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옥수수의 재배 및 활용 현황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3-12-28
- 출처 : KOTRA
-
아세안 회원국 내 5위 생산국으로 재배지역도 다양
품종 개량 및 생산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품질 제고는 시급
미얀마는 베트남과 함께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쌀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미얀마의 농업 현황을 분석한 다양한 기관의 조사 자료에도 쌀이 가장 많이 언급될 만큼 실제 벼농사의 비중이 높기도 하다. 그러나 쌀 재배지인 에와야디(Irrawaddy) 강 유역을 이외의 지역에서는 콩류, 커피, 옥수수 등 다른 작물도 역시 활발히 생산되고 있다. 특히 옥수수는 우기인 몬순(Monsoon) 시즌에는 샨(Shan State), 까친(Kachin State), 까야(Kayah State), 사가잉(Sagaing)주에서, 건기(Dry Season)에는 남부 지역인 에야와디주(Ayeyarwady)에 파종하는 작물로 재배 지역도 광범위한 편이다. 생산량 또한 적지 않다. 아세안(ASEAN)에서 2022년 발표한 ‘Statistical Year Book’에는 미얀마의 2021년 옥수수 생산량이 227만4610톤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돼 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에 이은 5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또한, 전체 경지면적이 비슷한 라오스, 캄보디아보다 생산량이 앞서는 것으로 나와있다. 미얀마 통계청도 자국의 옥수수 생산량이 매년 증가세를 기록하며 2020-2021 회계연도에 207만2482톤에 이른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옥수수 파종 면적 및 생산량>
(단위: 에이커(Acre), 톤)
회계연도
재배면적
연간 생산량
파종면적
수확면적
2016-2017
1,211,216
1,206,115
1,830,631
2017-2018
1,246,541
1,237,041
1,909,295
2018-2019
1,287,014
1,283,037
1,984,136
2019-2020
1,284,042
1,274,356
1,985,765
2020-2021
1,375,229
1,330,110
2,072,482
[자료: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
옥수수의 주요 소비처
한편 재배된 옥수수는 주로 축산 사료 제조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미얀마 옥수수산업협회(Myanmar Corn Industrial Association) 관계자도 자국에서 생산된 옥수수의 80%가 축산 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며 20% 정도가 현지 브랜드 주류(酒) 제조에 소비된다고 밝혔다. 물론 전통 의약품 제조 원료로도 일부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비중은 매우 낮은 편이며, 사람이 직접 섭취하는 식재료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식재료 활용 비중이 낮은 첫 번째 이유는 한국처럼 쌀밥 소비 중심으로 발달한 미얀마 식문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미얀마는 예전부터 옥수수 농사를 지어오던 국가가 아니었으며 현지인들의 전통 식단에서도 옥수수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현대 미얀마인들이 반찬으로 즐기고 있는 옥수수 샐러드·튀김이나 간식용 삶은 옥수수 등은 모두 영국 식민지 시대 이후에 자리 잡은 것들로, 현재도 소비량 자체는 많지 않은 편이다. 옥수수산업협회 관계자가 언급한 바와 같이 식음료로 활용되는 옥수수의 대부분은 주류 제조에 투입된다.
<현대 미얀마인들이 즐기는 삶은 옥수수와 샐러드>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촬영]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재배되는 옥수수 품질의 열악함에 있다. 생산되는 옥수수 대부분이 사람이 직접 먹거나 식재료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옥수수산업협회 관계자도 “미얀마 농가에서 사용하는 옥수수는 품종이 열등한데다 부족한 재배 및 보관 기술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식재료로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축산사료 집중 전략은 열등한 품질에 따른 현실적 선택의 결과였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단, 품질부족 문제에도 불구하고 축산사료 제조원료써의 활용 가치는 존재한다. 실제로 현지에서도 양곤(Yangon), 만달레이(Mandalay), 샨(Shan) 주에 위치한 사료공장에서 옥수수를 대량으로 소비하고 있으며 선진(한국), CP(태국), Betagro(태국), Japfa(인도네시아), New Hope(중국), DeHus(네덜란드), Green Feed(베트남) 등 외국계 기업들도 미얀마에 사료 공장을 설립해 현지 옥수수를 활용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가 농축산업 육성정책을 전개하고 있어 사료용 옥수수의 시장 전망도 밝은 편이다. 다만 축산사료용 옥수수의 수요는 코로나19 팬데믹과 2021년 국가 비상사태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감소세를 보인 바 있으며 옥수수산업협회는 2022년 이후 축산업의 회복과 함께 옥수수 소비가 다시 반등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축산사료 제조용 옥수수의 회계연도별 수요>
(단위: 천 톤)
2010-2011
2015-2016
2016-2017
2017-2018
2018-2019
2019-2020
2020-2021
279
345
381
423
166
196
187
[자료: 미얀마 통계청]
사료제조용 옥수수의 수출
미얀마에서 생산된 축산사료용 옥수수는 수출시장에서도 비교적 수요가 있는 편이다. 실제로 태국·베트남·필리핀·중국 및 스리랑카 등이 미얀마산 옥수수를 상당량 구매하고 있으며 태국·베트남·필리핀 등 아세안 이웃 국가로의 수출이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Global Trade Atlas의 자료에는 수출 부진이 극심했던 2022년에도 미얀마의 옥수수(HS Code 1005) 수출액은 7억6355만 달러를 기록, 2021년의 5억5922만 달러에 비해 36%나 증가한 것으로 나온다.
거래 비중이 가장 큰 국가는 태국으로, 2018년까지는 미얀마산 수입이 없었으나 2019년부터 1억 달러 이상의 옥수수를 구매하기 시작하며 최대 수요처로 떠올랐다. 특히 2021년과 2022년에는 무려 4억 달러 이상의 옥수수를 미얀마로부터 수입한 바 있다. 단, 태국으로의 수출 급증은 저품질 상품의 ‘대체 판로 개척’ 결과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2018년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AQSIQ, General Administration of Quality Supervision, Inspection and Quarantine)이 자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농산물과 식자재에 대한 엄격한 검역기준을 도입하자 미얀마산 저품질 옥수수 대부분이 불합격 판정을 받기도 했다. 반면 태국의 사료업체들은 미얀마산 옥수수의 품질을 크게 문제삼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까지 판매 가격에 관한 이견으로 갈등을 빚었던 양국 간 교역이 급격히 활성화될 수 있었다. 심지어 현재 태국 정부는 건기 후반, 우기 초반부인 2월부터 8월까지 미얀마산 옥수수에 무관세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미얀마산 옥수수의 수출 동향>
(단위: US$ 천)
국가명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태국
-
-
1316,895
237,738
402,049
412,371
베트남
-
-
299
2,775
76,040
154,298
필리핀
932
4,148
42,212
36,516
68,649
128,207
중국
24,414
26,583
31,832
38,966
11,130
65,618
스리랑카
82
-
1,055
1,197
-
2,623
말레이시아
2,880
-
69
34
537
343
대만
1,044
-
476
556
628
43
홍콩
226
-
427
205
184
32
한국
-
-
-
-
-
12
싱가포르
216
108
174
47
10
3
EU
-
-
-
-
-
-
인도
-
-
8,952
40,947
-
-
호주
-
1
-
-
-
-
총계
29,794
30,840
1,402,391
358,981
559,227
763,550
[자료: Global Trade Atlas]
생산 품질의 열악함
양적으로 급성장 중인 미얀마의 옥수수 산업도 질적인 측면에서는 분명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품질 부족 문제가 만성적인 과제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수출도 ‘저품질 저가 판매 전략’에 기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잠재적 유망시장인 중국에서는 축산사료 제조용으로써도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인터뷰에 응한 옥수수산업협회 관계자도 “중국 바이어들이 미얀마 농가에서 재배한 옥수수 대부분을 악평하고 있으며 이는 미얀마산 옥수수의 해외 진출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
특히 열악한 재배 기술과 생산 프로세스는 시급히 해결돼야 할 요소로 지적받는다. 실제로 현지 옥수수 농가의 대부분이 최근에도 파종을 수작업으로 하고 있을 만큼 트랙터 보급률이 낮다. 축산사료로 납품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건조 작업도 건조기가 없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 심지어 일부 농가에서는 옥수수 낱알을 콘트리트 바닥에 그대로 펼쳐 놓고 자연광으로 건조하거나 장작으로 훈연하는 원시적인 방식을 동원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전문적인 공정을 거쳐 건조된 옥수수는 해충이나 세균 오염 또는 훈연 과정에서 스며든 악취로 인한 상품 가치 하락을 피하기 어렵다.
<자연광으로 건조 중인 옥수수의 모습>
[자료: Global New Light of Myanmar]
재배에 투입되는 종자와 비료의 열악함도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옥수수 종자를 수입에 의존 중인 미얀마 농가가 원가 절감을 위해 저품질 교잡종(Hybrid Seed)을 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옥수수산업협회 관계자도 “미얀마 농가가 사용 중인 종자는 사람이 식용으로 사용할 상품을 재배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역시 전량 수입에 의존 중인 복합비료도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충분한 양을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 옥수수산업협회는 2020년 한 포대(약 50kg)에 2만6500차트(Kyat), 미화로 약 12.6달러였던 옥수수용 비료의 현지 판매 가격이 2021년 10월 6만5500차트로 2.5배나 급등했다고 밝혔다. 2023년에는 옥수수산업협회가 현지은행인 UAB Bank와 농가를 대상으로 비료 구입대금 대출 프로그램을 론칭하기도 했지만 경제력이 열악한 영세 농가들은 12%에 달하는 이자율을 감당하기 힘든 실정이다.
<미얀마 옥수수산업협회 사무소의 모습과 협회에 전시된 수출용 옥수수 샘플>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촬영]
규제 완화의 필요성
옥수수 산업 육성과 수출 육성을 위해서는 농축산업에 대한 미얀마 정부의 규제 또한 다소 유연화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는 지난 2022년 4월 옥수수, 옥수수 씨앗, 옥수수 가루, 시리얼 곡물, 메밀 등의 곡물을 ‘수출 라이선스(Export License)’ 요구 품목으로 지정하는 규제를 단행한 바 있다. 현지 업계에서는 이것이 자국의 식자재 공급 안정화와 축산업 육성 및 수출품질 제고를 위해 도입된 조치라고 추정하고 있으나 양적으로 급성장 중인 옥수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 같은 해 7월에 발표된 ‘수출대금 달러화 수령 의무화’ 조치와 ‘선금 수령 의무화 지침’도 옥수수 수출을 어렵게 하는 악재가 됐다. 이 중 달러화 수령 의무와 선금 수령 의무는 2023년 6월 폐지됐으나 수출 라이선스 제도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생산지 안전 리스크
최근에는 옥수수 생산지의 안전 문제 또한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미얀마 옥수수의 대부분이 재배되는 샨(Shang), 사가잉(Sagaing), 까야(Kayah), 만달레이(Mandalay)주에서는 지난 10월 말부터 시작된 반정부 세력과 군경의 무력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때문에 옥수수 운송에 필요한 교통 인프라가 파괴되거나 재배 자체가 중단될 수 있어 심각한 생산성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미국 농무부(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또한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사가잉(Sagaing), 까야(Kayah) 주에서 진행 중인 군부와 반군부 세력 간 충돌로 해당 지역의 옥수수 생산성이 떨어질 것이며, 샨주(Shan)주도 강수량 부족으로 수확량 감소를 겪게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미얀마 지역별 옥수수 파종, 수확, 생산량>
연도
구분
단위
까친
(Kachin State)
까야(Kayah State)
꺼인
(Kayin State)
친(Chin State)
사가인
(Sagaing Region)
바고
(Bago Region)
마궤이
(Magway Region)
만달레이주
(Mandalay)
양곤(Yangon Region)
샨주
(Shan State)
에야와디
(Ayeyarwady Region)
네피도
(Nay Pyi Taw)
2016-2017
파종변적
Acre
56,535
52,766
51,689
46,842
198,424
8,796
88,874
34,966
155
632,414
21,109
18,376
수확량
Acre
53,471
52,766
51,689
46,648
198,413
8,796
88,874
34,669
155
630,984
21,109
18,271
생산량
Ton
78,973
84,225
111,333
35,014
253,182
14,934
123,356
52,157
150
1,003,746
43,155
30,197
2017-2018
파종변적
Acre
69,618
58,314
53,110
42,689
193,558
7,913
61,507
37,486
265
669,547
34,165
18,122
수확량
Acre
60,408
58,306
53,110
42,686
193,479
7,913
61,494
37,479
265
669,367
34,165
18,122
생산량
Ton
88,678
93,230
115,639
32,129
248,449
13,281
83,666
57,131
261
1,075,961
69,924
30,770
2018-2019
파종변적
Acre
71,065
59,196
53,354
40,225
206,114
13,087
28,546
38,650
2,255
699,737
56,459
18,095
수확량
Acre
70,058
59,187
51,789
40,156
205,778
13,087
28,498
38,649
2,255
698,813
56,459
18,077
생산량
Ton
101,791
94,070
112,704
30,110
264,823
23,352
38,430
58,826
2,923
1,112,441
114,746
29,765
2019-2020
파종변적
Acre
68,197
60,930
53,128
36,233
196,844
12,996
28,147
35,333
1,166
716,140
58,176
16,517
수확량
Acre
59,105
60,930
52,793
36,233
196,592
12,996
28,147
35,333
1,166
716,133
58,176
16,517
생산량
Ton
89,144
97,022
114,992
27,255
258,808
24,316
38,568
52,564
1,694
1,133,926
119,564
27,753
2020-2021
파종변적
Acre
77,416
59,989
53,076
32,477
198,864
10,522
27,804
36,878
1,314
804,379
57,656
14,837
수확량
Acre
61,224
59,963
53,063
32,420
172,443
10,522
27,370
36,231
1,314
803,080
57,656
14,807
생산량
Ton
92,892
95,506
115,564
24,538
242,683
19,646
37,234
53,042
1,892
1,246,482
118,328
24,651
[자료: 미얀마 통계청]
생산된 옥수수의 수출에도 애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 국가행정위원회(SAC, State Administration Council)은 이미 친쉐호(Chin Shwe Haw), 무세(Muse) 등 중국으로 이어지는 게이트가 교전으로 인해 운영을 중단했다는 사실을 발표했으며 태국으로 연결된 먀와디(Myawaddy) 게이트 또한 12월 1일부터 통관을 진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미얀마 옥수수의 최대 수입국인 태국은 상품을 국경게이트로 수입해온 바 있다.
시사점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미얀마의 옥수수 산업에는 성장 가능성과 한계가 모두 뚜렷이 나타난다. 먼저 옥수수를 재배할 수 있는 광활한 국토와 다양한 기후 조건을 갖췄다는 점은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들의 생산, 수출 증대 의자가 높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면 열악한 인프라와 자본, 재배 기술은 시급히 해결해야할 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수한 종자와 비료의 사용, 현대적 건조시설의 설립 등은 해외자본과의 협력을 통해 개선해야할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다.
옥수수 농업에 대한 투자도 장기적으로는 사업성이 충분한 편이다. 미얀마가 정부가 집중 육성 중인 산업에 축산업이 포함돼 있고 태국, 베트남, 중국 등 미얀마산 옥수수의 수요처가 될 배후시장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옥수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면 현재 미얀마 생산품을 외면하고 있는 중국 바이어 상당수도 잠재 고객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하겠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통계청(CSO), 농업축산관개부,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옥수수의 재배 및 활용 현황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
미얀마 2024-04-22
-
2
2021년 미얀마 임업 산업 정보
미얀마 2022-02-07
-
3
2021년 미얀마 전력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4
2021년 미얀마 농업 산업정보
미얀마 2021-12-29
-
5
2021년 미얀마 수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6
2021년 미얀마 봉제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