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4-30
- 출처 : KOTRA
-
태국의 의료기기 시장은 예방 중심의 건강 인식 확산, 고령 인구 증가, 만성질환의 확산 등 꾸준한 성장세
태국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5년 기준 22억 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
태국은 주로 미국, 중국, 독일, 일본에서 의료기기를 수입
태국의 의료기기 시장은 예방 중심의 건강 인식 확산, 고령 인구 증가, 만성질환의 확산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고혈압, 당뇨, 관절염, 호흡기 질환 등과 관련된 진단·측정 기기와 가정용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화와 스트레스 누적에 따른 소화기·호흡기계 질환 대응용 제품 수요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의료기기(HS 코드: 9018.90)는 내과용, 외과용, 치과용 또는 수의과용으로 사용되는 기기의 일부로, 신티그래픽 진단기기, 전기식 의료기기, 시력 검사기기 등 주요 의료기기의 기능을 지원하거나 보완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하며, 주로 기타 기기류(Other instruments and appliances)로 분류된다.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9018
내과용ㆍ외과용ㆍ치과용ㆍ수의과용 기기[신티그래픽(scintigraphic)식 진단기기ㆍ그 밖의 전기식 의료기기와 시력 검사기기를 포함한다] Instruments and appliances used in medical, surgical, dental or veterinary sciences, including scintigraphic apparatus, other electro-medical apparatus and sight-testing instruments.
9018.90
밖의 기기 (Other instruments and appliances)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시장동향
최근 태국에서는 의료 관광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첨단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tatista는 태국 의료기기 시장 규모가 2025년 22억 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6.22%의 성장률을 기록해 2029년에는 29억 10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태국 의료기기 시장 매출액 규모 추이>
(단위: US$ 십억)
[자료: 스타티스타(Statista)]
수입규모
조사기관 Krungsri Research의 의료기기 산업 전망(2023~2025)에 따르면, 태국은 주로 미국, 중국, 독일, 일본에서 의료기기를 수입하며, 의료용 일회용 제품 및 내구성 의료장비 품목 위주로 수입하고 있다.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초음파기, 엑스레이기, 심전도기, 전자 진단 장비, 안과 장비, 방사선 관련 장비 및 소모품 등이 있다.
<의료기기 수입 현황: 유형별 분포>
(단위: %)
[자료: Medical Device Intelligence Unit(MedDIU), Krungsri Research]
시장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태국의 의료기기(HS 코드: 9018 기준) 수입 금액은 9억7811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했다. 최대 수입국인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억9132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으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589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하여 전체 수입국 중 10위를 차지했다.
<2020~2024년 태국 의료기기(HS 코드 9018 기준) 수입 규모>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증감률
('24/'23)전체
677,162
737,651
746,313
835,359
978,109
17.1
1
미국
148,496
142,886
147,384
172,760
191,317
10.7
2
중국
85,946
146,104
131,386
128,395
166,116
29.4
3
독일
93,287
87,639
75,925
93,898
105,541
12.4
4
일본
71,812
74,139
78,770
86,605
78,791
-9.0
5
멕시코
41,147
34,661
37,750
50,755
54,643
7.7
6
태국
7,495
3,445
1,909
4,392
46,630
961.8
7
베트남
28,277
29,646
38,247
43,777
38,559
-11.9
8
아일랜드
27,000
27,607
30,875
32,040
38,284
19.5
9
코스타리카
17,115
18,579
23,275
26,227
29,670
13.1
10
한국
15,683
22,703
22,052
22,159
25,889
16.8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4.18.)]
수출규모
조사기관 Krungsri Research의 의료기기 산업 전망(2023~2025)에 따르면, 태국의 의료기기 수출은 의료용 일회용 제품이 주를 이루며, 해당 품목은 전체 수출액의 85.3%를 차지했다. 태국의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 일본, 네덜란드, 독일이다. 태국에서 의료용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대부분의 업체는 다국적 기업으로, 일본, 미국, 프랑스 국적 기업이 태국에 생산 시설을 투자해 태국에서 제품을 제조하고 다른 지역으로 수출하는 경우가 많다.
<의료기기 수출 현황: 유형별 분포>
(단위: %)
[자료: Medical Device Intelligence Unit(MedDIU), Krungsri Research]
시장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GT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의 의료기기(HS 코드: 9018 기준) 수출 금액은 8억3701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 최대 수출국인 미국으로부터의 수출은 2억6289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4% 증가했으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706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하여 전체 수출국 중 10위를 차지했다.
<2020~2024년 태국 의료기기(HS 코드 9018 기준) 수출 규모>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증감률
('24/'23)전체
639,581
674,133
799,727
753,288
837,008
11.1
1
미국
139,577
179,199
233,540
214,832
262,891
22.4
2
일본
211,139
198,094
185,270
164,342
160,299
-2.5
3
네덜란드
30,327
18,790
40,880
39,059
43,277
10.8
4
독일
29,538
37,422
53,087
45,684
35,835
-21.6
5
프랑스
30,986
26,230
26,730
27,969
29,951
7.1
6
중국
24,470
34,863
35,663
29,707
29,948
0.8
7
캐나다
1,076
2,728
13,159
15,722
24,369
55.0
8
홍콩
16,358
13,803
21,120
23,138
18,577
-19.7
9
대만
13,268
12,978
15,297
16,447
17,598
7.0
10
한국
11,910
13,598
15,690
14,741
17,063
15.8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4.21.)]
경쟁동향
태국 상무부 기업개발국(DBD)에 등록된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약 1100개사이며, 이 중 94.0%가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나 이들이 전체 의료기기 시장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8%에 불과하다. 반면 중견 및 대형 기업은 전체의 6.0%에 해당하지만 전체 매출의 9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다국적 기업이다.
<태국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규모별 분포 및 매출 비중>(단위: %)
[자료: Krungsri Research]
<태국 주요 의료기기 제조업체>
(단위: 억 바트)
기업명/기업로고
설립연도
기업정보
HOYA LENS THAILAND COMPANY LIMITED
1974
- 본사: 일본
- 지분: 네덜란드 100%
- 자본금: 약 11억 바트(약 471억 원)
- 산업군: 광학 렌즈 제조
- 매출액(2024): 약 243억 바트(약 1조 원)
NIPRO (THAILAND) CORPORATION LIMITED
1988
- 본사: 일본
- 지분: 일본 100%
- 자본금: 약 26억 바트(약 1113억 원)
- 산업군: 의료기기 및 의료용품 제조
- 매출액(2023): 약 79억 바트(약 3381억 원)
HONG SENG KNITING CO.,LTD.
2009
- 본사: 태국
- 지분: 태국 100%
- 자본금: 약 1억 바트(약 43억 원)
- 산업군: 의료기기 및 의료용품 제조
- 매출액(2023): 약 3억 바트(약 128억 원)
KAWASUMI LABORATORIES (THAILAND) CO., LTD.
1978
- 본사: 일본
- 지분: 일본 99%, 태국 1%
- 자본금: 약 2억 바트(약 86억 원)
- 산업군: 의료기기 및 의료용품 제조
- 매출액(2024): 약 29억 바트(약 1241억 원)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MANUFACTURING (THAILAND) LTD.
1977
- 본사: 영국
- 지분: 태국 100%
- 자본금: 약 11억 바트(약 471억 원)
- 산업군: 의료기기 및 의료용품 제조
- 매출액(2023): 약 27억 바트(약 1156억 원)
[자료: 태국 상무부(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태국의 의료기기 유통 구조는 원자재 공급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구성돼 있다. 고무와 플라스틱과 같은 주요 원자재는 주로 국내에서 조달되며, 일부는 해외에서 수입된다. 제조는 로컬 기업과 다국적 기업에 의해 이뤄지며, 수입업자들은 해외 제품을 도입한다. 유통 경로는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첫째는 유통업체를 거쳐 약국 및 소매점으로 공급되는 방식, 둘째는 제조사 또는 수입업자가 병원과 클리닉 등 의료기관에 직접 납품하는 방식, 셋째는 국내 생산 제품을 해외 시장으로 수출하는 방식이다. 최종적으로 의료기기는 약국, 병원, 클리닉 등을 통해 소비자와 환자에게 전달된다.
<태국 의료기기 유통구조>
[자료: Krungsri Research]
태국 의료기기 수입관세 및 인증 절차
태국에서 HS 코드 9018.90에 해당하는 의료기기 수입 시, 일반세율은 품목에 따라 0~20% 범위로 적용되며, 한-아세안 FTA 및 RCEP 협정세율을 적용할 경우 원산지 증명서 제출 시 모두 면세(0%)가 가능하다.
<태국 의료기기(HS 9018.90) 수입관세>
HS코드
9018.90
품목명
기타 내과용·외과용·치과용·수의과용 기기
(Other instruments and appliances)
수입관세
- 일반세율: 면제(0~20%)
- 한-아세안 협정세율: 면제(0%)
- RCEP 협정세율: 면제(0%)부가가치세
CIF의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태국에서 의료기기를 상업적으로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면 먼저 태국 식약청(FDA)에 사업장 등록을 해야 하며, 이후 제품은 위험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돼 등록 절차를 밟게 된다. 위험도에 따라 Class 1은 단순 등록(Listed), Class 2와 3은 신고(Notified), Class 4는 허가(Licensed)가 요구되며, 이는 국내외 규정과의 조화를 통해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성능을 확보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체계이다.
<태국 의료기기 규제 체계: Class 1~4 분류>
[자료: 태국 식약청(Thai FDA)]
<의료기기 수입절차>
구분
절차
비고
1
판매하고자 하는 의료기기가 속하는 분류 확인
태국 식약청 산하 의료기기 관리부 홈페이지(http://www.fda.moph.go.th/)에서 다운로드 가능
2
태국식약청(TFDA)에 수입허가 신청서 제출
TFDA 원스톱 서비스센터(OSSC)를 통해 접수
3
태국식약청(TFDA) 서류심사
TFDA에서 추가서류 요청 시 10일 내로 제출
- 서류 통과 시 위원회로 회부
4
위원회 승인카드 발급심사
저위험군(Class 1)은 발급 불필요(일반적으로 80일 소요)
- 자유판매 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로 대체 가능5
승인카드 발급
중저, 중상위험군(Class 2~3): 의료기기 인증카드 발급
고위험군(Class 4): 의료기기 라이선스카드 발급[자료: 태국투자청(BOI)]
태국에서 1등급(저위험) 의료기기를 등록하려면, 자유판매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를 포함한 비교적 간단한 서류만 준비하면 되며, 복잡한 기술 심사 없이 등록(Listing) 절차로 처리된다. 반면, 2등급(저중위험), 3등급(중고위험), 4등급(고위험)의 경우에는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거의 동일하며, Executive Summary, 제품 설명서, 설계 검증 자료, GMP 인증서, 적합성 선언서 등 기술 및 행정 문서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다만 심사 방식에는 차이가 있어, 2·3등급은 태국 식약청(FDA)의 문서 검토 중심의 신고 절차(Notified Medical Devices)로 진행되고, 4등급은 위원회 심사를 포함한 허가 절차(Licensed Medical Devices)를 거치기 때문에 심사 강도와 처리 기간이 더 길고 엄격하다.
<태국 의료기기(Class 1~4) 등급별 필수 제출서류 비교>
Class 1 (Low risk) 1등급 (저위험)
1) 자유판매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
2) 6개월 이내 발급된 회사(Importer) 등록증 (사업목적 명시)
3) 위임장
4) 제품 카탈로그 및 상세 설명
5) 수입업체 등록증 사본
6) 제품에 해당하는 의료기기 코드 명시
Class 2 (Low-Moderate risk) 2등급 (저중위험)
Class 3 (Moderate-High risk) 3등급 (중고위험)
1) 제조사 등록증(Registration Certificate)
2) 개요서(Executive Summary)
3) 안전성·성능 기준 및 적합성 입증 방식
4) 제품 설명서(Device Description)
5) 설계 검증 및 유효성 검토 요약(Summary of desig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documents)
6) 제품 라벨링(Labeling)
7) 위험 분석(Risk Analysis)
8) 제조사 정보
9) 자유판매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
10) GMP 또는 품질 시스템 인증서
11)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
12) 지정 대리인 위임장(Letter of Authorization)
13) 폐기 계획 (가능한 경우)
Class 4 (High risk) 4등급 (고위험)
1) 제조사 등록증(Registration Certificate)
2) 개요서(Executive Summary)
3) 안전성·성능 기준 및 적합성 입증 방식
4) 제품 설명서(Device Description)
5) 설계 검증 및 유효성 검토 요약(Summary of desig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documents)
6) 제품 라벨(Labeling)
7) 위험 분석(Risk Analysis)
8) 제조사 정보
9) 자유판매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
10) GMP 또는 품질 시스템 인증서
11)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
12) 태국 내 대리인 위임장(Letter of Authorization)
13) 폐기 계획서 (가능한 경우)
[자료: 태국투자청(BOI)]
시사점
태국 의료기기 시장은 정부의 의료 허브 육성 정책과 의료관광 수요 회복, 자가 건강관리 트렌드 확산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은 일부 다국적 대기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우리 기업이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가격 설정과 태국 식약청(FDA)의 등급별 등록 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유통은 병원, 약국, 클리닉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뤄지는 만큼,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협력이 시장 진입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태국은 한-아세안 FTA 및 RCEP 협정에 따라, 의료기기 수입 시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하면 대부분 무관세 혜택이 적용되므로, 이를 활용한 가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Statista, Euromonitor, Medical Device Intelligence Unit(MedDIU), Krungsri Research, Global Trade Atlas, Thailand Board of Investment(BOI), Thai Food and Drug Administration(TFDA),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상무부(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