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UAE,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 투자진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16-11-08
  • 출처 : KOTRA

- 산업 개발, 인구 증가 등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

- 각종 프로젝트 지속 기대에 따른 주요 전력기자재 수출 기회 늘어나 -

 



□ UAE 전력시장 구조 및 설비 현황


  ㅇ UAE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는 UAE 연방정부 차원의 전력, 담수, 지하자원의 생산 및 공급 등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기관임.


  ㅇ 7개의 에미리트로 이루어진 연방국가 특성상, 에미리트별로 독자적인 발전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독자적 수전력청이 전력시장을 관리 및 운영함.

    - 아부다비와 기타 북부 에미리트(아즈만, 라스알카이마, 푸자이라, 움알콰인)는 아부다비 수전력청(ADWEA)이, 두바이는 두바이 수전력청(DEWA)이, 샤르자에는 샤르자 수전력청(SEWA)이 관할 기관임.


  ㅇ 2013년 기준, UAE에서 운영 중인 발전소는 총 40개이며, 이중 28곳이 전력과 수력발전 시설을 함께 운영하고 있음.

    - 아부다비 수전력청이 가장 많은 발전소(45%)를 보유하고 있으며, 뒤이어 두바이(28%), 샤르자(15%), 연방(12%) 순임.

 

에미리트별 운영 발전소 현황

                                                                                                                                    (단위: 개)


전력발전소

전력발전 및 담수시설 공동 운영

합계

ADWEA

5

13

18

DEWA

4

7

11

SEWA

2

4

6

FEWA

1

4

5

합계

12

28

40

주: 2013년 기준 자료(입수 가능 최신 통계)

자료원: UAE 통계청

 

  ㅇ 에너지부에 따르면, 2013년 기준 UAE 전력설비의 발전방식은 복합사이클터빈(가스와 스팀) 71%, 가스터빈 21.7%, 스팀터빈 7%, 디젤엔진과 태양에너지가 각각 0.1%와 0.2%로 나타남.

    - 복합사이클터빈 또한 가스를 주원료로 하는 방식임을 감안했을 때, 에미리트의 에너지 발전은 거의 대부분을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늘어나는 전력 소비에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ㅇ UAE의 경제발전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전력의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계속되는 산업 개발로 전력 수요는 계속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임.

    - 2016년에는 118.8TWh로 집계되는 UAE 전력소비량이 2018년 133.4TWh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1인당 전력소비량 또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UAE 연도별 전력소비량 현황 및 전망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력소비량(TWh)

96.9

103.9

111.4

118.8

126.3

133.4

전력소비량 증감률

(전년대비)

3.9

7.3

7.2

6.7

6.3

5.6

1인당 전력소비량(KWh)

10,367.9

11,003.3

11,629.6

12,176.2

12,679.0

13,097.9

주: * 추정치, ** 전망치

자료원: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ㅇ 특히, 두바이가 2020년 엑스포 개최를 확정, 2016~2019년 사이 엑스포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전력소비량이 급증할 것으로 보여 관련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가 증가할 전망

    - 이에 2015년 한국의 대UAE 수출금액 기준 상위를 기록한 밸브, 디젤발전기, 열교환기 등 주요 전력기자재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임.


□ 밸브(HS Code 848180)


  ㅇ (시장 동향) 2015년에는 저유가의 장기화로 인해 석유·가스 산업에서의 신규 프로젝트의 수는 감소했으나, 부동산 개발, 인프라 개발 등의 건설프로젝트가 계속되고 있어 밸브의 수요는 꾸준할 전망

    - 밸브의 주요 수요처는 발전·담수를 비롯, 부동산 개발, 석유·가스, 펌프산업 등으로 다양함. 


  ㅇ (밸브 수입규모 및 동향) 2014년 밸브의 수입규모는 13억7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21.3% 증가함.

    - 주요 수입대상국을 살펴보면 한국을 포함한 중국, 이탈리아, 미국, 싱가포르 등이 상위권에 올랐음.

    - 2014년 수입대상국 1위는 중국으로 총액의 15.8%인 2억 달러가량을 수출, 한국은 2013년 대비 1.5% 감소한 1억 달러를 수출, 점유율 7.9%를 기록함.


  ㅇ (시장 선점 브랜드) UAE에 진출한 유명 밸브 브랜드로는 KTM(미국), Orbit(미국), Pegler(영국), Klinger(호주), Baelz(독일) 등이 있음.


□ 디젤발전기(HS Code 850213)


  ㅇ (시장 동향) 시장조사기관인 Frost & Sullivan는 GCC 디젤발전기(15-2000kVA) 시장규모를 2011년 5억3660만 달러에서 2018년 9억504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 특히 UAE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대적인 투자를 감행하고 있어 디젤발전기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함.

    - 저유가로 인해 GCC 석유·가스 프로젝트가 주춤하고 있는 반면, 인프라 구축 및 상업, 리테일 부분에 대한 프로젝트 발주는 계속되고 있어 디젤발전기의 시장 전망은 밝음.


  ㅇ (디젤발전기 수입규모 및 동향) 2014년 디젤발전기 수입규모는 5억8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10.6% 수입규모가 감소함.

    - 주요 수입대상국을 살펴보면 영국, 미국, 오스트리아, 독일 등의 유럽국가가 상위권에 올랐음.

    - 특히 2014년 수입대상국 1위를 차지한 영국은 2013년 대비 16.5% 감소한 2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44.4%를 차지하고 있음.

    - 한국은 2014년 1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수입대상국 7위에 올랐으며, 점유율은 2.3%로 미미한 수준이나 2013년 대비 837%의 성장을 기록함. 


  ㅇ (시장 선점 브랜드) 디젤발전기의 주요 공급국은 미국과 유럽이며, 주요 진출업체는 JCB(영국), Himoinsa(스페인), Atlas Copco(스웨덴), Caterpillar(미국), Cummins(미국) 등이 있음.


□ 열교환기(HS Code 841950)


  ㅇ (시장 동향) UAE 열교환기는 주로 정유 공장, 화학 공장, 석유화학 공장, 천연가스 공정 과정, 발전소, 에어컨, 냉동 및 난방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됨.

    - 지난 10년간 석유가스 산업 및 HVAC 기타 제반 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UAE의 열교환기 시장은 상당한 성장을 기록했으나, 최근 이어진 저유가의 영향으로 수요 증가폭이 둔화 추세 


  ㅇ (열교환기 수입규모 및 동향) 2014년 열교환기의 수입규모는 2억400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70.2% 증가함.

    - 최대 수입대상국은 미국으로 2014년 7300만 달러를 기록, 2013년 대비 36.6% 증가

    - 한국은 2014년 6400만 달러를 수출해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약 300% 증가한 수치임. 미국, 한국 외에는 프랑스, 브라질, 독일이 상위권을 기록했으며, 브라질은 2014년 17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순위권에 진입함.


  ㅇ (시장 선점 브랜드) UAE 열교환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는 스웨덴, 독일, 영국 등의 유럽국가이며 중국 등의 수입량은 적은 편임.

    - 한국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기타 아시아산 국가산 제품에 비해 시장 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유럽산 제품에 대한 로열티를 갖고 있는 수요처들이 상당수 존재함.


□ 시사점 및 전망


  ㅇ 밸브, 디젤발전기, 열교환기 등 주요 전력기자재는 주로 프로젝트를 시공하는 기업인 EPC를 통해 판매되고 있음.

    - UAE 유통구조상 제조업체에서 직접 EPC기업으로의 납품은 불가능하며, 에이전트를 통해서 EPC기업 혹은 최종수요처로 납품

    - 반면, EPC기업으로 전력기자재 납품을 하려면 프로젝트 발주처(예: 두바이 수전력청, 아부다비 수전력청 등)에 벤더 등록이 돼 있어야 함. 


  ㅇ 특히 전력기자재의 경우, 제품 구매 시 가격이나 품질은 물론 A/S와 부품조달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어 적절한 사후관리 지원이 가능한 에이전트와의 거래가 시장 개척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의 경우, 에이전트 선정 시 이러한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UAE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전력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