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공장 설비 도입 확대 중인 베트남 현지 기업
- 트렌드
- 베트남
- 다낭무역관 신경련
- 2024-03-15
- 출처 : KOTRA
-
베트남 정부, 스마트 제조 역량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며 여러 도전 과제 직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현지 스마트제조 시장 선점을 위한 타겟팅 전략 수립 필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은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과학 및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조업의 생산성, 품질, 효율성 및 경쟁력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청사진을 세웠다. 아직 베트남의 스마트 제조설비 도입은 인도 등 일찍이 자동화 설비를 도입한 신흥국 대비 열악한 수준이나 디지털 기술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다대하여,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산업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진출 수요가 지속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정부의 스마트제조 관련 정책 동향
최근 2년간 베트남에서는 AI와 빅데이터 등 제조산업과 융합 가능성이 높은 소프트웨어가 빠르게 발전하고 주목을 받으면서 스마트제조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특히, 현지에 진출한 많은 글로벌 제조기업들의 투자로 스마트 제조 트렌드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를 기반으로 더 많은 제조기업의 투자유치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를 통해 관련 산업은 점차 더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코로나 기간 중 디지털기술 및 스마트 자동화 도입 현황>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호치민 지부)]
베트남 정부의 스마트제조 관련 정책은 2017년 5월 총리지시를 통해 제시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접근역량 강화’를 토대로 하고 있다. 이 정책은 스마트제조뿐만 아니라 디지털 전환, 스마트 거버넌스에 기초한 디지털 기술 산업, 스마트 농업, 스마트 관광 및 도시개발, 신생산기술 등을 포괄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 관련 인재 육성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베트남 경제의 전환에 대하여 포괄적인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후 베트남 정부는 2020년 세부 결의안을 통해 스마트제조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먼저, ‘2030년까지 국가의 산업화와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촉진하기 위한 결의안’을 통해 제조업 비중을 총 생산의 30%까지 끌어올리고, 현재 아세안 3대 제조 역량 국가에서 발돋움하여 2045년까지 최고 산업화 국가로 선진국에 진입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아울러, 로봇 및 자동차 제조업, 통합 자동 운영 및 원격 제어 장비, 스마트하고 자동화된 생산 공정 등을 핵심 산업으로서 집중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두번째로 ‘2030년까지의 비전, 2025년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에 관한 결의안’에서는 제조업의 디지털전환 관련 스마트 전략 및 조직 구조, 스마트 공장 구축, 스마트 운영, 스마트 제품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근로자의 디지털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부적인 실행계획을 언급하였다.
응우옌 티엔 응아(Nguyen Tien Nghia) 정보기술통신산업국(Author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s Industry) 부국장은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베트남의 스마트 제조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관련 정책을 보다 세분화, 구체화 하고, 인센티브 정책, 기술제품 및 관련 서비스 품질 관리, 외국인 투자유치, 인재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베트남의 스마트 제조 관련 주요 법안 내용 정리>
법령
내용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접근 역량 강화에 관한 베트남 총리 지시
제16호/CT-TTg (2017.5.4)
- 4차 산업혁명의 발전 추세에 맞춰 전략 및 시현 방안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된 계획과 추진 과제를 지속 제시.
- 디지털 전환 전략, 스마트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디지털 기술 산업, 스마트 농업, 스마트 관광 및 스마트 도시
지역 발전을 우선시하며 제조 분야에서 신생산기술을 융합하여 투자와 개발에 집중함.
- 창의적인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과 정책을 구축하고 국가 혁신 스타트업 생태계를 개발함
- 과학, 기술, 공학, 외국어, 정보기술 등 과학교육 증진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제조 생산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 내용, 방법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킴.
2030년까지 국가의 산업화와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촉진하기 위한 결의안
제29호/NQ-TW (2022.11.17)
- 2045년 베트남은 아시아 최고의 산업화 국가 중의 하나로 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추진 할 필요가 있음.
- 로봇 및 자동차 제조업, 통합 자동 운영 및 원격 제어 장비, 농업용 가공 및 제조업, 생물산업 분야에서
스마트하고 자동화된 생산공정 등 핵심 산업을 집중적으로 개발함.
‘2030년까지의 비전,
2025년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에
관한 결의안 제749호/QD-TTg (2020.6.3)
-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 기업전략, 생산 활동의 디지털화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노력함. 특히 제조 산업 분야에서 스마트 전략 및 조직구조 구축, 스마트 제조시설 도입,
스마트 운영, 스마트 제품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근로자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함.
*주: 굵은 색 표시는 해당 법령에서 스마트제조 관련 내용
[자료: 베트남 정부자료로부터 KOTRA 다낭 무역관 종합, 정리]
베트남의 스마트제조 기술 및 수입 동향
베트남의 디지털 기술 산업은 2022-2027년 기간 예상 연평균 성장률(CAGR)이 10.6%에 달하며,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진출 수요 증가로 현지의 스마트제조 분야 솔루션과 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 간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ABB, Dassault System, Siemens AG, ITG Technology JSC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베트남 스마트제조 시장에 이미 진출해 있으며 산업용 센서, 산업용 로봇, 산업용 네트워크, 산업용 3D 프린터, 머신비전 시스템의 수요가 높다.
특히, 해외 경영 경험이 많은 글로벌 기업이 베트남 현지의 자사 생산공장에 기표준화된 공정 프로세스를 도입하면서 스마트제조 솔루션을 도입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코카콜라 호치민 생산공장의 경우 생산, 운송 등 대부분의 공정에 로봇을 도입하고 스마트센서와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통해 생산관리를 디지털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베트남 기업의 경우에도 적극적인 설비 도입을 통해 생산을 자동화하고, IoT 및 소프트웨어 탑재를 통해 정보의 관리를 스마트화하는 사례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 베트남 주요 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현황 >
연번
기업명
소재지
관련 정보
1
빈패스트
(VINFAST)
하이퐁
(Hai Phong)
- 하이퐁(Hai Phong) - 깟하이(Cat Hai) 경제구역에 위치한 빈패스트 자동차 제조단지는 2018년 말 개발 1단계가 완료되었으며,
베트남 자동차 산업 내 대표적인 스마트 공장임.
- 총 투자규모 35억 달러에 달하는 제조단지 운영을 위하여, 빈패스트는 독일 지멘스(Siemens)사와 계약을 맺고 높은 수준의
자동화 설비, 관리 및 통합 기능을 보유한 소프트웨어 공정 도입. 이러한 공정의 스마트화는 디자인, 제품 테스트, 생산라인의
기획 및 설계, 생산관리, 물류관리, 애프터서비스 단계까지 포괄하고 있음
2
코카콜라
(COCA-COLA)
호치민
(Ho Chi Minh)
- 코카콜라는 베트남에 진출한 이래 2013년부터 현재까지 현지에서 가장 진보된 기술을 갖춘 생산라인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
- 생산 관리 분야에서 정보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스마트 센서를 디지털 동기화하여 품질관리를 스마트화하였으며
그 결과 제품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짐.
- 생산라인은 로봇에 의해 자동 제어, 제품 보관시에도 스마트 기술이 적용되어 부자재의 입고와 생산품의 출고가 자동화되며,
글로벌 통합 운송 관리 시스템 적용으로 국제 운송이 원활하게 처리되고 있음.
3
비나밀크
(VINA MILK)
빈증
(Binh Duong)
-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크고 현대적인 스마트 제조시설로 알려져 있음. 생산라인은 자동화되어 있으며, 보관시설에서 로봇이
완제품을 운반하는 전 과정을 수행함.
- 로봇들은 생산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스스로 완충된 배터리를 찾아 교체하면서 과업을 수행함.
[자료: 인터넷 및 각사 홈페이지 자료로부터 KOTRA 다낭무역관 종합, 정리]
2022년 베트남의 산업용 로봇(HS CODE 8479.50) 수입규모는 약 1억7600만 달러로 최근 5년간 연평균 32.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해왔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2021년과 2022년의 성장률은 각각 66.6%, 39%로 최근 들어 산업용 로봇의 수요가 급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51%), 일본(14.8%), 한국(10.2%), 인도(8.2%)로 이들 4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2022년 전체 수입액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특히 중국의 경우 2018년 1800만 달러 수준에서 2022년 9000만 달러 가량으로 5배 가량 폭증하였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익액은 해당 기간 11.7%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수출국 3위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 산업용 로봇 수입동향(HS CODE 8479.50)>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수입액
연평균성장률
(’19-’22)
2018
2019
2020
2021
2022
전 세계
81,427
138,952
75,908
126,447
175,810
32.7%
1
중국
18,028
47,598
38,748
48,459
89,767
63.9%
2
일본
26,293
26,794
19,705
22,030
25,965
1.3%
3
한국
21,903
18,275
8,749
19,574
17,982
11.7%
4
인도
0
25,062
0
14,253
14,380
-
5
독일
1,230
4,558
1,439
3,237
8,651
123.6%
6
스웨덴
862
620
261
296
6,237
483.6%
7
태국
1,000
3,670
180
630
4,470
257.9%
8
대만
6,535
5,845
2,965
8,898
3,003
18.5%
9
프랑스
1,163
474
27
399
1,539
377.5%
10
미국
948
985
830
818
1,482
17.0%
[자료: ITC Trade map]
베트남 내 스마트 기계 제조 및 솔루션 유통기업 및 활용방안
베트남 현지에는 자체 기술 개발 및 수입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스마트제조 관련 설비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업이 있다. 산업용 로봇의 생산, 수입, 유통 및 활용과 관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에서부터, 소프트웨어 계발 및 적용과 관련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까지 다양하다. 베트남 로컬 기계 산업 경쟁력은 아직 낮은 단계이므로 대다수 기업들은 해외의 우수한 스마트제조 설비와 솔루션을 직접 수입하여 유통 및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지 스마트제조 설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이들 로컬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베트남 진입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베트남의 자동화 기계 제조 및 솔루션 제공 기업 현황>
연번
기업명
내용
1
1C VIETNAM
- 소재지: 하노이
- 설립년도: 2006
- 홈페이지: https://1c.com.vn/vn
- 1991년에 설립된 1C는 기업 소프트웨어 솔루션 및 지원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며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자동화 솔루션 기업인1C Vietnam은 1C의 자회사임. 주요 제공 솔루션은 회사경영, 서류관리, 재무 및
회계, 인력관리, 유통망관리, 수출입 및 소싱 운영 등의 분야임.
2
ROBOLINKS
VIETNAM CO., LTD
- 소재지: 호치민
- 설립년도: 2021
- 홈페이지: https://robolink.vn/
- 베트남의 자동화, 산업 및 기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표기업으로 Fanuc, Yaskawa, Denso, Kuka 등
글로벌 기업의 산업용 로봇을 실제 공장 및 작업장에 적용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계 및 자동화 라인 구축을 위한 컨설팅, 설계, 업그레이드 등 지원
3
VULETECH CO.,LTD
- 소재지: 호치민
- 설립년도: 2008
- 홈페이지: https://vuletech.com/
- 자동차, 반도체, 식품 및 음료 등의 소비재 분야에 필요한 산업 자동화 장비, 자동화 및 로봇 솔루션
전문 기업임. 주로 산업용 PC, 지능형 컨베이어 설비, 원격조정 로봇, 산업용 저울 등 솔루션 지원
4
AUTOTECH SERVICES JSC
- 소재지: 하노이
- 설립년도: 2017
- 홈페이지: http://atts.com.vn/vi/
- ATTS는 공장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베트남 국내를 비롯하여 해외에서도 활동하고 있음.
5
SD CO., LTD
- 소재지: 호치민
- 설립년도: 2012
- 홈페이지: https://www.servodynamics.com.vn/
- 산업 자동화 솔루션 공급업체로 2014년이래 미국계 Rockwell Automation의 베트남 내 유일한
공식 대리점임. 이외 ProSoft, Stratus, Spectrum, MTE, ECS(Sinetamer), TPC Cable, Hoffman,
Eisele(Gear Box), Maxon, Universal Robots, OnRobot, Edwards Fire, Harmonic Drive 등
글로벌 기업의 공식 대리점임.
6
THINK NEXT CO.,LTD
- 소재지: 호치민
- 설립년도: 2015
- 홈페이지: https://www.thinknextco.com/
- Think Next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컨설팅, 공정개선, 인력 교육 및 코칭, 자동화 공장 관련 기업임.
자동차, 하이테크, 전자제품, 소비재, 제약 및 생명과학 분야 기업의 소프트웨어의 도입/컨설팅 지원.
7
TDL IA CO.,LTD
- 소재지: 호치민
- 설립년도: 2011
- 홈페이지: https://www.tdl-ia.com/
- 자동화 관리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기계 설계부터 개발 및 시운전, 기술 컨설팅 및 교육 지원
[자료: LUSHA, 각사 홈페이지 등으로부터 KOTRA 다낭무역관 종합, 정리]
아울러, 베트남에 이미 생산공장을 보유한 진출 기업의 경우 이러한 스마트제조 관련 기계와 솔루션 도입을 적극 검토해볼만 하다. 현지 인건비가 지속 증가하고 베트남 정부의 스마트제조 관련 지원정책이 잇따라 발표되는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생산 효율성 증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간과할 수 없는 핵심 경영전략이 될 수 있다.
시사점
코로나19 팬데믹 및 4차 산업혁명으로 가속화된 스마트 제조 트렌드는 베트남 경제와 사회에 새로운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급격한 글로벌 산업 환경 변화 속에서 베트남 정부는 국가비전을 수립하고 다양한 정책을 내놓는 등 신속히 대응하고 있으며 베트남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들 또한 현지의 스마트제조와 관련된 흐름을 예의 주시하고 진출전략을 선제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산업부와 협력하여 2022년부터 2023년까지 2년 동안 베트남 내 50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개발을 지원하고 전문가 100명을 양성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를 2022년 2월 체결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정보 기술 플랫폼을 활용하여 생산을 위한 운영역량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2년 말까지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분야 전문가 51명에 대한 교육을 지원하고 베트남 내 26개 기업(북부: 14개의 기업, 남부: 12개의 기업. 2개 기업은 베트남 중부 다낭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개발 컨설팅을 진행한 바 있다.
<삼성전자 스마트팩토리 프로그램 운영(좌: ‘23년 중부지역 프로젝트 MOU 체결 / 우: 실제 운영현황)>
[자료: INSIDE VINA]
전문가 파견 – 현지 전문가 양성 – 스마트팩토리 구축까지 이어지는 양국의 베트남 스마트 제조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모범사례인 것이다. 이 같은 우리 진출기업의 노력은 베트남의 산업 생태계 확대로 증명되고 있다. 베트남 내 삼성전자 협력 기업 수는 2014년 336개에서 2021년 752개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삼성전자의 협력사 선정 기준을 통과하는 현지 기업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뜻이다.
한국의 경우 오랜 기간 스마트 제조(팩토리) 사업을 진행해왔으며, 2022년 말 기준 3만여 개의 스마트공장을 보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축적된 스마트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빠르게 확대되는 베트남 스마트제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적극적인 현지 진출을 고려해볼 만 하다.
자료: ITC TRADE MAP, 베트남 정부 사이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LUSHA, 인사이드비나,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스마트공장 설비 도입 확대 중인 베트남 현지 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베트남 커피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0-02
-
2
2024년 베트남 스마트 농업 산업 정보
베트남 2024-06-17
-
3
2023년 베트남 금융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
-
4
2023년 베트남 IT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
-
5
2023년 베트남 관광산업 정보
베트남 2023-12-12
-
6
2023년 베트남 물류산업 정보
베트남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