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식품기업, UzFood 2025에서 우즈베키스탄 진출 발판 마련
- 트렌드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한정선
- 2025-04-29
- 출처 : KOTRA
-
UzFood 전시회, 30개국 413개사 참여해
우즈베키스탄 K-Food 동향
우즈베키스탄 내 한국 식품(K-Food)에 대한 관심은 한류 확산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라면, 김치, 한국식 소스류(고추장, 간장)와 같은 기본 제품부터 떡볶이, 만두, 인삼 음료 등 다양한 품목으로 소비자의 관심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2020년 약 330만 달러 수준이었던 한국의 대(對)우즈베키스탄 식음료 수출 규모는 2024년 약 1330만 달러로 4배 이상 성장했으며, 특히 라면과 관련 제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국가별 식음료 분야 수입 내역>
(단위: US$ 백만)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카자흐스탄
851.9
1,059.2
1,427.0
1,410.3
1,329.5
러시아
660.1
777.6
879.1
852.7
938.3
벨라루스
81.7
105.9
147.8
145.4
207.1
인도
12.1
16.2
58.0
73.2
139.9
중국
52.6
55.1
70.4
111.8
171.9
튀르키예
34.8
65.9
73.6
86.6
99.0
키르기즈스탄
20.7
16.9
84.8
68.8
94.6
독일
26.1
33.8
24.1
35.0
38.4
대한민국
3.3
4.4
5.0
7.3
13.3
아랍에미레이트
1.4
3.5
9.8
15.9
11.9
소계
1744.7
2138.5
2779.6
2807
3043.9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청]
<한국에서 우즈베키스탄으로의 식음료 수출 품목>
(단위: US$ 천)
품목
2020
2021
2022
2023
2024
시가
0
0
0
0
5,697
파스타 및 관련 제품
310
392
873
1,522
2,671
파종용 씨앗, 과일 등
1,476
1,548
1,433
1,687
915
미네랄 및 탄산수 포함한 물
31
311
295
334
473
해초 및 기타 조류
54
131
63
184
200
커피, 차 또는 마테의 추출물, 에센스 및 농축액
43
107
97
66
80
과일, 견과류 및 기타 식물의 식용 가능한 부분
7
13
44
128
185
기타
1,360
1,869
2,235
3,336
3,124
총계
3,280
4,370
5,041
7,257
13,345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청]
또한,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를 중심으로 한식당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김밥, 된장찌개, 김치찌개, 순두부찌개, 생선구이, 비빔밥, 불고기덮밥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한식당이 다수 운영 중이며, 특히 비빔밥과 김밥처럼 돼지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극적이지 않은 메뉴가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돼지고기를 기피하고 매운 음식을 선호하지 않는 우즈베크인의 식문화와 자연스럽게 맞물리면서 한국 식품과 외식 문화가 현지에 자연스럽게 확산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지 한식당>
Seoul Menga(서울명가)
SODAM(소담)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UzFood 2025 개요 및 주요 특징
전시회명
제24회 국제 식품·재표 및 식품 기술 전시회 – UzFood 2025
(The 24th International exhibition on Food, Ingredients and Food Technologies – UzFood 2025 )
장소
UzExpoCenter
기간
2025.4.8.(화)~4.10.(목)
홈페이지
https://uzfoodexpo.uz
주최
Iteca Exhibitions
참가국/기업 수
30국, 413개사
방문자 수
11,154명
주요 부문
- 식품 원료 및 첨가물
- 식품 가공 및 제조 설비
- 포장 및 충전 장비
- 보관 및 물류 장비
- 위생 및 안전 장비
- 계측 및 품질 관리 장비
- 완제품(식품, 유제품, 음료 등)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요약]
제24회 국제 식품, 원료 및 식품 기술 전시회 ‘UzFood 2025’가 2025년 4월 8일(화)부터 10일(목)까지 3일간 타슈켄트 UzExpocentre 전시장에서 열렸다. UzFood는 우즈베키스탄 식품 산업을 대표하는 주요 전시회로, 매년 국내외 식품 제조업체, 공급업체, 유통업체들이 참가해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전시회는 Iteca Exhibitions가 주최하고, 우즈베키스탄 농업부, 투자산업통상부, 상공회의소가 공식 후원 기관으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에는 우즈베키스탄 13개 지역과 30개국에서 총 11,154명의 참관객이 방문했으며, 이 중 8,262명은 식품 산업 관련 전문 관람객으로 등록되었다. 독일, 러시아, 벨라루스, 대한민국, 중국, 폴란드, 튀르키예,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스위스, 라트비아, 네덜란드, 이탈리아, 이란, 인도 등의 국가에서 총 413개 기업 및 브랜드가 참가해 각국의 식품들을 소개했다. 참가 기업과 바이어 간에는 활발한 비즈니스 상담이 이루어졌고, 현장에서는 다양한 식음료 제품이 전시와 함께 시식 형태로도 제공되어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KOTRA 타슈켄트 무역관이 운영한 한국관에는 총 13개의 한국 기업들이 참가하여 건강기능식품, 음료, 밀키트 등 다양한 품목을 선보였다. 각 기업은 현지 시장에 적합한 제품을 중심으로 상담을 진행하며 우즈베키스탄 바이어들과의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집중했고 일부 기업은 현장에서 유통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며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기반을 마련했다.
<참가 기업 및 전시 품목>
참가 기업
전시 품목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휴먼웰
조미김, 파래새우칩, 돌자반, 김스낵
오케이에프㈜
음료
문경오미자밸리 영농조합법인
오미자 가공품
㈜엘에프푸드
냉동 밀키트
㈜비케이코리아
카페 음료 및 치킨 관련 파우더 및 소스
농업회사법인 천년홍삼(유)
홍삼
㈜바이오뉴트리젠
간 건강, 에너지대사, 면역 및 항바이러스, 다이어트용 분말차 및 드링크
케이앤디코리아㈜
라면
농업회사법인㈜영풍
떡볶이
하누즈솔루션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생활용품 등
농업회사법인㈜ 저스트그린
샐러드, 와삭 바나나칩, 바삭현미칩망고
연호음료주식회사
음료
경북통상
농수산식품류
[자료: 무역관 자체 정리]
<UzFood 2025 한국관>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주요 전시 품목 HS CODE>
전시 품목
사진
HS CODE
Green Laver Shrimp Chips
1905.90-1090
Aloe Vera King
2202.99-9000
Liver Supplement
2106.90-9099
Joayo Topokki
1901.90-9091
Schisandra Omija with Pear and Balloon Flower Roots
2202.99
DAL TTEOKBOKKI
Rice Cake Skewers
1901.90
Korea Red Ginseng
Extract stick
1302.19
Jeju Hallabong Ade
2202.99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및 무역관 자체 정리]
또한, 전시 기간 동안 식품 제조사와 바이어 간의 만남을 주선하는 전문 비즈니스 플랫폼인 Retail Center가 운영됐다. 이 자리에는 Korzinka, Havas, Makro, The Mart 등 우즈베키스탄을 대표하는 마트 체인뿐만 아니라 Uzum Market, Wildberries와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기업도 참석하여 전시회 참가 기업들과 제품 공급 및 유통 관련 협의를 진행했다. 한국관 참여 기업들 또한 적극적으로 상담에 참여하며, 현지 유통망과의 실질적인 연결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UzFood 2025 Retail Center>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전시회 참가기업 반응
UzFood 2025에 참가한 한국 기업 BK KOREA를 만나 전시회 진행 상황과 앞으로의 기대에 대해 들어보았다. BK KOREA는 눈꽃빙수기와 빙수 및 음료 제조에 필요한 파우더, 소스 등을 전 세계 약 50개국에 수출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중동과 홍콩에서 카페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고 있으며, 치킨 및 Korean BBQ 레스토랑을 위한 식자재 유통 등 외식 산업 전반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BK KOREA 부스>
[자료: 무역관 자체 촬영]
Q1. 전시회 참가 소감은?
A1. 전시회는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KOTRA 타슈켄트가 주최한 B2B 상담을 이미 여러 건 진행하였으며, 참관객들로부터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Q2.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이번이 처음 참여한 것인가?
A2. 그렇다. 이번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리는 식품 전시회에 처음으로 참가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지에서 우리 제품에 대한 관심을 분명히 체감하고 있다.
Q3. 이번 전시회에 대해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A3. 이번 전시회에 거는 기대는 크다. 우리 제품은 주로 카페나 레스토랑 등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한 제품인데, 우즈베키스탄에는 이와 같은 업장이 많기 때문에 수요가 높다고 판단한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현지 파트너를 발굴하고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한국 요리에 대한 인기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신규 한식 카페와 레스토랑이 증가하고 있어 치킨 소스, 바비큐 소스 등 다양한 소스 제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사점
KOTRA 타슈켄트 무역관은 이번 UzFood 2025 전시회에서 한국관을 조성하여 우리 기업들이 다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이는 최근 한국 식품에 대한 증가하는 현지의 관심에 응답하고, 우리의 다양한 식품을 더 널리 알리고자 하는 취지에서 진행되었으며, 관람객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한국관에 참가한 한국 기업들은 단순한 전시 참가를 넘어, 현지 유통업체들과 실질적인 비즈니스 협의에 나서며 적극적인 시장 개척 행보를 보였다. 일부 기업은 현지 바이어의 관심을 유도하고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며 향후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이러한 활약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진출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중앙아시아 시장 확장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자료: https://uzfoodexpo.uz, Exhibitor and Buyers 인터뷰, 기타 현지 언론보도 및 KOTRA 타슈켄트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한국 식품기업, UzFood 2025에서 우즈베키스탄 진출 발판 마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우즈베키스탄 자동차 산업 정보
우즈베키스탄 2024-11-06
-
2
2021년 우즈베키스탄 농업 정보
우즈베키스탄 2022-01-20
-
3
2021년 우즈베키스탄 자동차산업 정보
우즈베키스탄 2022-01-14
-
4
2021년 우즈베키스탄 제약산업 정보
우즈베키스탄 2022-01-05
-
5
2021년 우즈베키스탄 금융산업 정보
우즈베키스탄 2021-12-29
-
6
2021년 우즈베키스탄 산업개관
우즈베키스탄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