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복합 동박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4-28
  • 출처 : KOTRA

복합 동박이 점차 전통 전해 동박의 중요한 대체 선택으로 발전

복합 동박을 음극 집전체로 사용한 리튬 배터리는 저비용, 높은 안전성, 장수명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장점 보유

중국은 첨단 복합 동박 생산에서 점차 자급자족을 실현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정 부분 수입에 의존

상품명 및 HS Code


복합 동박은 PET, PP, PI 등의 고분자 재료를 기재(Substrate)로 사용하고, 그 양면(상부 및 하부)에 금속 구리층을 증착시켜 제조하는 신공정 기반의 재료. '구리-고분자-구리'3중층 형태로, 일종의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배터리 무게를 효과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으며,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또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그로 인해 배터리 내부 단락(short circuit)의 위험을 줄이고 전반적인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복합 동박

7410.21

[자료: HS 코드망]


산업 가치사슬


중국 복합 동박 산업의 업스트림은 원자재 및 설비(기막, 도금 첨가제, 구리 타겟,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비, 수도금 장비, 증착 장비, 초음파 롤 용접 장비 등)를 취급하는 업체들로 구성되며미드스트림은 복합 동박 제조 회사로 이뤄져 있다현재 복합 동박의 생산에는 여러 가지 공정 경로가 존재하며, 1단계법(화학 증착법, 진공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진공 증착법), 2단계법(진공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전기도금)3단계법(진공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진공 증착+전기도금)이 포함된다. 한편, 다운스트림에는 복합 동박을 실제로 활용하는 산업들이 포함되며, 대표적으로 동력 배터리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소비자용 배터리 등이 있다. 이러한 분야들은 복합 동박의 주요 수요처로서 산업 전반의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중국 복합 동박 산업 가치사슬>


[자료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쯔옌컨설팅(智研咨询)]


시장 동향


현재 중국의 복합 집전체(Composite Current Collector) 산업은 초기 산업화 단계(0에서 1로의 도약)에 있으며, 용접 공정의 안정화, 제품 수율 개선 등 기술적 난점이 점차 해결되면서, 복합 동박 산업은 본격적인 대규모 양산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특히 2024년에는 신에너지차, 5G 통신 장비 등 첨단 분야에서의 실제 응용이 확대되면서 산업의 성장 속도 또한 점점 빨라지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복합 동박 시장 규모는 928000만 위안에 달했으며, 2024년 시장 규모는 1821000만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 신에너지차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고성능 전도성 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복합 동박은 핵심 소재로서 더욱 높은 수요와 응용 가능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25년에는 중국 복합 동박 시장 규모가 2915000만 위안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1~2025년 중국 복합 동박 시장 규모>

(단위억 위안)


[자료중상산업연구원쯔옌컨설팅]


총체적인 생산 비용 측면에서 복합 동박은 기존 전해 동박에 비해 뚜렷한 가격 우위를 가지고 있다. 구리 가격이 4만 위안/톤에서 8만 위안/톤으로 상승함에 따라 전통 동박뿐만 아니라 PET 동박과 PP 동박의 생산 비용도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나, 전통 동박의 단가가 여전히 PET PP 기반 복합 동박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쯔옌컨설팅 자료에 따르면, 구리 가격이 톤당 8만 위안일 때 PET 동박의 비용은 약 3.5위안/㎡, 전통 동박(4.3위안/) 대비 18.6% 저렴하며, PP 동박은 3.4위안/로 전통 동박 대비 20.9% 낮은 비용 구조를 보여, 더욱 뛰어난 가격 대응력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면복합 동박의 두께는 5~8μm 범위이며 전도성은 20mΩ 이하로 유지돼 필름의 양면에서 안정적인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과 경제성 덕분에 복합 동박은 점차 전통 전해 동박의 유력한 대체재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도 시장 선점을 위해 적극적인 기술 개발과 양산 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산업 전반은 활발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각종 동박 제품 생산비용 비교>

(단위위안/)


[자료중상산업연구원쯔옌컨설팅]


복합 동박을 음극 집전체로 사용한 리튬 배터리는 저비용, 높은 안전성, 장수명(长寿命)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용 구조를 살펴보면, 업스트림 장비와 원자재는 각각 50%31%를 차지하며, 에너지 소모는 6%, 기타 비용은 13%를 차지한다.


<중국 복합 동박 비용 구조>

(단위: %)


[자료중상산업연구원]


수출입 동향


중국은 첨단 복합 동박 생산에서 점차 자급화를 실현하고 있으나, 여전히 일정 부분 수입 의존도가 존재한다.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중국 복합 동박 수입액은 수출액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2024년 중국 복합 동박 수출액은 66300만 달러에 불과한 반면, 수입액은 121600만 달러로 수출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을 기록했다.

 

한편,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복합 동박의 수출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17% 증가한 66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9~2024 중국 복합 동박 수출입액 및 증감률 추이>

(단위: US$ 백만, %)

*: HS CODE 7410.21 기준

[자료한국무역협회]


중국의 복합 동박 주요 수입 국가 및 지역은 대만한국일본 순으로 중국의 2023 대한 복합 동박 수입액은 전년 대비 11.2% 감소한 25221만 달러였으나, 2024년에는 전년 대비 다시 23.4% 증가해 31112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2~2024년 중국 복합 동박 주요 수입 국가/지역>

(단위: US$ , %)

국가/지역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대만

609,362

-23.9

391,714

-35.7

522,749

33.5

2

한국

283,899

6.6

252,213

-11.2

311,129

23.4

3

일본

278,322

-14.9

240,562

-13.6

241,697

0.5

4

태국

38,977

-48.2

33,965

-12.9

46,302

36.3

5

미국

41,482

-23.0

25,019

-39.7

29,634

18.4

6

말레이시아

11,640

-5.1

11,207

-3.7

25,907

131.2

7

홍콩

15,598

3.8

9,955

-36.2

11,391

14.4

8

마카오

22,596

5.4

11,418

-49.5

9,145

-19.9

9

싱가포르

9,824

-27.3

5,668

-42.3

6,369

12.4

10

독일

10,913

-51.1

6,542

-40.1

4,310

-34.1

*상기 순위는 2024년 수입액 기준

[자료한국무역협회]


경쟁 동향


첨단 복합 동박의 생산 기술은 진입 장벽이 비교적 높으며, 현재 해당 분야의 핵심 기술력은 한국, 일본 등 일부 국가가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첫째, 소재 측면에서는 일본의 도레이(Toray)와 미쓰비시 케미칼(Mitsubishi Chemical)이 오랜 기술 축적과 선진화된 생산 공정을 바탕으로 3μm 이하 초박형 PET 기막 제조 분야에서 장기간 선두를 유지하며 첨단 시장에서 뚜렷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SKC는 고성능 필름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내열성이 요구되는 고기능성 필름 개발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 둘째, 장비 측면에서는 일본 ULVAC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비가 성능 측면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다.

 

중국 복합 동박 산업의 경쟁 구도는 비교적 집중돼 있으며, Shenzhen Baoming Technology(深圳市宝明科技股份有限公司), Nord New Materials(诺德新材料股份有限公司), Guangdong Jiayuan Technology(广东嘉元科技股份有限公司), Shantou Wanshun New Material Group(汕头万顺新材集团股份有限公司) 등 몇몇 대형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은 기술 수준, 제품 품질 및 비용 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며 업계의 빠른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중국 주요 복합 동박 기업 현황>

업명

설립 시기

2024 Q1-Q3

총 영업이익

(백만 위안)

 

홈페이지

주요 소개

Shenzhen Baoming Technology Co., Ltd.

(深圳市宝明科技股份有限公司)

2006

1081

http://www.bmseiko.com

ㅇ 전통적으로 LED 백라이트의 연구개발, 설계, 생산 및 판매, 그리고 액정 패널 유리의 심층 가공 사업을 주력으로 수행

ㅇ 2021년 초부터는 신에너지 배터리 소재 산업에 진출, 리튬 배터리용 복합 동박의 연구개발에 착수하며 신규 사업 영역 확대

Nord New Materials Co., Ltd.

(诺德新材料股份有限公司)

1989

3709

www.ndgf.net

ㅇ 자체 연구 및 생산하는 전해 동박의 선도 기업 중 하나이며산하에 네 개의 대규모 전해 동박 생산 기지 보유

ㅇ 현재 국제적으로 유명한 리튬 배터리 동박의 선도 공급업체임

Guangdong Jiayuan Technology Co., Ltd.

(广东嘉元科技股份有限公司)

2001

4340

http://gdjygf.com

ㅇ 고성능 전해 동박복합 동박고성능·고정밀 동합금 선재의 연구·제조·판매 및 풍력·태양광·에너지 저장(풍광저)’ 분야의 투자·건설·서비스를 포괄하는 종합 과학기술형 그룹 기업

Shantou Wanshun New Material Group Co., Ltd.

(汕头万顺新材集团股份有限公司)

1998

4748

www.wanshun.cn

ㅇ 친환경 포장재, 고정밀 알루미늄 호일, 기능성 필름의 3대 사업을 아우르는 국가 첨단 기술 기업

[자료: Wind, 쯔옌컨설팅]


유통구조


중국 복합 동박 제조업체의 유통 방식은 생산 판매 병행대리상 판매온라인 플랫폼(1688, 爱采购 기반 판매 등으로 다양하다. 현재 CATL(宁德时代), BYD(比亚迪) 등 배터리 업계의 거대 기업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계약을 체결해 직접 공급하는 것은 복합 동박 기업의 매우 중요한 판매 모델이다. 이러한 배터리 대기업은 복합 동박에 대한 수요가 많기 때문에, 이들과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복합 동박 기업의 실적과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현재 업계에서 비교적 주요한 유통 방식 중 하나다.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7410.21' 기준 수입 관세율 및 인증 여부는 아래와 같다.

 

<복합 동박 중국 수입 관세율 및 인증 필요 사항>

HS CODE

한중FTA

RCEP

최혜국 세율(MFN)

일반 세율

인증

7410.21

0%

0%

4%

14%

해당 없음

[자료중국세관총서(中国海关总)]


시사점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와 지방 정부는 '신에너지차 산업 발전 계획(2021~2035)(新能源汽车产业发展规划)', '녹색 건축 자재 발전 촉진에 관한 몇 가지 의견(关于加快推动绿色建材发展的若干意见)' 일련의 정책을 발표하며 복합 동박 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신에너지차, 신에너지 배터리 등 관련 산업 발전이 촉진되며 복합 동박 산업에 광활한 시장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현재 복합 동박 생산 공정과 기술은 점차 성숙해지고 있으며, 특히 2단계법 공정(진공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전기도금)은 시장에서 주류로 사용되는 공정 방법 중 하나가 됐. 이 공정은 수율과 생산 효율 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생산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앞으로 기술의 지속적인 최적화에 따라 복합 동박의 성능과 품질은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자료HS 코드망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쯔옌컨설팅(智研咨询)한국무역협회, Wind, 중국세관총서(中国海关总署) 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복합 동박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