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한국인 직원 사칭 항공 물류비 편취 주의
- 무역사기사례
- 태국
- 고민정
- 2024-10-08
- 출처 : KOTRA
-
□ 발생국가 : 태국
□ 발생시기 : 2024년 8월
□ 피해금액 : 6백만원
□ 사례 1.
국내 A사는 아웃도어 의자를 제작 판매하는 회사로 이메일을 통해 태국 무역회사 H사에 근무하는 한국인 부사장으로부터 구매 문의 및 견적 의뢰를 받았다. 견적서 발송 후 태국 H사로부터 3천개 20,000불 상당의 수량을 발주하겠다는 연락이 왔다. 바로 다음날 H사는 대금 입금을 위해 A사에게 사업자등록증과 통장사본을 요청하였다.
며칠 후 태국 H사는 물품 대금에 대한 송금증을 보내주며 수일 내에 입금될 것이니, 납기가 급해 일부 품목이라도 우선 항공 운송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해 왔다. 태국 H사는 화물 항공일정을 잡기 어렵다는 설명과 함께 인천소재의 국내 물류업체(S사)를 통해 진행할 것을 A사에게 알려주었다.
A사는 소개받은 국내 S사 물류 업체에 연락하였고, 물류업체는 항공편 예약이 성사되었다며 항공 물류비용에 대해 선입금해 달라고 요구해 왔다.
국내 A사는 송금증을 이미 받은 후였기 때문에 아무 의심 없이 물류비용 6백만원을 물류사 국내 계좌에 송금하였는데 이후 물류업체와 바이어 모두 연락이 두절되었다. 국내 A사는 뒤늦게 무역사기로 의심되어 코트라에 확인 요청을 하였다. 확인 결과 한국인 직원 사칭 사기 조직으로 확인되어 수사기관에 피해 신고토록 안내하였다.
- 태국 기업 사칭 한국인 정보
H***** TRA**** CORP 김** 부대표
S* Logis****국내 물류사 이**과장
- 사기조직의 가짜 송금증 발송후 메일 안내 내용 (국내 피해기업 안심 유도 목적)
[ 매매 계약서 및 송금 내역서(US달러)를 송부 드리오니 확인을 부탁 드립니다.
현지 주 거래 은행인 BANGKOK BANK를 통해
미화 달러 $20,*** (원화 26,838,***원)을 송금드렸습니다.
환율은 받으실때 환율로 1321.80원으로 적용 드렸습니다.
혹시라도 대금 수령 시 환율 차액 부분이 발생하면 추가 송금 드리겠습니다.
외환송금이라 08.23.2024일쯤에는 입금 확인이 되실겁니다.
(USD의 경우 2~4일 소요)
귀사의 익일 번창하심을 기원하며 좋은 인연이 되길 바랍니다.]
□ 사례 2.
국내 M사는 식품을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이메일을 통해 태국 P사의 한국인 직원으로부터 구매 문의를 받았다.
P사는 태국에 소재한 무역회사로 한국 물품을 구매 수입하여 태국시장에 판매하는 회사라고 소개해왔다. 국내 M사는 요청대로 견적서를 보내주었고 태국 P사 한국인 직원은 바로 주문서를 보내주겠다고 하였다. 물품은 국내 인천 소재의 S 로지스틱스 물류회사를 통해 배송 해달라고 요청해왔다.
국내 M사는 태국 P사에 대한 신원 조회를 위해 코트라에 문의하였다. 코트라에서 확인한 결과, 과거 ‘동남아 기업 한국인 직원사칭 물류비 편취사기’와 같은 수법으로 의심되었다,
M사가 교신한 카톡과 이메일을 검토한 결과, 태국 소재 실제업체인 P사를 사칭한 한국인 사기조직으로 판단되어 즉시 더 이상 대응하지 말도록 통보하였다.
필리핀 거점 한국인 사기조직이 태국업체로 위장하는 수법으로 한국업체에 접근하고 사기를 시도하는 사실을 M사에 안내하여 사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 사기 조직이 도용 사칭한 태국 회사명
PSH(Pa***** S****** Hold***) TRADING Co., Ltd.
총괄 이사 이**
국내물류사 S 로지** 최** 과장
□ 무역사기 시도 패턴
1) 필리핀 거점 사기 조직으로 한국내 가짜 물류업체와 조직적으로 무역사기 시도
자칭 태국, 베트남 소재 기업의 소속 직원이라는 한국인이 접근해 한국에 있는 가짜 물류업체와 함께 조직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태국 기업 사칭 업체 리스트 ]
(1) H***** TRAD*** CORP 김** 부대표
S* Logis****국내 물류사 이**과장
(2) 태국 PSH(Pa***** S****** Hold***) TRADING 이** 총괄이사
D 로지** 최** 과장
(3) 태국 AMP Internat**** co.,Ltd 이** 총괄이사
D 로지** 최**과장
2) 태국 실존 기업명 및 주소를 도용하여 무역사기 시도
실제로 태국에 있는 기업명을 사용하며 매번 이름을 바꾸어 가면서 주소 및 전화번호를 메일상에 표시하여, 한국 기업이 단순히 업체 이름과 주소 등의 검색만으로는 판별이 어려운 점을 악용하고 있다.
3) 가짜 송금증을 사용하여 항공 물류비를 편취
T/T를 통한 송금이 완료되었다는 송금증을 보낸 후, 물건을 항공운송으로 빠르게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해당 송금증은 위조된 것으로 은행 확인이 되기 전에 항공 물류비를 선입금 유도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 무역사기 대응 및 예방 체크리스트
1) 동남아 국가 소재 기업 한국인 직원 이름으로 접근 구매 제안 시 주의
카톡(보이스톡) 등으로 연락하여 커뮤니케이션의 편리함과 친근감을 나타내는 수법 카톡 인입 시 상단에 해외 발신 표시로 +63(필리핀)으로 들어오면 의심해야 한다.
사기 조직은 실제 필리핀에 거주하면서 사이버상에서 동남아시아 실존기업 도용 사칭으로 위장하여 한국 내 가짜 물류업체를 통해 조직적으로 무역 사기를 시도하고 있다.
실존하는 회사는 일반적으로 회사명의 자체 도메인 이메일을 사용한다.
발신자 메일주소가 구글 Gmail 이메일의 주소일 경우 사기 시도일 가능성이 높은 바 주의가 필요하다.
2) 송금증이 아닌 실제 입금 확인 필수
무역사기의 패턴으로 T/T를 통한 송금이 완료되었고, 물건을 시급히 보내달라는 수법으로 진행된다. T/T를 통한 송금을 하였다고 하여도 입금이 실제로 확인되기 전까지는 절대 물품을 배송하지 않아야 한다.
3) 해당 업체의 진위 여부 확인
거래 전 기업명 및 사업자등록번호를 요청하여 현지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업체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사업자등록증 위조 주의)
4) KOTRA ‘해외수입업체 연락처 확인서비스’ 이용
기업의 존재 여부, 대표 연락처 확인이 가능하며, 연간 5개사 한정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거래 전 KOTRA 무역관을 통해 업체 진위 확인 후 진행하면 사기를 예방할 수 있다.
https://www.kotra.or.kr/subList/20000005984/subhome/bizIntro/selectBizDetail.do?bizClCd=ESPUOMOS
-가짜 송금증
-가짜 주문서
-가짜 국내 물류사 견적서
* 무역사기 상담문의
- 전화상담 : 1600-7119 ( 연결번호 2번 누른 후 무역사기 6번 선택)
김상겸 또는 최철식 무역사기 담당 수출전문 위원 상담
- 온라인상담 : ① kotra무역투자24(www.kotra.or.kr) -> 문의.상담 -> 온라인상담 -> 상담신청
② 분야선택 : 무역-무역분쟁-무역사기/분쟁 문의
③ 국가/무역관 선택 후 문의내용 작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