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태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4-30
  • 출처 : KOTRA

태국 색조화장품 2024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9.8% 증가

2024년 태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은 점유율 19.02%로 1위를 차지

하나의 제품에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멀티기능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3304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은 제외하며, 선스크린(sunscreen)과 선탠(sun tan) 제품류를 포함한다],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pedicure)용 제품류

Beauty or make-up preparations and preparations for the care of the skin (other than medicaments), including sunscreen or sun tan preparations; 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3304.99

기타 (Other)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시장동향

 

팬데믹으로 잠시 침체되었던 태국 색조화장품(Colour Cosmetics) 시장은 2023년 이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직장 및 학교 복귀, 여행 재개 등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색조 화장품의 전반적인 판매량과 시장 가치가 급격히 증가했다. 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태국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270억 8560만 바트(약 1조1614억 원)를 기록했으며, 2024년은 전년 대비 19.8% 증가한 324억 4310만 바트(약 1조3912억 원), 2025년에는 전년 대비 15.2% 증가한 373억 7620만 바트(약 1조6027만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2027년 태국 색조화장품(Colour Cosmetics) 시장 규모 추이>

(단위: 백만 바트)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태국 소비자들은 립 제품에 우선순위를 두고 화장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아이 메이크업은 소비 우선순위가 높지는 않지만, 주요 브랜드들이 다양한 제품군을 개발하고,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관련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수입규모

 

2024년 태국 화장품(HS Code 3304.99) 시장에서 한국은 수입액 1억 2,709만 달러를 기록하며 점유율 19.02%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0% 증가한 수치로, 전체 수입시장 평균치를(14.5%) 상회하는 수준이다. 주요 경쟁국인 프랑스가 감소세를 보인 것과 달리, 한국은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K-뷰티 제품의 현지화 전략과 중저가 브랜드의 진출 확대가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산 화장품은 태국 내 프리미엄 및 중저가 시장 모두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태국 화장품(HS Code 3304.99) 수입동향>

(단위: US$ 천, %)

구분

수입 규모

점유율

‘24년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486,049

583,464

668,098

100.00

100.00

100.00

14.5


한국

76,449

109,575

127,091

15.73

18.78

19.02

16.0


프랑스

84,202

129,640

113,856

17.32

22.22

17.04

-12.2


일본

71,592

67,516

80,406

14.73

11.57

12.04

19.1


미국

55,823

59,001

69,712

11.49

10.11

10.43

18.2


중국

27,274

37,137

51,573

5.61

6.36

7.72

38.9


인도네시아

38,703

43,885

47,582

7.96

7.52

7.12

8.4


영국

15,577

18,531

36,067

3.20

3.18

5.40

94.6


스웨덴

19,751

14,834

24,369

4.06

2.54

3.65

64.3


이탈리아

5,940

11,792

23,661

1.22

2.02

3.54

100.7


싱가포르

9,145

17,978

19,631

1.88

3.08

2.94

9.2


[자료: Global Trade Atlas(’25.04.24.)]

 

태국의 화장품 소비 트렌드

 

태국 화장품 시장에서는 최근 몇 가지 뚜렷한 소비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요즘에는 하나의 제품에 다양한 기능이 결합된 멀티기능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보습, 자외선 차단, 피부 톤 보정 등 여러 기능이 합쳐진 제품을 선호하며, 여러 브랜드들은 이러한 추세에 맞는 멀티펑션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태국 화장품 브랜드 Srichand는 자외선 차단 기능 및 광채 및 보습 효과를 통합한 글로우 파운데이션을, Cute Press는 아이섀도와 블러셔를 통합한 제품을 출시했다.

 

<Srichand의 글로우 파운데이션, Cute Press의 아이섀도·블러셔 통합 제품>

Srichand Glamour Glow Foundation Powder SPF50+ PA++++ 9g. #P110 Cool Ivory  ศรีจันทร์ แป้งผสมรองพื้นเนรมิตผิวเนียนสวยและโกลว์แบบสาวเกาหลี แกลมเมอร์ ...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또한,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마케팅 전략도 강화되고 있다. 여러 브랜드는 태국 소비자층의 특성을 반영하여 남성 모델을 기용하거나 LGBTQ+ 커뮤니티 지지를 표명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Gucci의 남성 홍보모델 기용, Maybelline과 Mac의 젠더 포용적 홍보 캠페인 등을 통해 태국 소비자층의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살펴볼 수 있다.

 

<태국 화장품 시장의 젠더 포용적 마케팅 사례 - M·A·C & Gucci>

Bangkok Pride - แจกบัตรแต่งหน้า Bangkok Pride x MAC 20 ใบ มูลค่า 1,500 บาท  จาก MAC Cosmetic เปิดรับสมัครผู้ที่สนใจอยากแต่งหน้าแปลงโฉมลุคใหม่ให้ Beyond  โดยได้รับรางวัลเป็นการแต่งหน้า by MAC ในวันที่ 4 มิถุนายน  เพื่อร่วมเฉลิมฉลองไปกับงานบางกอกไพรด์ 2023 ...

Krit 'PP' Amnuaydechkorn. Kittikhun Charoenkitnapa

[자료: Bangkok Pride, Bangkok Post]


이와 함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친환경 포장재와 클린 뷰티 컨셉을 강조한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색조 제품에 천연 성분을 포함한다거나 환경친화적 포장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마케팅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이커머스 채널의 급성장도 주목할 만하다. 최근 소비자들은 온라인 튜토리얼과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제품을 접하는 동시에, 가상 메이크업 시연, 맞춤형 포장, 무료 배송 등 부가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샤넬, 설화수 등 글로벌 브랜드들은 자사몰을 구축하고, 전용 온라인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설하며 디지털 소비자 경험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 샤넬, 설화수의 자사몰 홈페이지>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경쟁 동향

 

<태국 색조화장품 기업 >

순위

기업명/브랜드 로고

기업 정보

1

L'Oréal Thailand Co Ltd

- 본사: 프랑스

- 설립일: 1994년
- 자본금: 약 3억 바트(약 129억 원)

- 매출액(2023): 약 129억 바트(약 5530억 원)

2

Elca (Thailand) Co Ltd

- 본사: 미국

- 설립일: 1990년
- 자본금: 약 1000만 바트(약 4억 원)

- 매출액(2024): 약 43억 바트(약 1843억 원)

3

SSUP (THAILAND) Co Ltd

- 본사: 태국

- 설립일: 1985년
- 자본금: 약 7800만 바트(약 33억 원)

- 매출액(2023): 약 35억 바트(약 1500억 원)

4

Shiseido (Thailand) Co Ltd

- 본사: 일본

- 설립일: 1972년
- 자본금: 약 1000만 바트(약 4억 원)

- 매출액(2023): 약 28억 바트(약 1200억 원)

5

Giffarine Skyline Unity Co Ltd

- 본사: 태국

- 설립일: 2001년
- 자본금: 약 1억 5000만 바트(약 64억 원)

- 매출액(2023): 약 41억 바트(약 1758억 원)

기준: 2023년 브랜드 소매 규모 기준

[자료: Euromonitor, 사업개발국(DBD), 각 기업 홈페이지]

 

<태국 색조화장품 브랜드 순위>

순위

브랜드명/로고

브랜드 정보

1

Maybelline New York

- 회사명: L'Oréal Thailand

- 브랜드 직영 매장 개수: Watsons, Boots, Tops 등 주요 드럭스토어 및 슈퍼마켓, 온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

2

Oriental Princess

- 회사명: SSUP (THAILAND)

- 브랜드 직영 매장 개수: 약 300개 이상

3

Giffarine

- 회사명: Giffarine Skyline Unity

- 브랜드 직영 매장 개수: 직접 판매(Direct Selling) 방식을 채택, 전국에 걸쳐 약 100개의 비즈니스 센터를 운영

4

Chanel

- 회사명: Chanel (Thailand)

- 브랜드 직영 매장 개수: 주요 쇼핑몰에 직영 부티크를 운영

5

Shiseido

- 회사명: Shiseido (Thailand)

- 브랜드 직영 매장 개수: 직영 매장 수 미공개 (주요 백화점 및 쇼핑몰에 입점하여 제품을 판매)

기준: 2023년 브랜드 소매 규모 기준

[자료: Euromonitor,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태국 화장품의 유통은 오프라인 유통(79.1%)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이커머스 채널(20.9%)이 빠르게 성장하며 유통 구조의 재편이 진행되고 있다. 이커머스 채널은 전통 유통 대비 더 저렴한 가격, 무료 배송, 전용 프로모션, 온라인 체험(튜토리얼, 가상 시연) 등을 바탕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Shopee, Lazada와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아이섀도, 립스틱, 젤 네일, 아이브로우 등의 색조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브랜드 전용 온라인몰을 통한 판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태국 화장품 유통채널별 점유율 및 증감 현황>

(단위: %)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관세율 및 인증

 

화장품(HS 3304.99) 수입 시 30%의 일반 세율이 적용된다. RCEP 협정세율 시 18%의 관세가 부과되며, 한-ASEAN FTA 협정세율 적용 시 수입관세가 면제된다.

 

<태국 화장품(HS 3304.99) 수입관세>

HS코드

3304.99

품목명(한글)

기타

품목명(영문)

Other

수입관세

- 일반세율: 3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
- RCEP 협정세율: 18% (원산지 증명서 제출 필요)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화장품을 제조하여 판매하거나, 화장품 제조 계약을 수락하거나, 화장품을 수입하려는 자는 제조 또는 수입을 시작하기 전에 태국 식약청(TFDA)에 화장품의 세부 사항을 통지해야 한다. 해당자는 제품 세부 사항 통지에 관한 규정 및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소비자에게 안전한 화장품을 제조, 수입하거나 제조 계약을 수락할 의무와 책임을 진다. 판매를 시작하기 전에 다음 단계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태국 화장품 인증 절차 요약>

1. 제조업자 / 계약 제조업자 / 수입: 화장품 통지를 위한 시설 점검 보고서

 * [제출 사이트]: https://privus.fda.moph.go.th

2. 화장품의 상세 정보

3. 통지 수령증(Notification receipt)

4. 화장품 제조 또는 수입

5. 태국어 라벨

* 사업자 또는 대리인은 태국 개인 ID 번호를 사용하여 TFDA 전자 통지 시스템(e-Submission) 계정을 개설해야 함

** 통지 수령증은 발급일로부터 3년간 유효하며, 만료 6개월 전부터 갱신이 가능

*** 라벨은 반드시 태국어로 작성되어야 하며, 명확하게 읽을 수 있어야 함. 라벨에 기재된 내용은 사실에 기반해야 하며, 제품에 대한 오해를 일으켜서는 안 됨 (기재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 문서 또는 증빙 자료를 갖추어야 함)

 

화장품 제조 및 보관 시설에 대한 정보 제출

 

화장품을 제조하여 판매하거나 위탁 제조 또는 수입하는 사업을 영위하려는 사업자는 보건복지부 고시 「화장품 제조 시설, 수입 시설 및 보관 시설의 검사 보고서 발급 절차에 관한 고시」에 따른 화장품 제조 시설, 수입 시설 및 보관 시설의 검사 보고서 발급 절차에 따라야 한다. 화장품 제조 또는 수입에 관한 규칙, 절차 및 조건, B.E. 2561 (2018)에 따라 신규 시설 또는 시설 이전 시 화장품 신고 절차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화장품 신고 신청서

 

1. 신고자는 제조업체(재포장업체도 제조업체로 분류됨), 계약 제조업체 또는 수입업체

2. 신고 대상 정보는 다음과 같다:

 2.1. 사업자 정보(사업자명, 주소 등) 및 제조 시설/수입 시설/저장 시설의 정보

 2.2. 제품 정보(제품명, 제품 유형, 원료로 사용된 물질, 사용 조건 등)

 2.3. 신고 내용은 화장품 신고 심사 규정에 따라 첨부 서류를 첨부하여 신고해야 한다.

3. 신고를 접수하는 기관은 태국 식약청, 지방 보건소 또는 태국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신고 등이 있다.

 

 

[자료: 태국 식약청(TFDA) 홈페이지]

 

시사점

 

태국 색조화장품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국 소비자들은 화장품 구매에 있어 품질, 브랜드 신뢰도, 트렌디함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협업 및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시장 진입과 확장을 위한 핵심 요소로 판단된다.


최근 친환경, 젠더 이슈가 대두됨에 따라 태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제품/포장 개발에 있어 친환경적 요소를 강조하고, ‘젠더 뉴트럴’ 마케팅에 주력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한-ASEAN FTA를 통한 관세 면제 혜택과 TFDA의 사전 통지 의무 등 규제 대응도 필수적이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Thailand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FDA),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The Customs Department, Bangkok Post, Bangkok Pride,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