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농기계 시장동향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5-04-28
- 출처 : KOTRA
-
농업 대국으로서의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농업 기계화율은 낮은 상태
수요는 꾸준히 확대될 전망으로 금융, A/S 등의 연계서비스 전략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HS Code: 870192
상품명: 농업용 트랙터
미얀마 농업의 잠재력
미얀마는 국토 면적이 약 67만 6000㎢에 이르고, 에야와디(Irrawaddy) 강과 같은 대형 수계가 중부를 흐르고 있어 농업용수 확보가 용이하며, 고온다습한 열대 몬순기후로 곡물과 다양한 작물 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천혜의 여건에 힘입어 미얀마는 동남아시아에서 농업발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고, 실제로 미얀마는 남북으로 길게 뻗은 지형적 특성 덕분에 남부는 벼와 기름야자, 중부는 콩과 유지작물, 북부 산악지대는 채소류 등 지역별로 특화된 농업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미얀마의 농업은 국가 경제 전반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22%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노동 인구의 약 68%가 농업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미얀마는 1940년대 후반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의 지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벼, 옥수수, 콩류 등의 생산량은 아세안 2~4위를 기록하고 있고, 특히 콩류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정부가 전략 품목으로 육성 중이다.
미얀마 농기계 시장 규모와 기계화 과제
그러나 미얀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혜의 자연환경과 농업에 유리한 기후조건을 갖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농업 생산성과 수출 경쟁력 측면에서는 여전히 아세안 주요 농업국에 비해 뒤처져 있고, 그 주요 원인 중 하나로서 낮은 기계화율이 미얀마 농업의 현대화를 지연시키는 가장 큰 제약으로 지적된다.
현재 미얀마 농업은 영세한 소규모 농가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체 농가의 80% 이상이 10 에이커 미만의 경작지를 보유하고 있어, 대규모 농기계 도입과 활용이 어려운 구조다. 이로 인해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고, 농작업의 효율성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미얀마 농축산관개부 산하 농업기계국의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회계연도까지 보급된 농기계는 트랙터 3만9000대, 파종기 12만6000대, 로터리식 소형 농기계 58만2000대 등으로, 농업용 경지면적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처럼 낮은 기계화율은 단순히 농업 생산성 문제에 그치지 않고, 농기계 관련 산업발전의 정체로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농기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정부 차원의 농업 현대화 정책 추진, 외국 기업의 기술협력 및 투자확대가 이어질 경우, 미얀마 내 농기계 수요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계연도별 농기계 누적 보급현황>
(단위: 천 대)
농기계 종류
2016~17년
2017~18년
2018~19년
2019~20년
2020~21년
파종기
(Seed Drills, Harrow)
98
98
98
97
97
파종기
(Seed Drills Plough)
23
26
26
28
29
로터리식
(Rotary Harrows)
603
602
605
602
582
양수펌프
(Water Pumps)
290
305
308
319
323
트랙터
(Tractors)
27
31
34
37
39
[자료: Department of Agricultural Land and Management]
미얀마 농기계 보급 부진의 원인
미얀마 정부는 농업의 현대화를 위해 농기계 보급 확대에 힘쓰고 있으나, 실제 보급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영세한 농가의 경제적 한계 때문이다. 다수 농민이 비료나 종자를 구입하려고 해도 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농기계를 자비로 구입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미얀마는 여러 금융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농축산관개부는 기계 구매를 위한 할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3~5년 만기의 분할 상환 조건으로 농가의 부담을 덜어주려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도 5% 이율의 장기 대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농민들의 기계 구입을 지원하고 있고, 할부가 어려운 농가를 위해서 각 지역 사무소를 통해 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등의 농기계를 임대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계화율 제고에는 한계가 있다. 가장 큰 한계로는 정부재정의 제약이다.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 지원 대상이나 기계 수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농촌에서는 일부 경제적 여유가 있는 농가에서 농기계를 구매하여 이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많이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보급 확대와는 거리가 있다.
수입 동향
미얀마는 농업국가로서 정부 소유의 농기계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실제 생산은 일부 단순 부품이나 소형 수공구류의 조립 및 가공 수준에 그치고 있고, 트랙터, 이앙기, 수확기 등 주요 농기계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HS 코드 870192에 해당하는 트랙터의 수입 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2024년 기준 총 1137만575달러를 기록했고, 주요 수입국으로는 태국(658만 7,039달러), 중국(450만 4,919달러), 인도(27만 3,899달러) 등이다. 한편, 한국은 2018년에 2만9000달러가 수입됐지만 그 이후부터는 수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의 농기계(트랙터) 수입 규모>
(단위 : 달러)
국가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총 수입량
15,944,246
14,612,016
12,806,053
6,203,887
2,671,769
8,557,929
11,370,575
태국
6,441,477
5,679,656
5,838,223
3,972,463
699,082
5,756,611
6,587,039
중국
8,699,800
7,422,608
4,352,601
1,921,049
1,505,907
2,549,436
4,504,919
인도
628,943
1,401,077
2,590,860
310,375
466,781
251,882
273,899
일본
144,913
108,675
24,370
-
-
-
4,717
한국
29,113
-
-
-
-
-
-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미얀마 농기계 시장에는 인접 국가들의 브랜드 제품들이 경쟁적으로 진입해있다. 특히 태국은 국경이 인접해있어 국경무역을 통해 물류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가장 많은 농기계를 미얀마에 공급하고 있고, 이에 따라 태국은 현재 미얀마 최대의 농기계 수입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외에도 중국, 인도, 싱가포르 등 인접 국가들 역시 주요 공급국으로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농기계 제품의 주요 브랜드로는 일본의 Kubota와 Iseki, 인도의 Sonalika와 Mahindra, 미국의 John Deere, 유럽계 New Holland, 일본의 Yanmar 등이 있는데, 이 중 Kubota는 태국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어 공급 효율성과 가격 경쟁력 면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또한 Dongfeng, Shifeng, Wuzheng 등 중국 브랜드도 현지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 기업으로는 대동공업이 대표적인 공급업체로, 뛰어난 품질과 내구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점차 시장 내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미얀마에서 농기계를 수입·유통하고 있는 G사 관계자는 “농기계는 농업국가인 미얀마에서 매우 필요한 품목이지만, 농가의 소득 수준에 비해 기계 가격이 높아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트랙터의 경우 마을 단위로 공동 구매한 뒤, 순번제로 임대해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농기계는 정부의 수입 라이선스 우선 승인 품목에 포함돼 있지만, 단가가 높아 실제로는 라이선스 발급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기타 소비재처럼 빠르게 수익을 내는 품목이 아니기 때문에 유통에도 시간이 걸린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미얀마에서는 단순히 기계를 판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사용법 교육과 사후 수리 서비스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 농민들은 여전히 소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에 익숙하거나 기계 조작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미얀마도 농기계 활용 교육을 지원하고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얀마에 유통 중인 농기계 브랜드>
제품 종류
브랜드명 및 모델명
제품 이미지
4 Wheel Tractor
Kingtrac
NLX954
Kubota
M8540
Mahindra
8004WD
Rice Transplanter
Kubota
SPW-68CM
쟁기
DongFeng
DF 954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조사]
유통구조
미얀마의 농기계 유통은 일반적으로 해외 생산업체들이 제품을 생산하면 공식 딜러 또는 수입업체들이 이를 수입하여 대리점을 통해 최종 소비자인 농민에게 판매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식 수입업체가 대리점 없이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미얀마 농기계 유통구조>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관세율 및 수입통관 절차
<농기계에 적용되는 관세 및 상업세>
(단위 : %)
HS 코드
HS 코드 설명
단위
관세율
상업세율
8701.92.10
Agricultural Tractors
u
0%
0%
8701.92.10
Others
u
10%
5%
[자료: Myanmar Custom Tariff 2022]
미얀마의 농기계 수입 관세율은 0%이고, 상업세(Commercial Tax)도 0%이다. 농기계는 수입허가를 받아야 되는 품목으로서 수출자가 판매계약서(Sales Contract)를 구비하여 농업축산관개부(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Irrigation)에 수입 신청서를 제출하고 가격을 확인받은 다음 직인을 수령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면 은행에 수입화물에 대한 대금을 예치하고, 잔고증명을 발행받아 상업부에 제출해야 한다. 견적 송장(Proforma Invoice)을 준비할 때는 농기계의 사이즈, 사용량 등 상세 스펙과 제조국, 브랜드명 등을 명기하고 기계 보증서(Guarantee Letter)와 함께 첨부해야하며, 나머지 통관절차는 일반 제품과 동일하다.
농기계 관련 전시회 정보
<농기계 관련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기간
개최지
홈페이지
2025 The 9th Myanmar International Agriculture Industrial Exhibition
2025.12.16.~19
양곤
YCC(Yangon Convention Center)
https://www.chanchao.com.tw/en/expoDetail.asp?id=FAGMMMR2025
[자료: Chan Chao 전시회 정보 홈페이지]
시사점
미얀마는 농업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고 있지만, 낮은 기계화율로 인해 농업 생산성이 정체돼 있는 상황이다. 특히 농촌 고령화와 젊은 인력의 해외유출로 인해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농기계 도입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얀마는 농업 기계화 확산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고, 2030년까지 기계화율을 63%까지 높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시장 측면에서 본다면 미얀마 농기계 수요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 조사기관 KEN Research에 따르면, 2020~2025년 사이에 농기계 시장은 약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우리 기업들에게도 유의미한 진출의 기회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고가의 농기계를 도입해야 하는 시장 특성상 금융지원이 결합된 판매 전략이 필수적이다. 실제로 현지에서는 일부 기업이 할부 판매 및 재임대 모델을 활용해 성과를 거둔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우리 기업들이 미얀마 농기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금융 프로그램 연계는 물론, 부품의 공급 체계와 유지보수의 서비스 개선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브랜드 신뢰도와 접근성을 높일 수 있고, 이미 한국산 제품에 대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어서 우리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Department of Agricultural Land and Management, 미얀마 통계청(CSO), 미얀마 관세청(Myanmar Customs) 및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농기계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
미얀마 2024-04-22
-
2
2021년 미얀마 임업 산업 정보
미얀마 2022-02-07
-
3
2021년 미얀마 전력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4
2021년 미얀마 농업 산업정보
미얀마 2021-12-29
-
5
2021년 미얀마 수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6
2021년 미얀마 봉제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