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자흐스탄 제조업 현황 및 투자 가능성
  • 투자진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홍태의
  • 2015-05-15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제조업 현황 및 투자 가능성

 

 

 

□ 카자흐스탄의 제조업 현황

 

 ○ 카자흐스탄은 대표적인 제조기반 부족 가로, 석유·가스 등의 자원 수출을 국가의 주 소득원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 제조업 분야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따라서 현재 카자흐스탄 전체 수입 중 많은 부분을 제조업과 관련된 제품들이 차지하고 있음

     

카자흐스탄 수입 10대 품목 현황

                                                                                                (단위: %)

HS Code

물품

2012

2013

2014

84

기계

19.81

19.31

20.8

85

전기 기계

11.15

9.17

10.48

87

자동차

7.51

9.04

9.6

73

철/철강 제품

10.4

9.76

5.97

30

의약품

4.2

4.6

4.58

39

플라스틱

3.33

3.33

3.39

90

광섬유

2.89

3.24

3.28

88

항공기, 우주선

1.22

1.43

3.04

64

신발류

1.08

1.65

2.28

86

철도

5.08

3.11

2.15

자료원: WTA

 

 ○ 카자흐스탄의 제조업의 총 생산량은 2014년 (1~9월) 전년대비 0.3% 감소했으며 주요 하락 분야는 ‘금속가공’분야로 전년대비 -3.2%를 기록했으며, 이에 비해 2014년 부가가치액은 전년대비 (1~6월) 제조업 전 분야에서 90% 이상의 증가율을 보임.

 

카자흐스탄 제조업 부가가치액 현황

자료원: 카자흐스탄 산업개발연구소

 

카자흐스탄 2008년 대비 제조업 생산량 현황

자료원: 카자흐스탄 산업개발연구소

 

 ○ 외국인의 제조업분야 직접투자는 전체적으로 감소 추세이기는 하나 전체 투자분야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4년(1~9월) 제조업분야 외국인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했음. 또한 제조업 내 세부 항목 중 가장 많은 투자액을 유치하는 분야는 ‘기본 금속 및 조립 금속 제품 생산’ 분야이며 2014년(1~9월) 기준 전체 제조업 투자액의 약 76.9%를 차지함.

 

□ 카자흐스탄의 제조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2015년 3월 10일 카자흐스탄 엔지니어링 협회 임원인 파벨 베크레미쉐프는 카자흐스탄 제조업에 대한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언급했음.

  - 카자흐스탄의 전체 인구는 약 1700만 명으로 이에 따른 국내시장의 적은 수용력

  - 빈약한 제조업 기반

  - 카자흐스탄 내 제조업과 관련된 전문 인력 부족과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

  - 자국제품 사용과 관련한 법률 등의 국가차원의 제조업 활성화 정책의 부진

 

 ○ 또한, 국가의 각종 규제가 제대로 준수되지 않는 것도 한 가지 원인으로 들 수 있음. 2015년 3월 아슬란 마미트베코프 카자흐스탄 농업부장관은 카자흐스탄 식품안전회의를 통해 러시아 우유분말을 수입해 카자흐스탄시장에서 ‘진짜 우유‘로 둔갑 제조해 판매한 점을 예로 꼽음. 유제품 가공과 관련된 규정에서 우유분말을 사용한 제품에는 이에 대한 표기가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음에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규제를 정상적으로 준수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힘.

 

 ○ 카자흐스탄 엔지니어링협회 임원인 파벨 베크레미쉐프는 카자흐스탄내의 부족한 제조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언급함. 국가 차원에서 자국 제품에 대한 구매를 늘려야 하며 국가 정책으로 자국제품 이용을 강력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카자흐스탄 내에서 타 산업과의 연계 발전 가능성이 높은 석유화학 및 농업과 관련된 설비 제조와 관련된 분야에 투자 필요

 

□ 제조업 성장을 위한 정부의 노력

 

 ○ 카자흐스탄은 석유, 가스 등의 자원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를 다변화 하기위해 '2011~2015년 카자흐스탄 경제개발전략'을 시행 중이며 각종 제조업 관련 프로젝트를 시행 중임. 또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2008년 대비 제조업 생산량 증가율이 광산업 생산량의 증가율을 앞서기 시작함.

 

카자흐스탄 제조업·광산업 생산량 증가율

 

자료원: 카자흐스탄 산업개발연구소

 

  카자흐스탄의 국내 제조업 및 자국 제품의 공급과 수요를 활성화를 위한 국가차원에서의 ‘MADE IN KAZAKHSTAN' 캠페인을 전 지역적으로 개최하며 제조산업에 대한 정부 투자, 국산제품 박람회 개최 등과 마트 또는 상점 등에 해당 캠페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음.

 

 ○ 현재 카자흐스탄은 중국과의 산업 교류를 통한 국내 제조업 활성화를 위해 중국의 제조업체들을 카자흐스탄으로 이전시키기로 합의했으며, 중국의 리커창 총리는 현재 카자흐스탄 내에 유리 공장·시멘트 공장 및 농산물 가공 공장 등의 제조업 산업 분야의 공장 건설을 위한 준비를 마침. 이에 카자흐스탄 카림 마시모프 총리는 비에너지 부문 생산시설 이전, 중국의 10개 제조업 기업에 대한 10억 달러 투자에 관한 회담을 진행한다고 하는 등 국가 대 국가 간의 산업교류를 통해 부족한 카자흐스탄의 제조업을 개발하려고 시도하고 있음.

 

□ 시사점

 

 ○ 카자흐스탄의 산업 부분 중 제조업 분야가 부족하기는 하나 몇 년전부터 지속되는 정부 프로젝트 및 정책들로 인해 현재 제조업 분야의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이에 한국도 카자흐스탄 제조업 진출과 관련해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이나 접근이 필요하다고 예상됨. 하지만 아직 충분치 않은 카자흐스탄 제조업에 대한 지원, 인프라 및 수요에 대해 부족한 부분이 많은 만큼 투자진출을 위해서는 철저한 조사가 필요할 것임.

 

 

자료원: 카자흐스탄 산업개발연구소, 카자흐스탄 주요언론, http://invest.gov.kz/, 카자흐스탄 통계청,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제조업 현황 및 투자 가능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