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마그네사이트 공급망 동향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4-07-31
- 출처 : KOTRA
-
내화재가 마그네사이트 소비량의 80% 이상을 차지
중국 마그네사이트 생산량 세계 최대
마그네사이트 (Magnesite)는 탄산마그네슘(Mg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광물이다. 이를 제조하여 만든 재료들은 높은 내화성과 접착성을 갖고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마그네사이트
251910.0000
[자료: HS 코드망]
산업 가치사슬
마그네사이트의 주요 다운스트림 응용 분야는 내화재(耐火材), 화학공업, 건축재료, 경공업과 농목업 등이다. 특히 내화재는 마그네사이트의 가장 중요한 다운스트림 응용 분야로 마그네사이트 소비량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마그네사이트는 소성(烧成), 용융(熔融) 등의 공정을 거쳐 각종 마그네슘질 내화재를 제조하는데, 주로 철강, 시멘트, 유리, 세라믹 등 고온공업의 용광로 안감에 사용된다.
그 다음으로 마그네사이트가 많이 활용되는 다운스트림 분야는 화학공업 분야로 마그네사이트 소비량의 약 10%를 차지한다. 마그네사이트는 금속 마그네슘을 정제하는 주요 원료이며 금속 마그네슘은 중요한 경금속으로서 항공우주, 자동차 부품, 전자통신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등 화학공업 제품을 제조하여 제지, 비누, 식품, 의약품 등을 만들기도 한다.
건축재료는 마그네사이트의 신흥 다운스트림 응용 분야로 마그네사이트 소비량의 약 5%를 차지한다. 산화마그네슘 시멘트, 산화 마그네슘판 등 마그네슘질 건축재료는 밀도가 낮고 단열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경공업과 농목업은 마그네사이트 소비량의 약 5%를 차지하는데, 주로 Grinding Wheel, 타일, 비료, 사료 첨가제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데 쓰인다.
<중국 마그네사이트 산업 가치사슬>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글로벌 매장 현황
미국지질조사국(USGS)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68억 톤에 달하며, 주로 러시아, 중국, 슬로바키아 등의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각각 전체 글로벌 매장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8%, 8.5%, 5.4%이다.
<2022년 글로벌 마그네사이트 주요 매장국 분포>
(단위: %)
[자료: USGS, 광대증권연구소(光大证券研究所)]
중국 매장량 현황
화경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몇년 간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5억7991만1000톤이었는데, 2022년에는 6억8011만9000톤으로 2021년 대비 1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자원은 주로 랴오닝(辽宁)성, 허베이(河北)성, 산둥(山东)성, 안후이(安徽)성 등의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그중 랴오닝성 랴오둥 지역의 잉커우(营口), 다스차오(大石桥), 하이청(海城) 일대는 세계적인 마그네사이트 자원 집중 지역이다. 화경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랴오닝성은 중국 최대 마그네사이트 매장지이자, 그 품질도 우수하다. 2021년 랴오닝성의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은 5억3208만6000톤으로 매장량이 중국 국내 총 매장량의 9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2022년 중국 마그네사이트 매장량>
(단위: 만 톤)
[자료: 화경산업연구원, BAIINFO]
생산 동향
러시아는 세계 최대 마그네사이트 매장지이며, 중국은 그 뒤를 이어 2번째로 많은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마그네사이트 생산량은 중국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지질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생산량은 2020년과 2021년 동일하나, 2022년은 2021년 생산량 대비 5.6%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생산량은 1700만 톤으로 글로벌 총생산량의 63%를 차지한다. 2025년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생산량은 25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5년 중국 마그네사이트 생산량>
(단위: 만 톤)
[자료: USGS, 화경산업연구원]
가격 동향
2023년 8월부터 마그네사이트의 중국 월평균 가격은 전반적인 상승 추세곡선을 보이고 있는데,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 4개월간은 최근 1년간 최고점인 톤당 470위안의 가격이 지속됐다. 2024년 4월부터는 다시 소폭 하락했지만, 그 하락폭은 전월 대비 1.6%로 크지 않았다.
한편 중국에서는 마그네사이트 자원 수급에 대한 중국 정부의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정책들이 잇따라 발표되고 있는데, 최근 광산 채굴이 제한되어 마그네사이트 자원 수요량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다시 소폭 상승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23년 1월~2024년 6월 기간, 중국 마그네사이트 가격>
(단위: 위안/ 톤)
[자료: BAIINFO]
한중 수출입 동향
중국 마그네사이트의 주요 수출국은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순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의 대 인도네시아 수출액은 2020년부터 지금까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2022년 중국의 대 인도네시아 수출액은 4023만8000달러로 2021년 대비 225.3% 증가했으며 2023년 대 인도네시아 수출액은 5509만9000달러로 전년 대비 3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한국은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수출량이 6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2023년 중국 마그네사이트 주요 수출국>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출액
증감률
1
인도네시아
1,765
12,371
40,238
55,099
36.9
2
일본
6,227
8,405
12,642
14,819
17.8
3
필리핀
756
697
578
765
32.4
4
뉴칼레도니아
591
0
0
307
0
5
호주
278
207
28
258
821.4
6
한국
173
254
385
223
-42.1
7
뉴질랜드
198
132
504
220
-56.3
8
미국
31
0
46
74
60.9
9
인도
12
0
0
55
0
10
말레이시아
117
81
85
42
-50.6
총계
10,155
22,176
54,530
71,919
31.9
*주: HS CODE 251910.0000, 상기 순위는 2023년 수출액 기준
[자료: 중국해관총서(中國海关总署)]
한편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마그네사이트 주요 수입국 1위도 중국으로 나타났으며, 2020~2022년 대중 수입액은 지속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2023년 한국의 대중 수입액은 다소 줄어든 수치인 33만5413 달러로, 전년 대비 28.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체코, 일본, 영국에서의 수입액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중국에 대한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2023년 한국 마그네사이트 수입액 추이>
(단위: 달러, %)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382,121
452,144
468,564
335,413
-28.4
2
체코
0
30
296
36,523
12238.9
3
일본
37,802
27
13,944
26,689
91.4
4
그리스
40,261
41,719
0
14,266
0
5
영국
14,322
4,372
273
8,786
3118.3
총계
493,418
557,111
491,895
424,959
-13.6
*주: HS CODE 251910.0000, 상기 순위는 2023년 수출액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관련 기업 동향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자원의 주요 매장 지역은 랴오닝성의 랴오둥 지역으로, 전세계에서도 가장 많은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관련 주요 기업으로는 THE Economic Trading Group of Haicheng Houying Corporation(海城市后英经贸集团有限公司), Puyang Refractories Group(濮阳濮耐高温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Haicheng MagnesiumMining Group(海城镁矿集团有限公司), Beijing Lier High-temperature Materials(北京利尔高温材料股份有限公司) 등이 있다.
<중국 주요 마그네사이트 생산 업체>
기업명
설립 시기
2023년 총 영업이익
(백만 위안)
홈페이지
주요 내용
THE Economic Trading Group of Haicheng Houying Corporation Ltd.
海城市后英经贸集团有限公司
2000년
-
http://www.houying.com/
- 광업 원자재(고, 중, 저급 마그네슘 광석 등), 내화제품(마그네시아, 마그네사이트 벽돌 등), 철강자재(강재 등), 건축재료(시멘트 등) 공급업체
Puyang Refractories Group Co., Ltd.
濮阳濮耐高温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2002년
5,473
https://www.punai.com
- 정형, 무정형 내화재료 생산, 철강용 내화제품 공급업체
Haicheng MagnesiumMining Group Co., Ltd.
海城镁矿集团有限公司
1980년
-
http://www.hmref.com
- 마그네사이트 채굴과 마그네슘질 내화재료 생산 (약 70년된 국유기업)
Beijing Lier High-temperature Materials Co., Ltd.
北京利尔高温材料股份有限公司
2000년
5,649
-
- 철강 등 고온 공업에 사용되는 고품질 내화제품과 관련 서비스 공급
[자료: Wind]
정책 동향
마그네사이트 최대 생산지인 랴오닝성의 지방정부는 마그네사이트 수급조정 및 공급망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중국 마그네사이트 산업 관련 정책>
발표시기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 내용
2023.9
랴오닝성 공업정보화청
랴오닝성 국가신형원자재기지건설공정센터
마그네사이트 산업 응용기술 확대 장려와 제품 목록(2023년)
(菱镁产业鼓励推广应用的技术及产品目录(2023年本))
- 첨단 수산화마그네슘 생산 기술, 저품급 마그네사이트의 고효율 정제 핵심 기술, 활성 산화마그네슘 제품 등 77개 기술 및 제품 보급화
2024.1
랴오닝성 공업정보화청
랴오닝성 마그네사이트 부유선광 및 마그네시아 업계 생산능력 발전 방안
(辽宁省菱镁矿浮选及镁砂行业产能置换办法)
- 각 지역의 마그네시아 생산능력 제어하고, 생산능력 환산표 최적화 추진
- 마그네사이트 부유선광 및 마그네시아(경소 산화마그네슘, 중급 마그네시아, 고순도 마그네시아 등) 관련 모든 항목에 대한 생산능력 향상 추진
[자료: 화경산업연구원, 랴오닝성 공업정보화청 홈페이지]
유통 동향
중국의 마그네사이트 유통 방식은 주로 자체 생산 판매를 병행하며 온라인 플랫폼(爱采购, 1688) 기반 판매도 있다. 한편 이통망(易通网, 중국 통관관세 DB사이트) 자료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마그네사이트 수출시 수출허가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수출허가증 신청은 각 무역방식(일반 무역, 가공무역, 국경 소액 무역)에 따라 적합한 것을 신청하면 된다.
*주: 爱采购, 1688은 중국 내 마그네사이트 제품 판매 플랫폼
시사점
중국은 전세계 최대 마그네사이트 매장량 및 생산량을 가진 국가로서, 향후 해당 자원을 활용하는 영역이 확대될수록 중국의 자원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업계 관계자 W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마그네사이트 및 그 다운스트림 제품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특히 내화재, 화학공업, 건축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마그네사이트의 활용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아울러 중국 마그네사이트 산업의 녹색 고품질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자원 채굴량 통제 및 밀착 모니터링 정책 등이 필요할 것이라 말했다.
자료: HS코드망,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USGS, 광대증권연구소(光大证券研究所), BAIINFO, Wind, 랴오닝성 공업정보화청 홈페이지, 한국무역협회, 세관총서(中国海关总署) 등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마그네사이트 공급망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2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3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4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5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6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