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동북지역 흑연 생산업체 인터뷰
  • 현장·인터뷰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2-03-24
  • 출처 : KOTRA

2차전지 음극재 필수 원재료인 흑연 생산업체 방문

흑연 대중국 의존도 매우 높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공급망 다변화 필요

최근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원활한 원자재 공급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졌다. 흑연은 전기차 배터리에 핵심부품인 음극재의 필수원료로 현재 한국의 대중국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품목이다.

 

<중국 음극재 출고량 및 연간 성장률>

(단위: 만 톤, %)

[자료: EVTank]

 

KOTRA 다롄 무역관은 올해 초 다롄 좡허시 소재 흑연생산업체 홍광리튬유한회사(Dalian Hongguang Lithium Co.,Ltd.)를 방문했다. 홍광리튬유한회사는 2013년 다롄시 좡허시 화위앤커우() 경제구에 설립한 흑연 제조기업으로 회사 등록 자본금 7000만 위안(한화 약 136억 원), 종업원수 56명인 중소기업이다. 주요 경영범위로는 흑연의 생산/가공/판매 및 리튬배터리의 흑연 음극재 개발 등이다.

 

<업체 인터뷰 사진>

[자료: KOTRA 다롄 무역관]

 

Q1. 회사에 대해 간략히 소개 부탁드린다.

A1. 홍광리튬유한회사는 리튬배터리 음극재료를 생산하는 업체이며 생산품목을 흑연 분자에 따라 동력형, 용량형, 배율형, 노말형으로 나누었다. 주로 중국 동북 헤이룽장성 다칭 및 푸순에서 원재료를 구매해 단둥 공장에서 흑연화 작업을 거쳐 다롄 공장에서 완성품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연생산량 기준 단둥 공장에서 2000, 다롄 공장에서 3000톤을 생산하고 있다.

 

Q2. 업체의 주요 생산품목과 거래처에 대해 말씀 부탁드린다.

A2. 현재 당사가 생산하는 흑연은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으로 나뉜다. 인조흑연은 석유화학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코크스 등으로 추출하는 방식이고 천연흑연은 광산 채굴을 통해 조달되는데 현재 중국에서는 인조흑연 수요가 천연흑연 수요보다 많다*. 우리 업체의 경우 올해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을 각각 5000, 2000톤씩 생산할 예정이며 천연흑연의 생산비중은 점차 줄이는 중이다당사는 단둥에도 생산기지를 갖고 있는데단둥 공장에서는 흑연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현재 단둥 공장에서 흑연화한 제품을 다롄 공장으로 들여와 인조흑연으로 가공하고 있다. 내수수출비중은 내수 90%, 수출 10%이다. 내수로는 주로 동펑자동차와 같은 전기차업체나 에너지 저장 관련 업체에 판매하고 있다.

인조흑연의 저장용량은 크고 순환이 빠르나 천연흑연에 비해 덜 안정적이다. 안정성을 중시하는 많은 일본 업체가 천연흑연을 선호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반면 중국은 인조흑연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크다. 한국은 인조흑연과 천연흑연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 2018년 기준 중국의 천연흑연 시장침투율은 24%였고 인조흑연 시장침투율은 69%였다.

 

<음극재 흑연 유형별 비중>

(단위: %)

[자료: GGII, 궈타이쥔안(泰君安)증권연구소]

 

Q3. 최근 흑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향후 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는가?

A3. 현재 중국을 비롯해 전 세계 흑연 시장은 판매자 우위 시장이다. 이는 ① 현재 2차전지 시장 호황에 따른 수요 문제, ② 코로나19로 인한 원재료의 글로벌 물류난, ③ 작년 중국이 발표한 탄소중립정책에 따른 석탄* 공급부족 문제 등에 기인한다. 작년 8월에서 10월까지는 전력난으로 인해 공장 가동 중단 사태까지 벌어졌었다. 전기로 사용이 필수인 흑연 생산공장에는 치명적이다우리는 자체적으로 이러한 추세가 2022년은 물론 향후 3~5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중국 내에서도 흑연 가격은 20203월 이후로 현재까지 계속 오르고 있다. 중국에서 흑연의 경우 매주 월요일마다 새로운 가격이 발표된다. 과거 1톤당 1250위안 하던 것이 현재(20221월 기준)1톤당 6700위안까지 상승했으며 올해에는 1톤당 8000위안을 넘길 것으로 보고 있다.

  *: 인조흑연을 만들기 위해서는 석유코크스, 석탄코크스 등을 전기로에서 고온으로 흑연화시켜야 한다.

 

시사점 및 전망

 

최근 10년간 전기자동차 산업과 2차전지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다. SNE리서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차전지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0461억 달러에서 20303517억 달러로 향후 10년간 7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차전지 음극재의 필수 원재료인 흑연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IEA(국제에너지기구)는 에너지 저장에 필요한 광물 소요량 전체를 100이라고 가정할 때 흑연 비중이 53.8%에 이른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2차전지 제조에 있어 특히 중국은 흑연 채굴 및 제련에 있어 절대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Benchmark Mineral Intelligence)에 따르면 흑연의 채굴 및 제련에 있어 전 세계의 대중국 의존도는 각각 65%, 95% 이상이다.


2021년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59.5% 증가해 354만5000대를 기록했고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2022년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이 500만 대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흑연을 주요 소재로 하는 배터리 음극재에 대한 중국 국내 수요도 그에 따라 지속 상승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BTR 등 중국 주요 흑연 생산기업들의 증산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나 대부분 올해 하반기 이후 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산둥 등 흑연 산지 생산과 물류 장애가 상반기 중에 국지적으로 계속 발생하여 공급 측면의 리스크가 상존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향후 안정적인 흑연 원재료 조달과 제련을 위해서는 중국 흑연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흑연 관련 공급망 다변화가 필요하다.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폐배터리 음극재의 흑연을 재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자료: EVTank, GGII(高工产业研究院), 궈타이쥔안(泰君安) 증권연구소, SNE리서치,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 국제에너지기구(IEA),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동북지역 흑연 생산업체 인터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