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한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국토와 약 7,007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음□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6%의 역성장을 기록하였으나, 2022년 하반기부터 관광업 회복, 민간소비 증가, 공공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2022년 경제성장률은 2%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3년에도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태국의 연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018~2021년 중 1% 미만으로 억제되어 왔으나, 2022년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국제유가 등 물가 상승으로 인해 14년 만의 최고치인 6%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됨 □ 2023년 5월 총선을 앞두고 쁘라윳 짠오차 총리가 출마 의사를 밝혔으나 소속당인 팔랑쁘라차랏당에서 총리 후보로 선출될 확률이 낮자 달당 후 신규 출범한 루엄타이쌍찻당에 입당하는 등 정당 간 긴장감 및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음 □ 태국은 아세안 자유무역협정의 중심 국가이며, 양자 및 다자간 FTA 협정을 체결하는 등 무역 확대에 적극적임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Ÿ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한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국토와 7,007만 명의 인구를 보유 하고 있으며, 북서쪽으로 미얀마,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으로 캄보디아, 남쪽으로 말레이시아와 Ÿ ASEAN 국가 중 인구 4위, GDP 규모 2위인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으로 전자제품과 자동차 인구 고령화, 저출산, 주변국 대비 높은 임금수준으로 제조기지로서의 경쟁력 약화 Ÿ 태국은 고령화로 인한 노동(생산가능)인구 부족이 경제성장의 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음경제사회개발위원회에 따르면 2021년 2분기 3,878만 명이었던 태국의 노동인구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2040년 약 3,650만 명을 기록할 것이며, 태국의 60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21년 20%에서 인구개발계획안에또한 태국의 중위연령은 40세로 베트남 32세, 라오스 20세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며, 이는 외국인 [그림 9] 태국 총인구 대비 노년층 비중(%) (67달러), 라오스(110달러), 캄보디아(128달러), 베트남(96달러) 등 주변국 대비 높은 편임Ÿ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는 태국과 무역 거래 시 바트화 결제가 가능하도록 승인하였으며, 최근 베트남 Ÿ 2023년 1월 28일 태국은 중국·태국·라오스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사업 추진을 시작함통 인프라와 연계해 구축하고, 태국과 라오스를 잇는 철도 노선은 하루에 14회 운행할 예정임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Ÿ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한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국토와 7,007만 명의 인구를 보유 하고 있으며, 북서쪽으로 미얀마,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으로 캄보디아, 남쪽으로 말레이시아와 Ÿ ASEAN 국가 중 인구 4위, GDP 규모 2위인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으로 전자제품과 자동차 인구 고령화, 저출산, 주변국 대비 높은 임금수준으로 제조기지로서의 경쟁력 약화 Ÿ 태국은 고령화로 인한 노동(생산가능)인구 부족이 경제성장의 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음경제사회개발위원회에 따르면 2021년 2분기 3,878만 명이었던 태국의 노동인구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2040년 약 3,650만 명을 기록할 것이며, 태국의 60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21년 20%에서 또한 태국의 중위연령은 40세로 베트남 32세, 라오스 20세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며, 이는 외국인 [그림 9] 태국 총인구 대비 노년층 비중(%) (67달러), 라오스(110달러), 캄보디아(128달러), 베트남(96달러) 등 주변국 대비 높은 편임Ÿ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는 태국과 무역 거래 시 바트화 결제가 가능하도록 승인하였으며, 최근 베트남 Ÿ 2023년 1월 28일 태국은 중국·태국·라오스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사업 추진을 시작함통 인프라와 연계해 구축하고, 태국과 라오스를 잇는 철도 노선은 하루에 14회 운행할 예정임.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국별경제∙신용 > 국가신용도 평가리스트
제공기관 : 한국수출입은행
게시일 : 2023-02-24
-
□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한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국토와 7,018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북서쪽으로 미얀마, 북동쪽으로 라오스, 남동쪽으로 캄보디아, 남쪽으로 말레이시아와 각각 국경을 접하고 있음 ASEAN 국가 중 인구 4위, GDP 규모 2위인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으로 전자제품과 자동차 제조업이 발달함열대성 기후의 연중 휴양지로 청정해안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여 세계적인 관광대국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음2022년 위드코로나 시대 도래로 이후 관광업이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2023년 5월 총선 결과 야권의 전진당이 151석, 프아타이당이 141석을 차지하며 주요 야당이 압승을 거둠제1당인 전진당이 7월 총리 선출에 실패한 후 제2당인 프아타이당이 친군부 및 보수정당과 연정을 구성해 세타 타위신(Srettha Thavisin)을 단독 후보로 내세워 8월 상·하원 합동투표에서 찬성 482표로 집권함 대외적으로는 ASEAN 및 아세안 자유무역협정의 중심 국가이며, 양자 및 다자간 FTA 협정을 체결하는 등 무역 확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태국 Kingdom of Thailand 2024년 4월 18일ㅣ책임조사역(G3) 김건웅 Ÿ 국가개황 Ÿ 경제동향 Ÿ 경제구조 및 정책 Ÿ 정치ㆍ사회동향 Ÿ 국제신인도 Ÿ 종합의견 2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국가개황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태국 Kingdom of Thailand 일반개황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513천 ㎢ 7,018만 명 (2023e) 내각책임제 (입헌군주제) 친서방 중립 GDP 1인당GDP 통화단위 환율(U$기준) 5,149억 달러 (2023e) 7,337달러 (2023e) Baht(Bt) 340 Ÿ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한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국토와 7,018만 명의 인구를 보유 하고 있으며, 북서쪽으로 미얀마, 북동쪽으로 라오스, 남동쪽으로 캄보디아, 남쪽으로 말레이시아와각각 국경을 접하고 있음Ÿ ASEAN 국가 중 인구 4위, GDP 규모 2위인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으로 전자제품과 자동차제조업이 발달함열대성 기후의 연중 휴양지로 청정해안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여 세계적인관광대국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2020인구 고령화, 저출산, 주변국 대비 높은 임금수준으로 제조기지로서의 경쟁력 약화 Ÿ 태국은 고령화로 인한 노동인구(생산가능인구, 15~59세) 부족이 경제성장의 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노동인구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2040년 약 3,650만 명을 기록할 것이며, 태국의 60세 이상 인 Ÿ 태국 내각이 2022년 5월 17일에 승인한 2022~37년 인구개발계획안에 따르면 2037년 태국 노동력 수 요는 2017년 3,755만 명보다 19% 증가한 4,471만 명이나, 노동인구는 10년마다 300만 명 이상 감 [그림 7] 태국 총인구 대비 노년층 비중 추이(%) 자료: 인구개발계획안(2022-2037) P0, Office of the National 또한 태국의 중위연령은 40세로 베트남(32세), 라오스(24세)보다 높은 수준이며, 이는 외국인투자 마(67달러), 라오스(110달러), 캄보디아(128달러), 베트남(96달러) 등 주변국 대비 높은 편임Ÿ 2024년 1월 기준 태국의 인터넷 사용률은 총인구의 88%(세계 평균 66%)로 높고, 스마트폰이나 피 Ÿ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는 태국과 무역 거래 시 바트화 결제가 가능토록 승인하였으며, 최근 베트남 Ÿ 2023년 1월 28일 태국은 태국·라오스·중국을 연결하는 철도* 건설 사업 추진을 시작함존 교통 인프라와 연계해 구축하고, 태국과 라오스를 잇는 철도 노선은 2024년 4월부터 정기운행 – 라오스 수도(Vientiane)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국별경제∙신용 > 국가신용도 평가리스트
제공기관 : 한국수출입은행
게시일 : 2024-04-18
-
안녕하십니까?KOTRA 양곤무역관에서 첨부와 같이 2025-03호 뉴스레터를 보냅니다 뉴스레터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에너지 ]▢ 전력수요 보전을 위해 예야와디강에 낮은 댐 건설 예정▢ 미얀마 국내생산 옥탄(Octane) 68 주유소에서 판매 개시▢ 정전상황이 지속되면서 태양발전에 대한 관심 증가▢ 만달레이, 메익티라(Meiktila) 도시에서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전력공급 보전을 위해 8개 풍력 발전 프로젝트 추진▢ 200메가와트 뽀빠(Popa) 풍력 발전 프로젝트 개발 지원[ 무역투자 ]▢ 미얀마-중국 간 장기적인 인프라 품질개발 논의▢ 인도-미얀마 비즈니스 서밋 개최▢ 미얀마, 중국과 인프라 개발 협력 논의▢ 미얀마, 라오스와 무역투자 등 협력강화 논의▢ 관세청, 관세부과시의 과세환율 발표▢ 수산물 수출, 2024년 회계연도 9개월 간 5억 2,100만 달러▢ 인도와의 2024년 회계연도 무역규모 16억 달러[ 지역개발광류 ]▢ 쉐다곤 파고다 2024년 12월 방문자 70만명▢ 육로이동 애로지역의 항공료 상승▢ 메익(Myeik)-꺼따웅 간 수상이동 증가[ 농수산업 ]▢ 쌀과 싸라기, 약 20만 톤 수출 ▢ 중국 어업 대표단, 메익(Myeik) 기업가와 해산물 협력 논의[ 비즈니스 ]▢ 미얀마 전기차 등록대수 약 6,000대 (2024년 12월말 기준)▢ 미얀마 인구 최근 10년 동안 다소 감소 ▢ 미얀마 커피품질연구소(CQI) 최초인증 로부스타 코스 개설▢ 주 태국 미얀마 대사관, 태국의 미얀마 근로자 및 10~18세 가족에 대한 국적등록카드(NRCs) 발급▢ 미얀마 DTH(Direct to Home) 신규채널 개설▢ 미얀마인들의 태국 아파트 구매 증가[ 기 타 ]▢ 미얀마, 외국인투자기업의 수출가능품목 공지감사합니다 KOTRA 양곤무역관 드림미얀마양곤
Myanmar Newsletter 202517제03호) 뉴스레터 목차 [ 에너지 ] ▢ 전력수요 보전을 위해 예야와디강에 낮은 댐 건설 예정 ▢ 미얀마 국내생산 옥탄(Octane) 68 주유소에서 판매 개시 ▢ 정전상황이 지속되면서 태양발전에 대한 관심 증가 ▢ 만달레이, 메익티라(Meiktila) 도시에서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 전력공급 보전을 위해 8개 풍력 발전 프로젝트 추진 ▢ 200메가와트 뽀빠(Popa) 풍력 발전 프로젝트 개발 지원 [ 무역투자 ] ▢ 미얀마-중국 간 장기적인 인프라 품질개발 논의 ▢ 인도-미얀마 비즈니스 서밋 개최 ▢ 미얀마, 중국과 인프라 개발 협력 논의 ▢ 미얀마, 라오스와 무역투자 등 협력강화 논의 ▢ 관세청, 관세부과시의 과세환율 발표 ▢ 수산물 수출, 2024년 회계연도 9개월 간 5억 2,100만 달러 ▢ 인도와의 2024년 회계연도 무역규모 16억 달러 [ 지역개발광류 ] ▢ 쉐다곤 파고다 2024년 12월 방문자 70만명 ▢ 육로이동 애로지역의 항공료 상승 ▢ 메익(Myeik)-꺼따웅 간 수상이동 증가 [ 농수산업 ] ▢ 쌀과 싸라기, 약 20만 톤 수출▢ 중국 어업 대표단, 메익(Myeik) 기업가와 해산물 협력 논의 [ 비즈니스 ] ▢ 미얀마 전기차 등록대수 약 6,000대 (2024년 12월말 기준) ▢ 미얀마 인구 최근 10년 동안 다소 감소▢ 미얀마 커피품질연구소(CQI) 최초인증 로부스타 코스 개설 ▢ 주 태국 미얀마 대사관, 태국의 미얀마 근로자 및 10~18세 가족에 대한 국적등록카드(NRCs) 발급 ▢ 미얀마 DTH(Direct to Home) 신규채널 개설 ▢ 미얀마인들의 태국 아파트 구매 증가 [ 기 타 ] ▢ 미얀마, 외국인투자기업의 수출가능품목 공지 미얀마의 주요 산업 및 경제 관련 뉴스들을 요약한 자료입니다정치적으로 민감한 정보들은 대상에서 제외하고있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라고, 세부적인 내용은 요약 뉴스별 자료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Myanmar Newsletter 미얀마, 라오스와 무역투자 등 협력강화 논의 주 라오스 미얀마 대사는 라오스 외교부 장관과 지난 1월 13일 회담을 개최하고 미얀마-라오스 간 친선 강화와 미얀마 인구 최근 10년 동안 다소 감소 미얀마의 중앙인구조사위원회는 최근 10년 동안 미얀마는 출산율 감소와 테러 및 내부 분쟁으로 인한 이주로 인해 인구가 다소 감소했다고 발표했음참고로 2024년 9월 30일 기준 미얀마의 인구는 51,316,756명으로 추정되 는데, 이러한 규모는 2014년 인구 및 가구 등록에 기록된 5천150만 명과 비교하면 약 20만 명 감소했음 주 태국 미얀마 대사관은 미얀마 이민 및 인구부와 협력하여 태국에 있는 미얀마 노동자 및 가족의 10~18세 자녀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무역관 뉴스레터
제공기관 : 양곤무역관
게시일 : 2025-02-13
-
I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개요 가시장 전망 나주요 경제 지표 2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라오스 디폴트 우려 확산과 정부 대응 방향 나라오스 관광 재개 및 경제 회복 영향기대 다탈(脫) 내륙국 인프라 구축과 비엔티안 시 대중교통 도입 라라오스 노동력 유출 및 최저임금 인상 라오스 진출전략2023 진출전략라오사
라오스 디폴트 우려 확산과 정부 대응 방향 6 C O N TE N TS 2023 라오스 진출전략 2023년 라오스 경제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라오스 낍화 안정화 및 외환거래 관리 규정’ 발표 8 기타 라오스 중앙은행이 정하는 사항에 해당되는 사유 (정부 지분 30% 이상 유지) 라오스 개발은행(LDB) : 기업 청산 진행 DAFI 그룹, 라오스 면화공사 라오스 국경 전면 개방 이후의 라오스 관광 동향 라오스-중국 고속철도로 태국-라오스-중국을 잇는 남북회랑 구축 코로나19 종식 분위기에 따른 라오스 노동력 유출 * 라오스와 태국은 언어/문화가 유사해 라오스 노동자가 임금이 높은 태국을 선호하는 편 - 주석은 라오스의 국가 원수로, 국회의 의결로 선출 라오스의 법원은 지방인민법원-주법원-최고인민법원으로 구성 - 산업통상부 장관 및 라오스 중앙은행 총재 교체 라오스 2021∼2025년 제9차 국가사회경제개발계획 ※ 한류상품, 기술우위 상품으로 라오스 시장 공략 필요 라오스 인구는 748만 명이나 국토는 한반도의 1배로 인구밀집도가 낮으며, 수도인 비엔티안도 인구가 97만 명에 ∙ 라오스 노동력 평균 임금은 월 150만 낍(약 166달러) 라오스의 對한 수입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1 라오스 2,819 15,370,944,737 - 라오스-중국 간 무역 규모 증대에도 기여하고 있음 라오스-중국 철도와 태국-라오스 철도를 연결하는 공사도 진행 중 라오스-외국간통상정책국 wwwaoftpdom 2021년 라오스의 對한 수출은 2020년에 비해 소폭 감소 라오스는 2022월부로 한국과 RCEP 협정이 발효됨 라오스에서 한국으로 수출 시에는 라오스 내에서의 수출 통관에 애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됨 한국의 신남방 정책으로 라오스도 중점협력대상국 중의 - 라오스에서 현재 초기 단계인 스마트시티, 산업단지 -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의 對라오스 영향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태국 투자자는 라오스와 문화적· 라오스 인구는 2022년 기준 748백만 명으로 전형적인 종형 인구 구성 ※ 내륙국 라오스는 ASEAN 연계성 사업의 일환으로 - 라오스 내 연평균 폭발적인 시장성장률 기록 중 - 라오스는 고온 기후로 단열재 사용에 적합한 지역 - 라오스 정부는 의료 발전에 초점, 매년 수입액 증가 - 라오스 제약 파트너를 통한 라오스 정부 입찰 참여 - 라오스 내 배터리 충전소는 20개로 시작 단계 라오스 교육 시스템 강화로 초기- CSR을 활용하여 라오스 교육 수요층 마케팅에 활용 - 라오스 문화정보관광부 등 관공서/지자체 연계 캠페인 추진 2 ㅇ 라오스 소비재 마켓 테스트 사업 3월/비엔티안 3 ㅇ 라오스 O2O 유통망 입점 지원 사업 6월/비엔티안 4 ㅇ 라오스 프랜차이즈 진출 상담회 10월/비엔티안 7 ㅇ ESG+ 연계 라오스 프로젝트 수주 지원 연중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국별진출전략
제공기관 : 비엔티안무역관
게시일 : 2022-12-28
-
(라오스 비즈니스 환경분석)- 라오스는 사회주의 체제 1당 지배 국가로 정치적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음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어려움에도 라오스 경제는 ’21분기 3% 성장 - 디지털 경제 마스터플랜 입안으로 2030년 디지털 사회 전환에 대비 - 2021-2025 9차 국가사회경제발전계획으로 기술, 가공업, 농업, 헬스케어 육성에 집중(라오스 시장분석)- 제조업이 미약하여 대다수의 생필품 등을 수입에 의존하는 산업구조 - 전통적으로 태국시장에 종속되어 있으며, 최근 중국, 베트남 상품의 시장점유율 증가 - ASEAN 경제통합으로 라오스 시장에서 주변국의 상품의 가격경쟁력이 크게 상승(자동차, 소비재 등에서 한국 시장점유율 크게 감소 중) - 한류상품, 기술우위 상품으로 라오스 시장 공략 필요(라오스 주요 경제협력 의제)- 한국과 라오스는 ’19년 9월 문재인 대통령의 라오스 국빈 방문으로 양국 간 경제협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19년 11월 한국과 라오스 등 ASEAN 5개 회원국은 교육, 스마트시티 등 분야의 협력 증진을 위한 공적개발원조 확대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 ’19년 비엔티안에서 한국 중소벤처기업부와 체결한 MOU에 따라, 라오스 과학기술부(현 라오스 기술통신부)는 ’20년 4월 한국 UNIDO의 지원을 받아 테크노파크 개발협력 사업을 라오스 외교부를 통해 한국 정부에 제안함- ’19년 11월 부산에서 체결된 한국 교육부와 라오스 교육체육부 간 MOU에 따라, 라오스 정부는 ’20~’21학년도 중등학교 정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한국어를 도입 중- 무상원조도 1987년부터 2018년까지 농촌개발, 보건, 교육 등의 분야에서 한국국제협력단 사업 등 25억 달러 이상 지원, 전체 수원국 중 8위(라오스 진출전략)- 한류콘텐츠, E-Commerce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회 전환기의 라오스 시장 진출라오스의 코로나19 확산 장기화와 위드 코로나라오스 대외 공공부채 및 거시경제 변수내륙연결국으로의 전환을 위한 라오스-중국 고속철도 개통
내륙연결국으로의 전환을 위한 라오스-중국 고속철도 개통 * 라오스 정보문화관광부 차관 Vientiane Times 인터뷰 라오스 소비재 유통기업의 제품수입에 악영향으로 작용 ’216 기준 라오스 낍/미국 달러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내륙연결국으로의 전환을 위한 라오스-중국 고속철도 개통 중국과의 접경지역인 라오스 루앙람타 주-비엔티안의 422km 구간을 잇는 라오스-중국 고속철도 시작점인 라오스 보텐 국경을 거쳐 입국하는 관광객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어려움에도 라오스 경제는 자료: 라오스 국회, 라오스 관보 자료: 2021-2025 9차 국가사회경제발전계획, 라오스 정부 - 라오스 정부는 조세정보시스템의 전국 확대 필요성을 인식하고 하는 이커머스 서비스 이용 계약을 라오스 은행 BCEL과 체결 ▸한류상품, 기술우위 상품으로 라오스 시장 공략 필요 인구 7백만의 라오스는 한반도의 1배로 인구밀집도가 매우 낮으며, 수도 비엔티안도 - 라오스 노동력 평균 임금은 월 150만 낍(약 166 달러) - 자동차는 라오스 자동차 전체수입의 85%를 점유하고 있고, 자동차 부품은 라오스 전체 ’20년 6월까지 라오스 프로젝트 투자총액은 403억 달러로, 이 중 라오스 정부 투자액이 라오스 정부 정책에 따라 정부 투자 총액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 라오스의 주요 외국인 투자는 전체 투자(정부 및 라오스 기업 투자 포함) 기준으로 에너지 - 스마트시티 계획은 라오스 정부의 여러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라오스 정부는 - 라오스는 개발 초기단계로 많은 프로젝트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 신남방 정책으로 라오스도 중점협력대상국 중의 하나임 - 자금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의 대라오스 영향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태국 투자자는 라오스와 문화적, 언어적 환경을 공유하는 Toyota Laos 라오스 파트너와 합작 도소매유통 Lapen Co Ltd 라오스 파트너와 합작 도소매유통 ’19년 11월 부산에서 체결된 한국 교육부와 라오스 교육체육부 간 MOU에 따라, 라오스 - 한국 정부는 한국어 교사의 라오스 현지 파견, 라오스 대학의 현지 한국어 강사 양성 및 라오스 소비자들은 저축보다는 소비 중심 생활 패턴을 보임 내륙국 라오스는 ASEAN 연계성 사업의 일환으로 메콩강 교량(라오스-태국 제5우정의 다리): 빡싼-븡깐 ∙ 라오스 경제발전 전략과 UN SDG를 달성하도록 지원 라오스 기술통신부는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 - 라오스 정부는 의료 발전에 초점, 매년 수입액 증가 - 라오스 제약파트너와의 통한 라오스 정부 입찰 참여 라오스 시장에 진출- 미흡한 라오스 교육시스템 강화로 초기 잠재시장 장악 가능 - CSR을 활용하여 라오스 교육수요층 마케팅에 활용 ∙ 라오스 O2O 유통망 입점지원 사업 6월/비엔티안 ∙ 라오스 유망 프로젝트 수주 상담회 11월/비엔티안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국별진출전략
제공기관 : 비엔티안무역관
게시일 : 2021-12-31
-
□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북서쪽으로 미얀마,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으로 캄보디아, 남쪽으로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음□ ASEAN 국가 중 인구 4위, GDP 규모 2위인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으로 전자제품과 자동차 제조업이 발달하였으며, 열대성 기후의 연중 휴양지로 청정해안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여 세계적인 관광대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지속적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거시경제지표가 안정된 반면, 상대적 고임금과 과도한 수출의존형 경제는 국가경쟁력 확보에 걸림돌로 작용함□ 2014년 반정부 시위에 뒤이은 쿠데타로 과도정부를 구성한 군부는 헌법 개정 후 총선 실시를 통해 민정이양 계획을 밝혔으나, 2019년 3월 총선 결과 민주계가 집권을 위한 의석 수 확보에 실패하여 군부 정치가 유지됨□ 대외적으로는 ASEAN 및 아세안자유무역협정의 중심국가이며, 양자 및 다자간 FTA 협정을 체결하는 등 무역 확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 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면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Ÿ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은 북서쪽으로 미얀마, 북동쪽으로 라오스, 동쪽으로 캄보디아, 남쪽으로 인구 고령화 및 포퓰리즘 정책에 따른 지속적 임금 인상이 성장 저해 요소 Ÿ 태국은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부족이 경제성장의 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음적 인구 정치체제 대외정책 리, 슬로바키아) 인구를 합친 것보다 많은 인구와 비교적 큰 경제규모를 보유하고 있음인구구조의 고령화 가속, 노동시장의 초과수요 심화2월)에 따르면, 폴란드가 마주한 가장 주요한 성장 제약요인은 인구구조의 고령폴란드의 인구는 여타 EU 회원국들로의 대규모 이주, 인구대체율(여성 1인당 2명)을 다소 하회 인구의 감소와 신규 일자리 증가는 노동시장의 초과수요를 심화시키고 있음인구로는 노동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Ÿ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계속될 경우, 부양비(Dependent Ratio, 생산가능인구에 대한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의 합의 백분비)는 60%로 증가할 것이며 경제활동인구(Active Population)는 총 인구 대비 65%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그림 15] 폴란드 부양비 및 경제활동인구 비중 추이 및 전망 리, 슬로바키아) 인구를 합친 것보다 많은 인구와 비교적 큰 경제규모를 보유하고 있음인구구조의 고령화 가속, 노동시장의 초과수요 심화2월)에 따르면, 폴란드가 마주한 가장 주요한 성장 제약요인은 인구구조의 고령폴란드의 인구는 여타 EU 회원국들로의 대규모 이주, 인구대체율(여성 1인당 2명)을 다소 하회 인구의 감소와 신규 일자리 증가는 노동시장의 초과수요를 심화시키고 있음Ÿ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계속될 경우, 부양비(Dependent Ratio, 생산가능인구에 대한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의 합의 백분비)는 60%로 증가할 것이며 경제활동인구(Active Population)는 총 인구 대비 65%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그림 15] 폴란드 부양비 및 경제활동인구 비중 추이 및 전망 리, 슬로바키아) 인구를 합친 것보다 많은 인구와 비교적 큰 경제규모를 보유하고 있음인구구조의 고령화 가속, 노동시장의 초과수요 심화2월)에 따르면, 폴란드가 마주한 가장 주요한 성장 제약요인은 인구구조의 고령폴란드의 인구는 여타 EU 회원국들로의 대규모 이주, 인구대체율(여성 1인당 2명)을 다소 하회 인구의 감소와 신규 일자리 증가는 노동시장의 초과수요를 심화시키고 있음Ÿ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계속될 경우, 부양비(Dependent Ratio, 생산가능인구에 대한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의 합의 백분비)는 60%로 증가할 것이며 경제활동인구(Active Population)는 총 인구 대비 65%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그림 15] 폴란드 부양비 및 경제활동인구 비중 추이 및 전망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국별경제∙신용 > 국가신용도 평가리스트
제공기관 : 한국수출입은행
게시일 : 2019-06-17
-
I 시장평가 및 주요이슈1개요가시장전망나주요 경제지표2’24년 주요 이슈 및 전망가2024년 라오스 관광의 해를 맞아 관광업 활성화 나2024년 아세안 의장국 수임에 따른 경제회복 기대 다탄소배출권 거래시장 형성 계획에 따라 관련 프로젝트 활성화 전망 라대형유통망 중심의 리테일 비즈니스 시장 확대 추세 II비즈니스 환경 분석1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정치 환경나경제 환경다산업 환경라정책·규제 환경2시장분석가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수출 다투자진출라건설플렌트 분야 유망 프로젝트3한국과의 경제교류 및 주요 경협의제 가교역나투자다협력 유망분야III진출전략 1거시 환경 분석(PEST) 2SWOT 분석 및 전략도출 3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첨부 1수출유망품목(상품) 첨부 2수출유망품목(서비스) 첨부 3’24년도 KOTRA 주요사업 (잠정) 첨부 4’24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전시회 캘린더
2024년 라오스 관광의 해를 맞아 관광업 활성화 6 성장 둔화 시 라오스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 ‘라오스 관광의 해’로 지정하여 관광산업 회복 전망2024년 라오스 관광의 해를 맞아 관광업 활성화 ⚫ 라오스-중국 철도 개통에 따라 라오스 관광객 유입 효과 상승 ⚫ 라오스 왕정이 폐지되며 라오인민민주공화국 수립 - 주석은 라오스의 국가원수로, 국회의 의결로 선출 ⚫ 라오스의 법원은 지방인민법원-주법원-최고인민법원으로 구성 라오스의 평화, 독립, 사회주의 건설 완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라오스는 2015년 아시아 최초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이하 ▣ 라오스 고물가 시기 속 가격정찰제 위주의 소비 트렌드 형성 ▣ 라오스 ESG 관련, 정책·규제 미비하나 중요성은 인식 경제 분야에서 라오스 시장을 지배적으로 점유하고 있음 ⚫ 라오스 통계청에 따르면 라오스 인구는 2022년 기준 744만 명이나 국토는 한반도의 * 한국 인구밀도는 514명/km2인 반면 라오스 인구밀도는 31명/km2 ∙ 744만 명의 인구 중 58%가 30세 미만 - 2022년 수출대금 중 라오스로 유입된 외화는 30%에 불과(라오스 중앙은행) - 라오스의 세수 부족 및 인사이동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 ⚫ 1989년부터 2022년까지의 라오스 투자 총액은 446억 달러로, 이 중 라오스 대내 ⚫ 라오스 투자 상위 3개국은 중국, 태국, 베트남으로 라오스 간 교역 상위 3개국과 일치 - 2022년 라오스 인구는 744만 명으로 내수시장이 작을 뿐만 아니라 인접국 대비 ⚫ 라오스는 2022월부로 한국과 RCEP 협정이 발효됨 걸쳐 철폐되어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對라오스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 (국가 간 협력 유망 분야) 한-라오스 국가협력전략 및 라오스 제9차 국가사회경제개발 - 라오스 제조업 및 헬스케어 분야 육성 협력 라오스 내 노동◦ 2024년 라오스 방문의 해에 따라 관광객 타깃 시장 공략 ⚫ 한류로 라오스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K-소비재 집중 공략 라오스 소비자에게 선호도가 높으며 매운맛을 좋아하는 라오스인에게 적합 * 현재 라오스는 190개국 중 154위를 차지 ⚫ 라오스, 제조업 투자 대안지역으로 진출기업의 관심 증가 노동집약적 제조업 진출 대안지로 라오스를 주목 숙련 노동자가 부족한 라오스에서 전문인력 발굴 가능 - 라오스-중국 철도 개통으로 인한 수요 증가 전망 - 라오스 내 연평균 폭발적인 시장성장률 기록 중 - 라오스 정부의 생태관광 캠페인 집중 프로모션 - CSR을 활용하여 라오스 교육 수요층 마케팅 활용 - 라오스 문화정보관광부 등 관공서/지자체 연계 캠페인 추진 ∙라오스 O2O 유통망 입점지원사업 연중/비엔티안 ∙라오스 K-CON ACCESS 사업 하반기/비엔티안 ∙라오스 프랜차이즈 진출 상담회 상반기/비엔티안 라오스 상공회의소(LNCCI)-라오스 산업통상부(MoIC)
출처 : 해외경제정보 > 국가별정보 > 국별진출전략
제공기관 : 비엔티안무역관
게시일 : 2023-12-27
-
라오스는 인도차이나 반도의 내륙국으로, 인근 국가에 비해 인구나 경제규모가 농촌지역 거주인구는 전 인구의 3분의 2인 67%에 달하고, 노동력 인구 가운데COVID-19로 라오스 현지에서의 조사는 실시하지 못하고, 라오스 국립농 ○ 라오스 경제 및 농업현황, 국가 및 농업부문 정책 등을 분석하고 라오스 측의 하여, 우리나라의 라오스 농림업 개발협력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라오스에 대한 한국의 농업 및 농촌개발 ODA 현황(2017년)라오스에 대한 한국의 농업 및 농촌개발 ODA 지원 사업 내역라오스 중점 협력 분야와 우리나라 민간기업 연계 방안우리나라의 라오스 농림업 개발협력 추진방향과 중점 추진분야 그램이 라오스 농업 발전을 위한 중요도 등을 조사하기 위함이었다제3장은 라오스 정부가 가지고 있는 국가 개발전략과 농제4장은 라오스에 대한 우리나라 농업분야 개발협력 중점 추진분야 를 라오스 개발수요, 위탁연구 결과 등을 근거로 하여 선정하였다장 전략 변화, 기존의 한·라오스 경제협력 특징을 분석하였다라오스의 인구는 2019년 3월 기준, 총 737만 명이며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는 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인 현재의 라오스를 지배하게 되었다 2000년 라오스 중앙정부는 지방분권을 실시하여 지자체의베트남은 라오스에 있어 같은 사회주의체제 국가이며, 후발 아2019년은 라오스-중국 간 포괄적 전략협력동반자 관계 라오스의 인구는 2019년 3월 기준 총 737만 명이고 인구성장률은 13%로 인 라오스의 농지는 크기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라오스는 전통적인 농업국가로 전체 인구의 약 67%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라오스에서 생산되는 주요 품종은 로부스타(Robustas)로태국이 라오스 대두에 대한 수요가 높으나 생산 규모가 작고 시라오스 정부는 농업 진흥을 위해 쌀, 옥수수, 커피 등의 작물 으로 수입된 제품이 다시 라오스로 수입 및 유통되고 있다라오스산을 사용하고, 소의 경우 한국으로 수입된 미국산 소고기를 다시 라오스 한국의 對 라오스 ODA는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로 이루어진다이 기간에 라오스에서 ODA 사업을 추진한 기관은 한국농촌이에 2014년부터 라오스의 30개 마을을 대상으로 쌀 가치 다”는 것으로, 라오스 정부는 청정농업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라오스와의 중점 협력 분야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라오스의 개발협력 수요 한국의 협력가능 분야 관련 SDGs 목표 라오스와의 개발협력 중점추진 분야는 네 가지를 선정하였다우리나라의 라오스 농림업 개발협력 추진방향과 중점 추진분야라오스는 커피 재배에 적합한 기후와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라오스 경제 및 농업현황, 국가 및 농업 부문 정책 등을 분석하고 라오스 측의 개 『라오스의 경제현황 및 한·라오스 경제협력 방향』라오스의 인적자원개발 분야 ODA 현황과 한국의 지원전략』.
출처 : 해외경제정보 > 산업∙품목정보 > 입찰∙조달정보 > ODA발간자료
제공기관 : 국무조정실
게시일 : 2022-02-05
-
라오스 교육분야 ODA 사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JICA의 라오스 기술협력 및 자원봉사 파견 현황라오스 수파누봉대학교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구성 요소한-라오스 직업훈련원 사업에 대한 사후 평가 결과라오스의 인구 구성 변화 추정치(1965~2020)라오스의 도농 인구 구성 변화(1960~2013)World Bank의 라오스 교육분야별 차관 현황라오스의 교육분야 개발협력의 방향 및 전략 개념도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라오스 CPS 라오스의 교육행정은 종전의 중앙집권적 체제를 벗어나 「한국의 캄보디아⋅라오스⋅베트남에 대한 인적자본 개 「라오스 국가협력전략 2013-2015(국제개발협력이에 따라 라오스 교육체육부와 개발협력 파트너들이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World Bank의 라오스 교육분야별 차관 현황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1) 라오스에 대한 협력전략과 교육분야 개발협력전략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ADB는 과거에는 라오스 기초교육을 많이 지원했으나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1) 라오스에 대한 협력전략과 교육분야 개발협력전략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2014년 7월 라오스 현지 면담에서 확인되었듯이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그리고 보건 분야의 경우 라오스의 보건의료 시스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JICA의 라오스 기술협력 및 자원봉사 파견 현황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 우리나라의 라오스 교육개발협력의 방향이 라오스 정부의 제3장 국제사회의 라오스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과제2002년에 17백만 달러에 불과하던 對라오스 2005 한-라오스 직업훈련원 건립사업 11,768 한-라오스 직업훈련원 역량 강화 사업 611,198 라오스 비㈜하이네트 통상 등)과 라오스 측 실행기관(라오스 교육
출처 : 해외경제정보 > 산업∙품목정보 > 입찰∙조달정보 > ODA발간자료
제공기관 : 국무조정실
게시일 : 2022-02-04
-
- 증가하는 라오스 인터넷 인구를 바탕으로 라오스 정부는 ICT 인프라 확보 노력 중 - 우리 ICT 기업의 국제협력 기회를 이용한 라오스 진출 기대 라오스의 ICT 산업은 라오스 정부의 전폭적인 발전 정책에 힘입어 대표적인 라오스 내 유망산업으로 꼽히고 있다라오스 정부는 2030년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여 그 기반을 닦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현재 라오스 전국의 95%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가능하며 81%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최근 라오스 국립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관련 금융 대출액 및 정부지출을 향후 2~3년간 연간 10% 이상 확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 및 4차 산업혁명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라오스 정부 또한 개발어젠다에 디지털 경제를 추가하였으며, 그 예로 라오스 국회에서는 전자서명 관련 법률이 발의되어 검토 중에 있다동 법안이 통과된다면 라오스 내 디지털 경제 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라오스 우정통신부에서는 디지털 사회로의 도약을 위해 중점 분야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다라오스의 ICT 인프라는 세계 평균 대비 개발이 더딘 편이나 특정 분야에서는 인프라를 갖춘 경우도 있다라오스 사회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불가피하게 된 현 상황에서 ICT 인프라의 필요성이 더욱* 라오스 기획투자부 지리정보제공 사이트(Lao DECIDE Info) http://wwwecidea * 라오스 상공부 무역정보 포털 Lao Trade Portal http://wwwaotradeportalova * 라오스 상공부 무역투자 규정 포털 Lao Services Portal http:// wwwaoservicesportalova : 라오스 국가인터넷센터 운영 1개소(유일한 국외 네트워크 연결센터), : 라오스 상공회의소 운영 인터넷 쇼핑몰 http://wwwlaosmeom 라오스에서는 여전히 온라인 사업 및 서비스가 부족하지만, 인터넷 및 ICT 기반 생활을 하는 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점차 디지털 기술 환경에 맞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많은 외국회사들이 라오스 ICT 분야에 진출하고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오스에서의 ICT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진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라오스 인프라 투자 예산부족을 들 수 있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진출희망기업은 라오스의 국제협력 활동을 잘 살필 필요가 있다라오스 ICT 분야 진출에 있어 또다른 어려움은 온라인 거래에 대한 라오스인들의 보수적인 태도이다IT 제품에 익숙한 저연령층 인구가 많기는 하지만 구매력이 높은 장년층은 전자결제에 대한 불신이 아직 있는 편이다라오스 우정통신부, 라오스 기획투자부, 라오스 상공부, 라오스 상공회의소, 라오스 국립경제연구원, KOTRA 비엔티안무역관 자료 종합
출처 : 해외경제정보 > 산업∙품목정보 > 산업DB > 트렌드
제공기관 : 비엔티안무역관
게시일 : 2020-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