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구리 시장동향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4-08-12
  • 출처 : KOTRA

2023년 중국 구리광 부존량과 생산량은 각각 전 세계의 4%, 8% 차지

에너지전환 기조 강화로 구리 수요 증가세

2026년 중국 구리 수요량은 1683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

구리는 전력망, 신에너지차, 신재생에너지, 가전제품 등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금속이다. 기후변화 대응 및 중국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 전환 기조가 강화되면서 구리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중국은 구리 소비량 증가 속도에 비해 부존량과 생산량은 부진하나, 구리 제련량은 가장 많은 국가로 제련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구리 부존량 및 생산량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전 세계 구리광 자원 부존량은 약 10억 톤이며, 그중 중국 구리광 부존량은 전 세계의 4%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 구리광 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은 칠레, 페루, 호주, 러시아, 콩고 등으로 각각 전 세계 부존량의 19%, 12%, 10%, 8%, 8%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5개 지역의 부존량은 50%를 상회한다.

 

<2023년 국별 구리광 부존량 비중>

external_image

[자료: USGS, 태평양증권]


생산량을 보면, 2023년 전 세계 구리광 생산량은 2200만 톤이며, 그 중 중국 구리광 생산량은 170만 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8%를 차지했다. 2023년 상위 5개 생산량 국가는 칠레, 페루, 콩고, 중국, 미국 순으로 각각 전 세계 생산량의 23%, 12%, 11%, 8%, 5%를 차지했으며, 5개 지역의 총 생산량 합계 비중은 59%를 차지했다.


중국은 전 세계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수요량에 비해 생산량은 전 세계의 10% 미만 수준에 머물러 있다. 중국 구리 생산량은 2010년 처음으로 100만 톤을 돌파하고, 2022194만 톤으로 역대 최다 생산량을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17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2023년 국별 구리광 생산 비중(), 전 세계 및 중국 구리광 생산 현황()>

(단위: %, 만 톤) 

external_image

자료: USGS, wind


국제구리연구그룹(ICSG)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정련동(refined copper) 생산량(1+2)2655만 톤을 기록했다. 중국은 정련동 주요 생산국가로 생산능력을 지속 확대하는 추세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정련동 생산량은 전년 대비 17% 증가한 1299만 톤을 기록했다.

 

<전 세계 및 중국 정련동 생산 현황>

external_image

자료: ICSG, 중국국가통계국, wind


수요동향

 

구리는 주로 동선, 동봉, 동판 등 형태로 구분되며 전력망, 가전제품, 건축업, 소비재, 교통운수, 공정기계 등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국제구리연구그룹(ICSG)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구리 소비량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2655만 톤을 기록했다. 중국 비철금속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구리 소비량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1,552만 톤으로 전 세계 구리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2022년 중국 구리 소비구조를 보면 전력망이 37% 비중으로 가장 많이 소요됐으며, 그 다음으로 가전제품 18%, 건축업 17%, 공정기계 12%, 교통운수(신에너지차 등) 9% 순이었다.

 

<전 세계 및 중국 정련동 소비량 현황(), 2022년 중국 구리 소비구조()>

(단위: 만 톤, %)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ICSG, 중국비철금속통계, wind


전력망에서의 구리는 주로 발전소 전원, 고압 스위치, 송배전 선로 및 배선 등에 활용되고, 가전제품은 주로 에어컨, 냉장고 등의 전도성 열전도 부품에서 구리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에너지 전환 및 탄소 절감 기조가 강화되면서,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구리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햇다. 신에너지차는 내부 재선, 배터리 팩, 모터 등 전반에 걸쳐 구리가 사용되며 내연기관차 대비 4배 가량의 구리가 필요하다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중국 구리 수요량은 연 평균 3%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26년 구리 수요량은 1683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별 구리 수요량(만 톤)>

산업

2021

2022

2023

2024E

2025E

2026E

전력

514

549

574

586

597

609

가전

250

267

279

279

279

279

건축

236

252

264

259

253

248

공정기계

167

178

186

187

187

188

교통운수

125

134

140

166

189

212

기타

97

104

109

120

134

146

합계(총 수요량)

1,389

1,484

1,552

1,597

1,640

1,683

증가율

-4.4%

6.9%

4.6%

2.9%

2.7%

2.6%

그 중: 신에너지차

26

54

72

99

122

145

태양광

22

35

87

92

98

104

풍력

22

13

25

30

37

43

에너지 저장

0

1

3

4

5

6

신에너지용 구리 수요량

71

103

187

225

262

297

신에너지용 구리 증가량

-

32

84

38

36

36

신에너지용 구리 점유율

5.1%

6.9%

12.1%

14.1%

16.0%

17.7%

[자료: 태평양증권]


수출동향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2021~2022년 구리 광석 수출량이 급감했으나, 2023년 중국 기업들의 생산량 확대, 해외 주요 광산의 운영 중단 등으로 수출량이 세자릿 수 증가했다. 2023한국 수출량은 4,712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91.8% 비중을 차지했다.

 

<중국 구리 광석 및 정광(HS 26030000) 수출 동향>

순위

수출대상지역

수출량()

점유율(%)

증감률(%) (2023/2022)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세계

473

569

5,135

100

100

100

803.2

1

한국

20

-

4,712

4.2

-

91.8

-

2

브라질

-

0

279

-

0.0

5.4

>9,9999

3

홍콩

0

-

77

0.0

-

1.5

 

4

카자흐스탄

-

0

51

-

0.0

1.0

>9,9999

5

일본

48

0

9

10.2

0.0

0.2

>9,9999

[자료: GTA]

 

2023년 중국의 정제한 구리와 구리합금의 수출량은 전년 대비 20.3% 증가한 28만 톤을 기록했다. 주요 수출지역은 대만, 태국, 베트남, 한국, 싱가포르로 상위 5개국의 수출 비중은 90%에 육박했다. 2023한국 수출량은 전년 대비 58.5% 감소한 33,358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11.9%의 비중을 차지했다.

 

<중국 정제한 구리와 구리합금(HS 7403) 수출 동향>

순위

수출대상지역

수출량()

점유율(%)

증감률(%) (2023/2022)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세계

266,561

232,100

279,328

100

100

100

20.3

1

대만

62,862

79,099

81,269

23.6

34.1

29.1

2.7

2

태국

40,616

9,409

55,284

15.2

4.1

19.8

487.6

3

베트남

45,085

43,625

54,031

16.9

18.8

19.3

23.9

4

한국

81,840

80,392

33,358

30.7

34.6

11.9

-58.5

5

싱가포르

5,011

4,287

27,127

1.9

1.9

9.7

532.8

[자료: GTA]


가격동향

 

구리는 전 세계 경기 변동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금속이다. 중국 구리 가격은 20243월부터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하며 5월 말 톤당 가격이 87390위안으로 치솟은 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이전 대비 여전히 높은 가격 수준을 보이고 있다. 719일 중국 내 구리 가격은 톤당 76540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톤당 구리 가격동향>

(단위: 위안) 

external_image

[자료: wind]

 

구리 산업의 밸류체인

 

구리 산업사슬은 업스트림(상류)인 자원 채광 및 선별, 미드스트림의 제련 및 정련, 다운스트림의 가공 단계로 나뉜다. 채광 단계는 구리 광석의 파쇄, 연마, 선별 등 처리를 거쳐 최종적으로 비교적 높은 순도를 함유한 구리 정광을 얻는 과정을 말한다. 제련 및 정련 단계는 정련, 전해, 탈산소 등 과정을 통해 구리 정광의 불순물을 한층 더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가공단계는 구리를 정제해 동관, 동봉, 동박, 동 스크랩 등으로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각 재료는 다시 재가공을 거쳐 전력망, 건축업, 가전, 차량 등 산업에서 사용된다.


<구리 산업의 채굴-제련-가공-최종용도 밸류체인> 

[채굴/선별

(업스트림]

 

[제련/정련(중류)]

 

[가공(다운스트림)]

 

[최종용도]

 

 

 

 

 

 

 

광산동정광/

산화광

조동

음극동

고순도 음극동

동관

동봉

동박

동 스크랩

동판

동바

전력

건축

가전

교통운수

전자

[자료: 태평양증권]

 

전망 및 시사점

 

구리는 중국 정부가 지정한 전략적 광물자원으로, 정부 차원에서 자원의 개발 및 보호,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탄소중립 목표 실현에 따른 관련 인프라 구축 확대, 신에너지차 보급 확대 등으로 구리 소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업체들은 국내외 광산 확보에 나서며 생산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단기적 수급 및 가격 상황을 고려해 주요 기업들의 공격적인 생산능력 확장을 억제하고 있다.

 

최근 중국 생태환경부는 구리·구리합금·알루미늄·알루미늄 합금 재활용 원료 수입 관리 규범화개정안을 발표하고 2024725일까지 의견 수렴하기로 했다. 개정안에는 재활용 가능한 구리 원료를 기존의 5개에서 구리선, 혼합동료와 구리가루(동미) 3개로 조정하고, ‘재활용 가능한 황동 원료재활용 가능한 구리합금 원료로 개정하고 재활용 가능한 황동·백동·고동(高铜)으로 분류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개정안은 자국 산업 발전 수요에 따라 구리·알루미늄 웨이스트·스크랩의 수입 허가범위를 명확화 하는 조치이며, 의견수렴 후 재수정 여부 및 최종안 발표 시기 등은 미정이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중국 정부는 2021년부터 고체 폐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산업 수요에 따라 당국이 규정한 재활용 가능한 구리 원료는 수입 가능하도록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 현지 증권사 관계자는 베이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국제 구리 가격은 세계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의 동향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해외 업계들은 중국 내 구리 관련 정책, 공급망, 가격 등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자료: 태평양증권, wind, 바이인포(百川盈孚) KOTRA 베이징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구리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