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라오스 소형 픽업트럭 시장동향
  • 상품DB
  • 라오스
  • 비엔티안무역관 박세연
  • 2025-04-28
  • 출처 : KOTRA

산악지형 내륙국 특성으로 소형 픽업트럭에 대한 높은 수요 존재

인프라 확장과 물류시장 확대로 수출기회 증가 기대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870421: 적재량 5톤 이하 소형 경유 픽업트럭

 

픽업트럭 시장 동향

 

라오스에서는 다른 차량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소형 픽업트럭의 수요가 높다. 이는 라오스의 험준한 지형과 미흡한 도로 인프라 때문으로, 픽업트럭은 험한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개인용과 상업용 모두에 적합한 차량으로 인식돼 라오스 어딜가나 픽업트럭을 쉽게 볼 수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픽업트럭이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사용되며, 동시에 일상 통근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반면 농촌이나 준도시 지역에서는 소규모 물류나 농산물 운송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성과 내구성 덕분에 2023년 기준 공식 등록된 운송수단으로 오토바이 다음으로 가장 많다.

 

2023년 기준 등록 차량 대수〉

종류

대수

오토바이

2,369,514

픽업트럭

441,085

세단

99,892

트럭

95,994

지프/SUV

85,396

49,764

버스

6,615

3륜차

9,171

[자료: 라오스 통계청]

 

소비동향

 

주요 구매층은 주로 월 소득 700~1,500달러 수준의 중산층 개인들로, 30,000에서 55,000달러 수준의 차량을 일상 출퇴근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소매·도매 상인들 역시 제품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수단으로 픽업트럭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주요 인기 모델로는 Isuzu D-Max, Toyota Hilux Revo, Ford Ranger, Nissan Navara, Mitsubishi Triton, Chevrolet Colorado, Mazda BT-50 등이 있으며, 이들 모델은 연비 효율, 적재 용량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수입동향

 

라오스의 픽업트럭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뚜렷한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차량은 완성차 형태로 수입되고 있으며,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인프라 확장, 코로나19 이후의 경제 회복, 그리고 도시와 농촌 모두에 적합한 다목적 차량에 대한 소비자 선호 증가에 힘입어 수입 금액이 33.3% 증가하는 등 강한 시장 수요가 나타났다.

 

2021년에서 2022년 사이 코로나19로 수입 금액이 1.3% 감소한 시기를 제외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 시기는 라오스 낍 가치 하락으로 인한 차량 가격 상승, 수입 제한 및 외환 통제 강화, 글로벌 물류 비용 증가와 같은 악재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 회복 시기였던 2023년에서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수입증가율이 각각 21.6%, 21.4%를 기록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러한 반등은 정부의 인프라 투자 재개, 국경 간 무역 활동 증가, 금융 접근성 향상 및 수입 규제 완화 등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농촌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내구성과 다기능성을 갖춘 차량 수요가 결합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흐름은 라오스 픽업트럭 시장이 외부 경제 및 정책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인프라 개발과 지역 간 물류 수요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5개년 라오스 국별 픽업트럭 수입동향>

(단위 : 미화 달러, %)

2020

2021

2022

2023

2024

비중

한국

6,406,466

19,218,894

22,253,201

35,257,282

41,383,099

47.8

태국

27,441,844

31,744,630

26,606,117

25,513,547

30,497,136

35.2

중국

4,197,306

6,949,625

8,830,833

10,184,744

13,639,694

15.8

인도

98,636

631,158

53,467

155,010

563,107

0.7

일본

848,039

86,043

364,418

180,204

492,872

0.6

베트남

103,020

316,009

267,174

22,000

12,782

0.01

독일

-

-

-

-

-

-

인도네시아

-

181,951

-

-

-

-

네덜란드

-

-

-

-

-

-

39,198,331

59,444,320

58,642,384

71,334,787

86,601,473

100

[자료: Global Trade Atlas]

: HS CODE 870421, 비중은 2024년 기준으로 산출 및 정렬

 

라오스로 픽업트럭을 수출하는 1위 국가는 2022년까지 태국이었으나, 2023년부터 한국에 1위 자리를 내주며, 한국이 2024년 대라오스 국별 수출에서 47.8%의 비중을 보였다. 대표적인 모델은 한국에서 포터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현대 H-모델로서 현대, 기아차의 공식대리점인 코라오그룹(KOLAO GROUP)이 유통하고 있다.

 

태국은 현재 2위 수출국가로 한 단계 내려갔으나 여전히 한국 다음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태국은 토요타, 이스즈, 미쓰비시 등 일본의 자동차 생산기지 역할을 하며, 일본 브랜드 차량이 태국에서 조립된 후 완성차 형태로 라오스에 수출되고 있다. 특히, 태국 차량은 라오스와 인접해 있어 부품수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라오스에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를 갖고 있다.

 

한편, 중국은 세 번째로 높은 수출국이며, 2024년 전년 대비 34%가량의 수입증가율을 보이며 한국, 태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라오스로 수출하는 차량 대부분은 전기 세단 혹은 SUV로 픽업트럭의 수출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주요 유통업체


<소형 픽업트럭 주요 유통업체> 

기업명

주요 내용

유통 브랜드

Laothani Group


소개: 1985년 설립 후 라오스 자동차 산업 선도, 고품질 제품과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에 중점

주력품목: 세단, SUV, 트럭, 오토바이, 건설장비, 부품

홈페이지: https://www.laothani.com/

 

TOYOTA, JAC, Peugeot

KOLAO GROUP


소개: 1997년 작은 정비소로 시작해 동남아 주요 자동차 유통기업으로 성장

주력품목: 세단, SUV, 픽업, 소형 상용차, 자동차 금융서비스 및 애프터세일즈 서비스

홈페이지: http://www.lvmcholdings.net/eng/

Hyundai, Mitsubishi

RMA LAO


소개: 1994 TJFFLQ GN 인프라 개발프로젝트 지원 경험 다수, 자동차, 건설, 통신, 식음료 프랜차이즈 등 다각적 사업전개

주력품목: SUV, 픽업트럭, 고급차

홈페이지:

https://archive.rmagroup.net/global-reach/laos/

FORD, Mahindra

KEO AUTO GROUP

소개: Mazda의 독점딜러, 최근 중국산 전기 픽업트럭 Radar도 유통개시

주력품목: 세단, SUV, EV픽업트럭

홈페이지: http://mazda.com.la/

MAZDA, Radar(EV)

Tan Chong Motor Lao

소개: 말레이시아 Tan Chong그룹 자회사로 NISSAN차량 독점 유통, NISSAN브랜드 전체 라인업 취급

주력품목: 세단, SUV, 픽업트럭, 상용차

홈페이지: https://www.nissan-lao.la/

NISSAN

ISUZU LAO VSA

소개: 2007년 설립, ISUZU 공식수입판매사, 2014년 참파삭주까지 확장하여 3000대 이상 판매실적 보유

주력품목: 픽업트럭, SUV, 화물트럭

홈페이지: https://www.isuzulaovsa.com/?lang=en

ISUZU

[자료: 무역관 자체 조사]

 

경쟁동향

 

라오스 픽업트럭 시장은 토요타(Toyota), 이스즈(ISUZU), 미쓰비시(MITSUBISHI) 등이 강력한 딜러 네트워크, 다양한 모델, 용이한 부품 수급 등으로 태국을 통해 수입된 일본계 브랜드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 기아 등의 한국 브랜드 역시 라오스 도로 조건에 적합한 우수한 내구성과 높은 연비 효율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고 있다.

 

〈브랜드별 대표 모델〉

브랜드

대표 모델

특징

주요 유통사

토요타

(Toyota)


Hilux


내구성, 높은 잔존가치, 다양한 트림으로 브랜드 충성도가 높음

Lao Toyota Service, Toyota Laothani, Toyota Champa

이스즈

(Isuzu)


D-Max

연비, 실용성이 좋으며, 라오스 내 Toyota 다음으로 인기가 좋음

Isuzu Lao Service, Isuzu Lao VSA

포드

(Ford)


Ranger


기술력, 파워

LAO FORD CITY

(RMA GROUP의 자회사)

미쓰비시

(Mitsubishi)


Triton


다목적, 저렴한 유지비

KOLAO GROUP

닛산

(Nissan)


Navara


도심과 농촌 겸용

Tan Chong Motor Lao

마쯔다

(Mazda)


BT-50


연비, 고급스러움

KEO AUTO GROUP

쉐보레

(Chevrolet)

Colorado

부드러운 승차감

MANIGNOM AUTO GROUP


현대, 기아

(Hyundai, Kia)


현대 포터, 기아 봉고


저렴한 가격, 상업용 적합

KOLAO GROUP

[자료: 무역관 자체조사]

 

세금 및 관세

 

- 수입 관세 (차량 유형에 따라 다름): 0~10%

- 부가가치세(VAT): 10%

- 특별소비세(Excise Tax): 엔진 배기량 및 용도에 따라 부과되며, HS 코드 870421에 해당하는 픽업트럭은 대체로 2,000cc~3,200cc 범위에 해당

 

〈특별소비세 세율〉

배기량

세율

2,000에서 2,500cc

66%

2,500에서 3,000cc

82%

3,000에서 4.000cc

127%

[자료: 주석령 003/P호(2023년 10월 9일 발효)]

 

적용 법규 및 지침

 

- 수입/수출 허가 대상 품목 지정령 (No. 0333/MoIC, 2022.03.22)

- 차량 수입 및 유통 허가 규정 (No. 0075/MoIC, 2012.01.13)

- 차량 사업 관리령 (No. 470/GOV, 2019.12.27)

- 차량 사업 관리 권한 이양 결정 (No. 0023/MoIC, 2022.01.06)

- 한-ASEAN FTA

 

시사점

 

라오스 픽업트럭 시장은 단기적으로 경기 변동에 따라 수입 규모의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인프라 개발 확대와 농촌 물류 시스템의 정비에 힘입어 안정적인 수요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특히, 건설 및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고려할 때, 라오스 내 픽업트럭은 단순한 운송수단을 넘어 필수적인 경제활동 도구로서 그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시장은 토요타(Toyota)와 이스즈(Isuzu)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한국의 현대자동차, 기아, 중국계 브랜드 등도 가격 대비 우수한 성능과 전기차 라인업을 앞세워 점유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라오스 소비자들은 최근 차량 선택 시 내구성과 연비,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사후관리(A/S) 서비스의 신뢰성과 유지비용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품질 중심의 브랜드 진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픽업트럭 제조 및 수출 기업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첫째, 제품 측면에서는 라오스의 도로 환경과 연료 사정을 고려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연비가 우수한 모델을 중심으로, 2,000~3,000cc급 세그먼트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유통 전략으로는 공식 딜러십 확보와 함께 로컬 에이전시와의 협업을 병행하고, 동시에 A/S 센터를 함께 구축함으로써 고객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격 정책에 있어서는 한-아세안 FTA를 적극 활용하여 관세를 절감하고, 중산층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적정 사양 및 트림 배치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마케팅 전략은 실용성, 유지비, 신뢰성 등 실질적인 가치를 강조하면서 브랜드 이미지와 보증 서비스의 우수성을 함께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로컬 금융사와 연계한 리스 및 할부 프로그램을 통해 구매 접근성을 높이는 협업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

 

라오스 픽업트럭 시장은 수요의 지속성과 명확한 소비자 타겟, 비교적 안정적인 유통 구조를 갖춘 유망 시장이다. 특히, 인프라 확장과 농촌 물류 수요 증가가 맞물리는 현시점은 한국산 소형 트럭의 수출 확대에 있어 중요한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은 시장 진입 초기부터 철저한 현지화 전략과 체계적인 유통·A/S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중장기적 성과를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자료: 라오스 통계청,  라오스 산업통상부, Global Trade Atlas,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라오스 소형 픽업트럭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