향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외에도 건강 자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웰니스 및 질병 예방 시장, 개인적으로 집에서 건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 건강기능식품 등 건강과 관련된 소비재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코웨이, 쿠쿠 등의 활약으로 현지에서 한국산 소비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최근 애터미와 같은 기업 또한 성공적으로 진출한 상황으로, 건강관련 산업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진출 및 성공이 기대된다.



※ 이 원고는 외부 글로벌 지역전문가가 작성한 정보로 KOTRA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기고] 말레이시아의 코로나19 관련 의료산업 동향 및 향후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