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트디부아르 건축 박람회(ARCHIBAT 2025)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윤하림
- 2025-05-12
- 출처 : KOTRA
-
전시참가업체 약 130개 사, 전시회 방문객은 1만5000명 이상으로 서아프리카 최대 건축 박람회로 자리 잡아
건축과 도시 재생을 주제로 서아프리카 지역의 지속 가능한 건축과 인프라 개발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장 마련
2025년 4월 11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된 제10회 코트디부아르 건축 박람회(ARCHIBAT 2025)는 서아프리카 최고의 건축·건설 산업 전시회로 도시 경관을 혁신적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플랫폼을 제공했다. 이번 전시회는 '건축과 도시 재생'이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서아프리카 지역의 지속 가능한 건축과 인프라 개발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장이 됐다.
<전시회 기본 정보>
로고
행사명
ARCHIBAT 2025
개최 기간
2025.4.11.~15.
개최 장소
Parc des expositions d’Abidjan
전시 분야
건축 자재 및 구조물, 인테리어 마감재, 건설 장비 및 기계,
HVAC 및 설비 시스템, 스마트홈 관련 자재 등
주최 기관
Axe Marketing, Ordre des architectes de Cote d’Ivoire
개최 규모
약 10개 국, 129개 사 참여
홈페이지
https://archibat.ci
[자료: ARCHIBAT 홈페이지]
올해 전시회는 다음과 같이 4개의 분야로 구성됐다.
1) 시공(Construction): 구조재, 건설 장비, 시공 솔루션
2) 내부 마감(Interior Finishing): 바닥재, 벽재, 천장재, 도장 솔루션
3) 가구 배치(Furniture Arrangement) : 주거 및 상업용 가구, 인테리어 디자인
4) 생활-인테리어(Living & Interior) : 스마트홈 솔루션, 생활 편의 시스템
주요 행사 프로그램으로는 코트디부아르 최고의 장인 대회(도색, 타일, 전기 등 분야별 우수 장인 시상), 아비장(Abidjan) 및 그랑바쌈(Grand-Bassam)의 상징적인 기반 시설 투어, AGORA 공간(건축가 및 업계 관계자 간의 교류와 네트워킹 장소), 가장 아름다운 부스(Stand) 경연대회 등이 개최됐다.
<전시회 현장 모습>
[자료: KOTRA 아비장 무역관 촬영]
코트디부아르 무역산업부 장관 술레이만 디아라수바(Dr. Souleymane Diarrassouba)는 전시회 개막식 연설에서 이번 전시회가 유럽 등 세계 각국 기업들이 전시부스로 참가하고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전시 방문객들이 오는 코트디부아르의 국제적인 행사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또한, 전시회 폐막 선언을 한 코트디부아르 건설, 주택 및 도시 계획부 필립 판고(Philippe Pango) 특별 고문은 도시 환경 및 문화유산을 보존하면서 기능적인 주택을 설계하고 공급하는 기술이 가능해진 바, 해당 전시회에 참여한 전시참가업체들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제11회 ARCHIBAT 2027은 2027년 11월로 예정돼 있다고 발표했다.
주요 전시 참가기업 동향
현재 코트디부아르는 높은 전기 요금에 직면하며 에너지 관련 부스에 많은 방문객들이 관심을 가졌다. 에너지 효율 분야의 전시업체인 Smart Energy 회사는 Smart Control이라는 솔루션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KOTRA 아비장 무역관은 해당 기업과의 인터뷰를 통해 에너지 효율 관련 기술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Q1: SMART ENERGY 회사 소개 및 Smart Control 기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A1: Smart Energy는 코트디부아르 전력회사(CIE: Compagnie Ivoirienne d'Electricite)와 ERANOVE 그룹의 자회사이며 전문가, 제조업체, 그리고 각 가정이 희망하는 에너지 성능 수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희 회사는 각 고객의 특정 요구에 맞는 맞춤형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mart Control이라는 솔루션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든 전기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Q2: Smart Control을 통해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까?
A2: 해당 솔루션을 이용하면 가전제품 작동으로 인한 자원 낭비(대기 모드 포함)를 제거해 전기 요금을 크게 절감시켜 줍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소비량을 모니터링하고 전력 소모가 많은 가전제품을 식별해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Q3: 설치는 얼마나 복잡하며, 어떤 지원을 제공하십니까?
A3: 저희 제품의 핵심은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다는 것입니다. 기존 설치 환경에 대한 큰 공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술자들이 고객의 필요에 따라 최대 11개의 장비로 구성된 키트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초기 평가부터 애플리케이션 교육까지 지원하며, 필요한 경우 유지보수 및 교체를 보장하기 위해 아비장(Abidjan)에 기반을 둔 A/S를 제공합니다.
<SMART CONTROL의 시범판>
[자료: KOTRA 아비장 무역관 촬영]
서아프리카 건축 및 건축자재 시장 동향
서아프리카는 도시화, 인프라 투자 확대, 그리고 경제 성장에 힘입어 건축 및 건축자재 시장이 급성장 중이다. 특히 코트디부아르는 아비장을 중심으로 도시 재생과 인프라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6W research 자료에 따르면 2025년부터 2031년까지 코트디부아르 건축 시장은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며, 특히 건축자재 시장은 2025~2029년 연평균 성장률이 약 15%일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효율,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며, 스마트홈 및 에너지 관리시스템과 같은 에너지 절감 솔루션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세계은행 통계에 따르면 2024~2026년 코트디부아르 경제성장률은 6.5%로 예상되며 이는 아프리카 지역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이러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지속 가능한 인프라 개발 및 도시 재생 사업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바, 건축 및 건축자재 시장은 민간 및 공공부문 모두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판단된다.
시사점
한국 기업들은 서아프리카의 급성장하는 건설 시장에서 에너지 효율 솔루션, 스마트홈 기술, 친환경 건축자재 등의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ARCHIBAT 2025와 같은 전시회를 활용해 현지 네트워크 구축과 시장 수요 파악을 병행한다면, 성공적인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지 파트너 구축, 맞춤형 제품 개발, 그리고 장기적 관점의 시장 접근이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코트디부아르 건설시장에 관심 있는 한국기업의 경우, 현지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현지 시장의 진입장벽을 완화시킬 수 있고, 코트디부아르의 전력 시장과 인프라 수준에 맞춘 제품 현지화, 환경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제품 및 기술로 현지 정부 정책과 부합하는 제품을 수출한다면 성공적으로 수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ARCHIBAT 공식 홈페이지, 세계은행, 6W Research, SMART ENERGY 인터뷰, Fraternite-Matin 및 KOTRA 아비장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코트디부아르 건축 박람회(ARCHIBAT 2025)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이집트, 외환위기 이후 교역량 증가, 수출 보다 수입이 늘어
이집트 2025-05-12
-
2
베트남 CAFE SHOW & TEA SHOW 2025 참관기
베트남 2025-05-12
-
3
일본 돌봄 복지 의료 간호 종합 전시회 'Barrier Free 2025' 참관기
일본 2025-05-12
-
4
일본 도쿄 ‘K-J Startup Alliance’ 출범 행사 개최기...한일 스타트업 협력 새 출발
일본 2025-05-12
-
5
2025 제26회 중국 환경 박람회 현장 리포트 : '변화'와 '불변'으로 들여다본 중국 환경산업
중국 2025-05-12
-
6
한국-멕시코 파트너십 20주년…2025 한-멕 미래 협력 포럼 열려
멕시코 2025-05-12
-
1
2024년 코트디부아르 산업 개관
코트디부아르 2024-08-07
-
2
코트디부아르 기타 산업_제조업 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3
코트디부아르 금융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4
코트디부아르 농업 등 1차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5-31
-
5
코트디부아르 소매유통산업 정보
코트디부아르 2021-05-28
-
6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 및 시사점
코트디부아르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