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오만, 바이어 위장 불법체류 시도
  • 무역사기사례
  • 오만
  • 고민정
  • 2025-04-09
  • 출처 : KOTRA

□ 발생국가 : 오만

□ 발생시기 : 2025년 3월

□ 피해금액 : 없음


□ 사례

 

국내 R사는 의료용품을 공급, 수출하는 회사로 이메일을 통해 오만 AR사로부터 구매 제안을 받았다. 견적서를 보내준 뒤 얼마 후 오만 AR사로부터 연락이 왔는데, 국내 R사의 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계약할 의사를 밝히며, 한국 방문을 위한 초청장을 보내달라고 R사에게 요청하였다. 회사 대표는 비자 면제라며 구매담당 직원인 파키스탄 국적의 여권 사본을 보내주면서 입국 초청장과 신원보증서를 R사에 요청해왔다. 결제조건으로 한국 방문 후 계약 시 선수금 50%를 지급하고 선적 후 잔금을 지급하겠다고 제시했다. 


국내 R사는 거래 시작 단계부터 한국 방문을 한다는 것이 의심이 들어 코트라 본사에 오만 업체 조회를 의뢰하였다. 코트라 확인 결과 불법체류 시도가 의심되어 코트라는 국내 R사에 더 이상 대응하지 말도록 권고하였다.


-불법체류 의심업체 정보:  오만  AR internat****Trad*** LLC


 메일교신자 : Dev Baha***


-위장 사이트 조회결과 (도메인 단기 등록 수법)



□ 무역사기 시도 패턴


1) 실존 기업을 사칭하거나 혹은 직접 무역기업으로 등록 후 공장 방문 등을 핑계로 방한 비자 발급용 초청장과 신원보증서를 요청하는 사례가 자주 있다. 


2) 방한 초청장 발급 유도 

바이어가 거래에 적극적으로 좋은 조건을 제시하고, 수출자에게 공장 방문을 통해 생산제품을 직접 확인하고 싶다는 명목으로 초청장 발급을 유도하는 것이 그 수법이다.


3) 비자 브로커들은 이메일 등을 통해 접촉하여 거래 논의를 시작하며 공장 실사 등을 빌미로 방한 비자 발급을 위한 초청장을 요구한다. 구매책임 혹은 기술자 등 직원이라고 언급한 인원을 포함하여 4인 등 다수의 입국 초청장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다.



□ 무역사기 대응 및 예방 체크리스트


1) 오만 기업정보 조회

 오만의 기업정보 조회는 오만 상공투자진흥부 홈페이지(http://www.business.gov.om)에서 사업자등록번호인 CR(Commercial Registration) 또는 기업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business.gov.om/portal/searchEstablishments?execution=e2s1



2) 해외 수입업체 연락처 확인 서비스를 통한 업체 사전 조회

KOTRA 무역관이 제공하는 ‘수입업체 연락처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KOTRA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문의 상담을 신청하면 특정 기업의 실존 여부, 대표 연락처 확인 등이 가능하다


3) 처음 연락된 현지 업체가 접촉해 와서 좋은 거래조건을 제시하고 갑작스러운 방한 의사를 밝힌다면 반드시 신원 검증을 진행해야 한다. 상대측에 사업자 등록증 License를 보내 달라고 하여 진위를 현지무역관에 문의하거나, 경제개발부 사이트에서 직접 조회·검색할 수 있다.



-도용 사칭된 기업 등록증




* 무역사기 상담문의

- 전화상담 : 1600-7119 ( 연결번호 2번 누른 후 무역사기 6번 선택) 

                김상겸/최철식 무역사기 담당 수출전문위원 상담


- 온라인 상담 : ① kotra무역투자24(www.kotra.or.kr) → 문의·상담  온라인상담  상담신청

                    ② 분야선택 : 무역-무역분쟁-무역사기/분쟁 문의 

                    ③ 국가/무역관 선택 후 문의내용 작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