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아프리카 가나, 가짜 정부기관 에이전트 무역사기 주의
  • 무역사기사례
  • 가나
  • 고민정
  • 2024-03-25
  • 출처 : KOTRA

□ 발생국가 : 가나

□ 발생시기 : 2024년 2월

□ 피해금액 : 없음



□ 사례 1.


국내 D사는 태양광 제품을 제조 수출하는 회사로 이메일을 통해 아프리카 가나 S사로부터 공급 제안을 받았다. 가나 에너지부(Minister of Energy, Ghana)에 태양광 가로등 입찰 납품건으로 7만5000개(7200만 달러)의 대량 물량으로 입찰 신청을 하라는 요청이었다. 

국내 A사는 입찰신청서와 proforma invoice 등을 작성하여 보내주었다. 얼마 후 가나 정부 에너지부 책임자로부터 직접 연락이 와서 입찰 선정이 되었다고 하며 구매계약서를 D사에 보내 왔다.

 

국내 D사는 대량물량의 오더가 너무 쉽게 선정되고, 공급 계약서 조건 중 낙찰 등록금 0.57%에 대한 강제 준수 조항이 의심이 되어 코트라 본사에 거래 진위에 대해 문의하였다.


코트라에서 확인한 결과, 가나 S사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회사이고 가나 에너지부의 구매 계약서도 장관명의(Dr.M.Opo** ****)로 해외 벤더에게 발송하는 것은 이례적인 바, 무역사기로 의심되어 거래 주의토록 권고 조치하였다. 구매 계약서 특이조항 또한 통상적이지 않은 기준이 기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가나 S사의 사기메일 상 구매 계약서 특이조항  

  This is a mandatory requirement. 

  All or any foreign company awarded with any government contract must have to register it with a zero-point fifty seven percent(0.57%) charges of the contract principal sum.

  (계약금액 72백만불 기준 등록비 명목 41천불 송금 요청)


코트라에서는 가나 에너지부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한 공식 연락처로 직접 문의도 가능하다고 안내하였다.

  Ministry of Energy, P.O. Box SD40, Stadium Post Office Accra, Ghana

  info@energymin.gov.gh

  Tel. +233 302683 961 | Fax: +233 302 668262 |  Call Centre: +233 2765 02239


동 조치를 통해 등록비 송금을 막을 수 있었다.



□ 사례 2.


국내 L사는 헤어케어 제품을 수출하는 회사로 이메일을 통해 아프리카 가나 B사로부터 가나 정부기관 단체에 입찰 공급 제안을 받았다. 

가나 B사는 자신을 가나 정부기관인 서아프리카 재활 프로젝트 경제위원회(EC-WARP : Economic Commission for West-Africa Rehabilitation Projects) 조달을 위한 등록된 에이전트라고 소개하면서, 대량 구매를 위한 입찰건으로 국내 L사에 헤어제품의 입찰신청서와 proforma Invoice를 요청해왔다. 

국내 L사는 코트라에 가나 정부단체 (EC-WARP)의 실체에 대해 문의하였다. 코트라에서 확인한 결과, EC-WARP 기관 단체의 입찰 공식 지정 Agent는 WENSAM Co. Ltd (ECWARP Certified Broker's Ghana)으로 조회되었고 가나 B사는 등록되지 않은 가짜 Agent로 의심되었다. 코트라는 즉시 이 사실을 국내 L사에 통보하고 더 이상 대응하지 않도록 조치 하였다.


- 가짜에이전트 의심 기업

  BA*** ******Consultant  

  +233 5** 190*** Mr. Mi***** ****(발신자)



정부기관 공식 홈페이지에 공지된 내용


https://ecwarp.org/ec-warp-procurement

As regulated by the ECWARP Governing body(Authority) all tender registration/participation fees are to be made through the ECWARP Certified Broker's account at Wensam Co. Ltd.



□ 무역사기 시도 패턴


1)  정부기관,단체 등에 입찰 참여 제안

 정부기관의 성격이나 입찰절차를 잘 모르는 우리 업체의 경우 사실관계 확인이 어려운데 이점을 악용하는 사기업체들이 많다. 

 사기유형에는 서류위조, 등록수수료 사취 등이 있으며, 국가기관을 사칭한 서류 위조가 가장 자주 일어나고 있다. 


2) 정부 입찰 선정을 빌미로 제품 등록비 또는 변호사 공증비 요구 (계약서 조항 삽입)

 무역사기를 시도하는 업체들은 입찰승인 및 등록 관련 비용을 청구하여 송금을 요구한다. 

 입찰기관으로부터 입찰에 귀사가 선정되었다는 이메일을 보내고 공급업체(귀사)가 직접 방문하여 계약서에 서명하거나 참석이 어려운 경우 대리인 변호사를 통해 계약을 체결하도록 유도한다. 


3) 가짜 웹사이트, 존재하지 않는 정부기관 사용

실존하는 정부기관과 유사 이름의 웹사이트로 유인하기도 하고 실제 기관단체을 도용 사칭하는 에이전트로 위장하여 접근하는데, 현지 업체가 제공하는 모든 주소, 이름, 계약 정보는 일시적이며 허위 정보일 수 있다. 무역사기의 유형이 과거에 비해 교묘해지고 있기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무역사기 대응 및 예방 체크리스트


1)  KOTRA 무역관은 현지 업체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가나 기업등록국(Registrar of Companies, Ghana)에 조회하여 업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 검색하고자 하는 기업의 이름, 검색유형(포함 여부), CAPTCHA(자동 로그인 방지)를 입력하면 기업 정보가 나온다.


  https://rgd.gov.gh/sole%20prop.html



  

2) 가나 에너지부 정식등록된 Agency조회는 사이트내 RTI(Right to Information Bill)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energymin.gov.gh/right-information-bill-rti


  

3) 바이어가 보내준 서류 진위 확인 필요

 위조된 서류들은 기관의 명칭, 주소, E-mail, 심지어 로고 자체가 실제와 다른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

 사기성 오퍼를 발송한 바이어는 다른 모양의 기업로고와 주소, 전화번호를 사용해 사기를 시도하기도 한다. 서류 위조 판별은 코트라 관할 무역관에 온라인문의로 요청 할 수 있다.


5) 무역 사기 경고 사이트 조회 가능

https://www.stop419scams.com/search.php?keywords=wardu#google_vignette



□ 위조된 허위 구매 계약서

 





* 무역사기 상담문의

- 전화상담 : 1600-7119 연결번호 2번 누른 후 6번 (최철식 무역사기 담당 전문위원)   

- 온라인상담 :  kotra무역투자24(www.kotra.or.kr) -> 문의.상담 -> 온라인상담 -> 상담신청

                      분야선택 : 무역-무역분쟁-무역사기/분쟁 문의 

                     국가/무역관 선택 후 문의내용 작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