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키스탄 금, 구리 자원 매장 현황 및 개발 프로젝트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민준호
- 2024-12-23
- 출처 : KOTRA
-
Keyword #파키스탄
남서부 발루치스탄 지역 미개척 광물자원 매장 풍부
개요
파키스탄에는 대규모 금 및 구리 매장량이 존재하며, 그중 대부분은 발루치스탄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 파키스탄에는 약 16억 톤 이상의 금 매장량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발루치스탄의 레코딕(Reko Diq) 지역은 주요 금과 구리 광상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레코딕 광산을 소유하고 있는 Barrick Gold는 초기 단계에서 연간 약 17만 톤의 구리와 30만 온스의 금을 생산할 계획이며, 이후 연간 약 35만 톤의 구리와 90만 온스의 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발루치스탄의 차기(Chaghi) 지역에 위치한 다트-에-쿤(Daht-e-Kuhn) 및 노쿤디(Nokundi)에서도 구리 광상이 발견된 바 있다.
수출입 현황
파키스탄은 현재 금을 원광(ore)이나 정제(refined) 형태로 세계 어느 국가에도 수출하지 않고 있다. 반면, 파키스탄은 구리, 특히 정제 구리의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은 파키스탄 구리 수출의 최대 시장으로, 전체 수출 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외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는 한국, 아랍에미리트, 벨기에, 홍콩 등이 있다. 파키스탄의 구리 수출은 국가의 무역 수지 및 경제 성장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전략적 위치와 주요 시장에 대한 접근성은 파키스탄이 주요 구리 수출국으로 부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에너지 부족과 인프라 제약과 같은 도전 과제는 향후 이 부문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파키스탄 구리 원광 수출현황 HS Code: 2603.0000>
(단위: US$, %)
국가
수출액 2021-22
수출액 2022-23
증감률
점유율
중국
11,484,702
15,611,829
35.94
99.71
팔레스타인
-
37,155
-
0.24
캄보디아
24,063
8,402
-65.08
0.05
태국
6,839
-
-100.00
-
총계
11,515,603
15,657,386
35.97
100.00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파키스탄 정제 구리 수출 현황 HS Code: 7403.1900 >
(단위: US$, %)
국가
수출액 2021-22
수출액 2022-23
증감률
점유율
중국
734,908,956
590,202,414
-19.69
99.83
아랍에미레이트
-
948,734
-
0.16
한국
-
73,693
-
0.01
사우디아라비아
-
4,441
-
0.00
독일
-
202
-
0.00
홍콩
606,229
-
-100.00
-
벨기에
65,682
-
-100.00
-
총계
735,580,862
591,229,484
-19.62
100.00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파키스탄 금괴(5kg) 수입 현황 HS Code: 7108.1210 >
(단위: US$, %)
국가
수입액 2021-22
수입액 2022-23
증감률
점유율
미국
4,330,218
6,781,699
56.61
60.59
캐나다
1,985,588
3,299,657
66.18
29.48
아랍에미레이트
-
906,480
-
8.10
영국
-
205,410
-
1.84
총계
6,315,806
11,193,250
77.23
100.00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수출 통제
외환관리법(Foreign Exchange Act) 제8조 제2항에 따라, 금의 수출은 국가은행(State Bank)의 일반적 또는 특별 허가 없이는 금지되어 있다. 그러나 국가은행은 금의 수출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파키스탄의 주요 금 및 구리 탐사 기업
[중국야금공사(Metallurgical Corporation of China, MCC: 사인다크 금·구리 프로젝트)]
중국야금공사(MCC)는 파키스탄 광업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으로,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발루치스탄 지역의 사인다크(Saindak) 구리·금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MCC는 이 프로젝트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파키스탄의 광물 자원 채굴과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MCC는 사인다크 프로젝트 외에도 파키스탄 광업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광물 산업 단지를 설립하려는 계획은 파키스탄 광업 산업의 발전과 부가가치 창출 기회를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중국의 투자 확대가 파키스탄 광업 부문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시사한다. 현재까지 MCC는 2,200개 이상의 현지 일자리를 창출했으며, 약 10,000명의 노동자를 광업, 기계, 전력 및 기타 산업 분야에서 훈련시켰다. 또한, 약 11억 달러 상당의 생산 자재와 생활 필수품을 조달하고, 도로, 학교, 병원 건설을 포함해 6개 인근 마을에 물, 전기, 의료 서비스, 교육을 무료로 제공했다. 이와 함께, 사회적 책임을 위해 2,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약 7억 2,200만 달러의 세금 및 이익을 기여했다. 2023년까지, MCC의 자회사인 MRDL이 블리스터 구리 판매를 통해 창출한 외환 수익은 총 29억 2,000만 달러에 달한다.
[Barrick Gold Corporation (레코딕 프로젝트)]
Barrick Gold Corporation은 캐나다 기반 글로벌 광업 기업으로, 발루치스탄 지역의 레코딕(Reko Diq) 구리·금 프로젝트를 통해 파키스탄 광업 부문에 큰 투자를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가동되면 세계 최대 규모의 구리·금 광산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Barrick은 파키스탄 및 발루치스탄 정부와 협력하여, 10년에 걸친 법적 분쟁 이후 프로젝트를 부활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동 프로젝트는 2024-25년 말까지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2025년 건설 단계에 돌입할 계획이다. 채굴 작업은 2028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목표하고 있다. 이러한 일정은 프로젝트의 높은 잠재력과 Barrick 및 파키스탄 모두에게 갖는 중요성을 반영한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는 레코딕 프로젝트의 부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우디 개발 기금(Saudi Fund for Development)은 프로젝트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며, 파키스탄 경제 발전에 대한 사우디아라비아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분참여는 프로젝트 일정 가속화뿐만 아니라 파키스탄의 전반적인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며 다른 국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 계기가 되고 있다.
시사점
자료: China Daily,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US Geological Survey, State Bank of Pakistan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금, 구리 자원 매장 현황 및 개발 프로젝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파키스탄 IT 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4-09-06
-
2
2024년 파키스탄 자동차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4-07-09
-
3
2023년 파키스탄 IT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3-10-31
-
4
2023년 파키스탄 농업 시장 정보
파키스탄 2023-09-06
-
5
2022년 파키스탄 제약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2-09-15
-
6
2022년 파키스탄 자동차 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