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 투자진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장나원
  • 2024-09-06
  • 출처 : KOTRA

한국 진출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사업 영토는 어디에?

인도네시아 FDI 현황

 

인도네시아 진출에 대한 우리기업 그리고 해외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다. 기업들은 2억8000만 명에 이르는 거대한 내수시장, 풍부한 천연자원 등에 주목하며 인도네시아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인도네시아 투자청(BKPM) 통계에 따르면 2023년도 직접투자 금액은 503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0.3% 증가했으며 2024년 2분기까지 집계된 외국인 직접투자 금액은 281억 달러이다. 산업별로는 2023년 기준으로 1차 산업 67억 달러(13%), 2차 산업 287억 달러(57%) 그리고 3차 산업 148억 달러(29%)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별로는 2023년 기준, 가장 많이 투자된 산업은 금속 분야가 117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뒤이어 유통(56억 달러), 화학(48억), 광물(47억 달러)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해외직접투자 현황>

(단위: US$ 백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f64122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5pixel, 세로 542pixel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청(BKPM)]


우리 기업들도 인도네시아에 현지 생산 거점을 설립하는 등 인도네시아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액은 총 투자액 기준 633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2% 하락했다. 반면, 2023년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해외직접투자 금액은 금액은 22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4.3%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 10억5000만 달러(46%) 제조업 10억4000만 달러(45%), 도매 및 소매업 1억3000만 달러(6%)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세부 분류를 살펴보면, 1차 금속 제조업 3억2000만 달러(35%), 담배 제조업이 2억7000만 달러(29%), 화학물질 및 제품 5000만 달러(6%)를 차지했다. 이는 포스코와 크라카타우스틸의 제2고로 냉연공장 신설 추진, KT&G의 인도네시아 2·3공장 건립, 그리고 롯데케미칼의 석유화학공장 설립 진행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제조업 분야 투자와 관련해 투자 금액을 5년, 10년 치 누적으로 살펴보면 섬유·의복·신발 제조업, 화학물질 및 제품, 자동차, 1차 금속 그리고 전기 장비 분야에 대한 투자가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저임금 노동력과 자원확보를 위한 경공업 분야에서의 투자가 주를 이루었다면, 점차 중공업에서 금융 분야나 인프라 투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투자(제조업, 누적투자(5개년, 10개년)>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e01c3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47pixel, 세로 572pixel

[자료: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


2024년 기준 한인회에 등록된 현재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약 2300여개로 섬유·의류업 관련 업체와 무역과 물류·유통 관련 업체들이 진출해있으며 최근에는 석유 화학, 자동차 및 제약 분야에서의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주요 한국기업은 다음과 같다.


<인도네시아 진출 주요 한국기업(연도별)>

[자료: 인도네시아 무역·투자 FAQ,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제작]


진출한 한국 기업의 경우, 주로 자카르타 인근 산업단지에 입주하거나 개별 공장 형태로 진출해 있다. 자카르타와 가까운 서부 자바, 반튼주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부 자바 지역에도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진출 주요 한국기업(지역별)>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제작]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현황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에는 총 7만 2316ha에 달하는 145개의 산업단지가 있으며, 입주율은 64.14%이다. 2023년에 14개의 신규 산업단지가 산업단지활용허가(IUKI)를 발급받았으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4년 이내에 18개의 신규 산업단지를 운영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자바섬 위주로 투자가 진행되는 가운데 인프라 및 자원 개발을 위해 투자 지역을 다양화하고 있다. 2023년 6월 기준, 자바에 84개(61.76%), 수마트라에 27개, 칼리만탄에 12개, 술라웨시에 10개, 마루꾸에 3개 (총 136개)가 있다.

 

인도네시아 산업단지에 대한 자세한 현황은 산업단지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자바섬 중심으로 살펴본 대표적인 산업단지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현황(자바섬)>

[자료: 각 산업단지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제작]


1. 브카시/찌까랑 


<1-1. Jababeka Industrial Estate>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jababekaindustrial.com/

개발업자

 PT Jababeka Tbk

규모

 5,600ha

위치

 찌까랑

접근성

 - 항공: Soekarno-Hatta 국제공항 (70km)

 - 항구: Tanjung Priok 항구 (50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 +62 21893-4350 (Phone) / +62 812-8309-0900 (Mobile)

 - 이메일jababekaindustrialestate@jababeka.com

입주기업(대표)

 - PT Samsung Electronics Indonesia (한국) | 가전제품

 - PT Unilever Indonesia Tbk (영국) | 소비재

 - PT Mattel Indonesia (미국) | 완구

 - PT Nissin Foods Indonesia (일본) | 식품 

 - PT Yasulor Indonesia – L’oreal Plant (프랑스) | 화장품

 - PT Kraft Indonesia (미국) | 식품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1-2. MM2100 Industrial Town (MMID)>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mm2100.co.id/

개발업자

 PT. Megalopolis Manunggal Industrial Development

규모

 805ha

위치

 찌까랑

접근성

 - 항공: Soekarno-Hatta 국제공항 (77km)

 - 항구: Tanjung Priok 항구 (50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 +62 21898-1001 (Phone) / +62 811-811-4324 (Mobile)

 - 이메일:  mkt-sales@mmid.co.id

입주기업(대표)

 - PT. Lotte Indonesia (한국) | 식품

 - PT. LG Electronics Indonesia (한국) | 전자제품

 - PT. Starion Wooin (한국) | 전자제품 부품(냉장고, 세탁기 등)

 - PT. Toyota Boshoku Indonesia (일본) | 자동차 부품 

 - PT. Astra Honda Motor (일본) | 오토바이 제조 

 - PT. Yamaha Motor Electronic Indonesia (일본) | 전장부품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1-3. Delta Silicon Lippo Cikarang Industrial Park>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www.lippocikarang.co.id/project/delta-silicon-industrial-park/

개발업자

 Lippo Cikarang Tbk.

규모

 1,645ha

위치

 찌까랑

접근성

 - 항공: Soekarno-Hatta 국제공항 (77km), Kertajati 국제공항(143km)

 - 항구: Tanjung Priok 항구 (50km), Patimban항구(103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 +62 21897-2080 (Phone)

 - 이메일:  invest@knic.co.id

입주기업(대표)

 - PT. HANKOOK TIRE (한국) | 타이어

 - PT CKD OTTO Pharmaceutical (한국) | 제약

 - PT Daewon Eco Indonesia (한국) | 인조가죽

 - PT Dae Baek Machinery (한국) | 금형

 - PT Robert Bosch Automotive (독일) | 자동화

 - PT Pacific Rubber Works (태국) | 고무가공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2. 까라왕 


<2-1. Karawang New Industry City (KNIC)>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knic.co.id/

개발업자

 China Fortune Land Development

규모

 205ha

위치

 까라왕

접근성

 - 항공: Soekarno-Hatta 국제공항 (100km), Kertajati 국제공항(100km)

 - 항구: Tanjung Priok 항구 (75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 +62 21811-117-9899 (Phone)

 - 이메일:  lctpark@lippo-cikarang.com

입주기업(대표)

 - Hyundai LG Indonesia (HLI) Green Power (한국) | 전기차배터리 

- PT Dongsung Chemical (한국) | 화학품

- PT. Enchem Elyte Indonesia (한국) | 배터리 원자재

- PT Brightgene Biomedical Indonesia (중국) | 제약

- PT Ikimura Indotools Centre (일본) | 금속절삭공구

- PT Epic Medical Solutions (싱가포르) | 의료기기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2-2. Suryacipta City of Industry>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suryacipta.com/en

개발업자

 PT Suryacipta Swadaya

규모

 1,400ha

위치

 까라왕

접근성

 - 항공: Soekarno-Hatta 국제공항 (91km),

 - 항구: Tanjung Priok 항구 (69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 +62 26–744-0088 (Phone), +62-812-823-6791(Mobile)

 - 이메일:  info@suryacipta.com

입주기업(대표)

- PT Zinus Global Indonesia (한국) | 가구/가구부품

- PT Hans Jaya Utama (한국) | 토목·건축 

- PT Hyun Jin Indonesia (한국) | 포장재

- PT Dongil Casting (한국) | 강철 및 금속

- PT Daesang Food Indonesia (한국) | 식품

- PT Nestle Indonesia (스위스) | 식품 

- PT Crown Beverages Cans Indonesia (미국) | 포장재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2-3. Karawang International Industry City(KIIC)>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kiic.co.id/

개발업자

 PT. Maligi Permata Industrial Estate, PT. Harapan Anang Bakrie & Sons, PT. Karawang Tata Bina

규모

 1,479ha

위치

 까라왕

접근성

 - 항공: Soekarno-Hatta 국제공항 (80km),

 - 항구: Tanjung Priok 항구 (60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 +62-811-1330-7615(Mobile)

 - 이메일:  sales@kiic.co.id, info@kiic.co.id

입주기업(대표)

- PT Toyota Motor Manufacturing Indonesia (일본) | 자동차

- PT Yamaha Indonesia Motor Manufacturing (일본) | 자동차

- PT Fujita Indonesia (일본) | 이륜차부품

- PT P&G Operations Indonesia (미국) | 소비재

- PT 3M Indonesia (미국) | 생활용품

- PT Sampoerna Tbk. (인도네시아) } | 담배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3. 바탕 


<3-1. Batang Industrial Park (BIP)>

구분

 내용

홈페이지

 www.batangindustrialpark.com/en

개발업자

 PT Intiland Development Tbk

규모

 287ha

위치

 바탕(중자바)

접근성

 - 항공: Kertajati 국제공항(160km), Ahmad Yani 공항(80km)

 - 항구: Patimban 항구(260km), Tanjung Mas(85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62-811-348-779(Mobile)

 - 이메일:  info@batangindustrialpark.com

입주기업(대표)

 - PT Nestle Indonesia (스위스) | 소비재

 - PT United Can (인도네시아) | 포장재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3-2. Grand Batang City (Batang Integrated Industrial Park)>

구분

 내용

홈페이지

  https://grandbatangcity.co.id/

개발업자

 PT Kawasan Industri Terpadu Batang

규모

 총 4,300ha 개발 예정(초기 개발 450ha)

위치

 바탕(중자바)

접근성

 - 항공: Kertajati 국제공항(224km), Ahmad Yani 공항(60km)

 - 항구: Patimban 항구(283km), Tanjung Mas(65km)

관할기관 연락처

 - 전화번호 +62-812-3132-3323

 - 이메일:  marketing@grandbatangcity.co.id

입주기업(대표)

 - KCC Glass Corporation (한국) | 건축자재

 - Cosmos Indo Ink (한국) | 화학(잉크)

 - Yih Quan Footwear Indonesia (대만) | 신발

 - Wavin Manufacturing Indonesia (네덜란드) | 파이프

 - Jayamas Medica Industri (인도네시아) | 의료기기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인도네시아 특별경제구역(SEZ)


산업단지 외에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지정한 특별경제구역으로의 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어로 KEK(Kawasan Ekonomi Khusus), 영문으로 SEZ(Special Economic Zone)이라고 표현되는 특별경제구역은 투자 유치를 통한 경제 성장,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전략적인 지역이다.

 

인도네시아 특별경제구역 국가 위원회(Dewan Nasional KEK)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인도네시아에는 총 23개의 지역이 특별경제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운영 중인 곳은 19곳이다. 2024년 기준, 2개의 신규 특별경제구역(KEK Setangga 및 KEK Tanjung Sauh)이 지정됐으며, 4개의 특별 경제 구역(KEK Nipa, KEK Edutek Medika International, KEK Pariwisata Kesehatan Internasional 및 KEK Industri Hijau Bungku)을 계획 중에 있다.


<인도네시아 특별경제구역(SEZ) 현황>


[자료: 인도네시아 SEZ 홈페이지 참고,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제작]


인도네시아 정부는 특별경제구역에 투자하는 기업들에게 법인세 감면, 부가가치세(VAT)면제, 수입관세 면제 등의 세금 혜택을 제공하며, 공장 설립 간소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금전적 인센티브 중 가장 대표적으로는 조세 감면(Tax holiday)과 투자소득공제(Tax Allowance)가 있다. 법인세 면제의 경우, 투자금 최소 1,000억~5,000억 루피아 미만의 경우 10년, 1조 루피아 미만인 경우 15년 그리고 1조 루피아 이상의 경우 법인세 면제 기간이 20년이다. 투자 소득공제로는 연간 5%씩 6년간 총투자 금액의 30%까지 순이익에서 감경하고, 감가상각 관련 가속 상각을 인정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특별경제구역(SEZ) 금전적 인센티브>

[자료: 인도네시아 SEZ 홈페이지]


비금전적 인센티브의 경우, 원활한 투자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자자와 투자가 가족의 거주권 문제, 토지 소유권 부동산 관련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특별경제구역(SEZ) 비금전적 인센티브>

연번

인센티브

내용

1

원스탑 서비스

사업허가 및 기타 허가 신청 시, SEZ 관리국에서 모두 진행

2

비자

 도착 비자(VoA) 30일 유효, 30일씩 5회 연장 가능

 투자가 및 투자가 가족들을 위한 제한적 체류 허가 

 주택 또는 부동산 소유자를 위한 거주 허가

3

수입 제한

물품 수입에 제한이 적용되지 않음

4

SNI 의무

SEZ 내 인도네시아 국가 표준(SNI) 의무 없음

5

수출 의무

SEZ 내 활동하는 사업체에게 수출 의무 없음

6

부동산 소유

관광 SEZ 내 외국인에게 부동산 소유권 허용

[출처 : 인도네시아 SEZ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정리] 


현지 투자진출 기업 인터뷰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은 인도네시아 투자진출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PT. Freight Cargo Logistics


1. 회사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회사명

PT.Freight Cargo Logistics

진출 시기

2003년

업종

물류/유통

취급 품목

창고, 운송, 화장품, 의류

기업 소개

인도네시아 진출 제조업체에 한국식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창고, 운송, 통관의 One-Stop Servi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신 특별한 이유나 목적이 있으신가요? 있으시다면 해당 목적을 달성하셨나요? 요새 사업 현황은 어떠신가요? 

(1) 진출 목적 : 4차 산업시대에도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아시아 국가라고 판단해서 진출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산업화를 촉진함에 따라 제조업, 물류 등에서 큰 기회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2) 목적 달성 여부 : 현재 진행형입니다. 


(3) 사업 현황 : 인도네시아 정부가 무역과 통관 절차를 디지털화하고 간소화하기 위해서 INSW (Indonesia National Single Window)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하나의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현지에서의 사업 운영 관련 주요 애로사항이 있으신가요? 

인도네시아의 법 규정은 명확한 기준이 부족하거나, 일부 규정이 모호하게 해석될 수 있어 법 해석의 자율적인 판단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국가 전체적으로 정치·경제·사회적 환경이 급변하고 있어 정책에 대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정권 교체나 정부 주요 인사들의 교체에 따라 규제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 관련 법률이나 규제가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어서 사업계획을 조정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4. 귀사의 향후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장기적으로 보면, 긍정적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폐사의 경우, 처음에는 노동집약적인 봉제나 의류 분야의 통관으로 사업을 시작했지만, 시장의 변화에 따라 창고업, 소형화물 운송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전시 화물 통관에 대한 자격도 갖추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장 기회를 분석하고 신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기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삼천리 네트웍스 (현지법인: PT.NETWORKS INDONESIA AKU)


1. 회사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회사명

삼천리 네트웍스

(현지법인 : PT.NETWORKS INDONESIA AKU)

진출 

시기

2021년

업종

IT

취급 

품목

- 지능형 교통시스템 솔루션 및 하드웨어

  • 연구용역. 바이오 

기업 

소개

삼천리네트웍스는 2014년에 설립된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차세대 정보 통신 기술(ICT)을 비롯한 디지털 플랫폼 설계 및 시스템을 구축하는 정보통신 엔지니어링 회사로, 인도네시아에는 2018년에 진출하여 현장사무소를 개설하고 교통 인프라에 대한 용역연구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후 국토교통부의 공적원조사업인 “인도네시아 버스터미널 현대화 시범운영 및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을 계기로 2021년 12월에 현지 법인으로 전환해 설립했습니다.


2021년 4월 ~ 2023년 10월 총 32개월에 걸쳐 인도네시아에 버스터미널 공영 전산센터 구축을 시작으로 A형 터미널 2곳 (동부자카르타 및 반둥)의 온라인 예매·발권·결제, 키오스크, 전산화된 매표창구 시스템, 터미널 방송 시스템, 디지털 전광판, 관리자 시스템 등을 개발·구축하고, 버스터미널 운영에 관련된 법·제도의 정비를 위해 대한민국을 비롯한 선진 교통 국가의 시스템을 녹인 마스터플랜을 제언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했으며, 현재는 자카르타 터미널을 중심으로 시스템 확장을 준비 중입니다.


2024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부 및 산업통상자원부가 중소-중견기업들의 해외 신규 수출지원 또는 선 진출 기업의 수출 역량 증가를 위해 공동 주관하는 사업인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수출바우처)”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중소-중견기업들과의 원활한 소통 및 진출 지원 활동 사업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한국 본사의 주력 사업 중 하나로 화물 및 버스 중개 통합 플랫폼인 “삼천리 Pay” 와 “차온다” 플랫폼을 인도네시아 현지로 진출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건강식품 및 AI건강진단 플랫폼을 인도네시아 구축 중입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IT기업과의 제휴를 통해서 인도네시아로 진출하는 한국 및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IT분야에 대한 컨설팅과 IT 인력 및 IT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다양한 현지 및 한인 기업과의 교류 및 네트워크를 통해 다방면으로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신 특별한 이유나 목적이 있으신가요? 있으시다면 해당 목적을 달성하셨나요? 요새 사업 현황은 어떠신가요? 

(1) 진출 목적 : ① 지능형 교통시스템 설계 및 연구용역 ODA사업 수행 ②인니 진출 희망 한국 기업 컨설팅 ③ 건강식품 및 건강 플랫폼 구축의 목적을 가지고 진출했습니다. 

(2) 목적 달성 여부 : 1번 목적은 달성했으며, 2~3 목적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사업 현황 : 현재 인도네시아 교통부 및 자카르타 주정부 등과 인도네시아 버스터미널의 통합전산시스템을 확대하는 설계를 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 경찰국, 철도공사와 지능형교통시스템 설계를 통하여 다양한 시스템 구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의 인니 진출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연구용역, 기업 매칭 등과 같은 다양한 업무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3. 현지에서의 사업 운영 관련 주요 애로사항이 있으신가요?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통계 자료나 정보들이 여러 출처에 산재되어 있어 통합적인 접근이 어렵고, 데이터 업데이트 속도도 느려 최신 정보 확보에 한계가 있습니다. 


추가로, 현지 정부, 지자체 및 기업의 회신 속도가 전반적으로 느린 경향이 있어 프로젝트 진행 일정에 영향을 미치고, 신속한 의사결정에 어려움이 있기도 합니다. 


4. 귀사의 향후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많은 한국 기업이 있는 만큼, 폐사는 앞으로 한국의 우수한 기업들이 인도네시아로 제품을 수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허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IT 및 ITS 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컨설팅과 IT 인력을 제공함으로써 한국 기업들이 현지에서 더욱더 안정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건강식품 및 건강 플랫폼 사업과 관련하여, 국가 전체의 경제 성장, 인도네시아 사람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시장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하며, 시장 흐름에 맞춰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Style Korean Indonesia


1. 회사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회사명

Style Korean Indonesia

진출 시기

2018년

업종

유통

취급 품목

화장품

기업 소개

  • 한국 화장품과 뷰티 제품을 전 세계로 유통하는 온라인 쇼핑몰이자 뷰티 플랫폼


2.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신 특별한 이유나 목적이 있으신가요? 있으시다면 해당 목적을 달성하셨나요? 요새 사업 현황은 어떠신가요? 

(1) 진출 목적 : 한국 화장품을 기반으로 온라인 뷰티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진출했습니다. 


(2) 목적 달성 여부 :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Shopee)에 공식 스토어를 운영하는 등, K-style을 성공적으로 마케팅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3) 사업 현황 : 진출 이후 매년 50% 이상 성장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개별 브랜드의 가치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3. 현지에서의 사업 운영 관련 주요 애로사항이 있으신가요? 

갑작스러운 규제 변동이 가장 큰 애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업 허가, 무역 정책 등 다양한 부분에서 규정이 자주 변동되며, 특히 새로운 규제가 시행되기 전 충분한 준비할 시간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직원 관리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느낍니다. 현지 직원들과의 문화적 차이,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 업무에 대한 기대 접근 방식의 차이에 따른 애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며 현지 인력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진정한 현지화에 성공하는 기업이 되고자 합니다. 


4. 귀사의 향후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향후 지속적인 확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산층의 성장, 젊은 인구 비율, 온라인 쇼핑 확산과 더불어 K-뷰티의 인기는 여전합니다. 우수한 품질과 트렌디함으로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인도네시아 로컬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과 같은 다른 국가 업체들과의 경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 브랜딩을 통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사점


세계은행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GDP 성장률은 식품 및 에너지 가격의 변동성 증가, 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5.1%로 예측이처럼 인도네시아는 방대한 노동력, 성장하는 중산층, 풍부한 천연자원 등을 보유한 잠재력 높은 시장 환경과 다양한 규제 조치를 완화 사업 환경을 개선하며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의 경우, 특별경제구역이나 산업단지를 투자 대상 지역의 후보로 고려해 볼 수 있다. 다만, 공단 선정 시에는 산업별 업종과 원자재 수급 등의 물류와 접근성 등을 확인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자국 시장 보호와 산업 고도화라는 정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입 쿼터제와 같은 비관세 장벽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인도네시아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현지 법규와 규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여러 가지 통상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공동 작성자: Raina Surtiani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청(BKPM),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 인도네시아 무역·투자 FAQ, 각 산업단지 홈페이지, 인도네시아 SEZ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