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 정수기 시장 동향
- 상품DB
- 덴마크
- 코펜하겐무역관 Seul Yi
- 2024-12-11
- 출처 : KOTRA
-
덴마크 지하수 오염 우려 확대로 정수기 수요 증가
2023년 대한 수입 412% 상승
상품명 및 HS 코드
정수기 8421.21
시장동향
덴마크는 청정 지하수에 대한 높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식수의 99%가 지하수에서 공급되고 있다. 이처럼 덴마크는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돼 정수기 시장의 규모가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다만 2020년 덴마크의 음용수 시추공의 절반 이상에서 살충제 잔류물이 발견되는 등(덴마크 환경청) 농약 및 기타 오염물질로 인한 지하수 수질 저하 문제가 가시화되기 시작하면서 덴마크에서도 점차 생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덴마크 소비자들은 친환경, 지속 가능성 등 윤리적인 소비에 관심이 높으며 이에 따라 늘어나는 생수 소비와 함께 증가하는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덴마크 정부는 플라스틱 규제의 일환으로 생수를 포함한 플라스틱, 캔 음료 등에 PANT 부과금을 적용하고 있다. 이 제도는 음료 구입 시 사용 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일정 금액을 추가 부담하고 마트에 용기를 반환할 경우 이를 해당 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으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다만 동 제도는 용기 반환 및 관리의 번거로움과 플라스틱 소비 자체를 근본적으로 줄이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따라서 PANT 정책에 번거로움을 느끼면서도 환경 문제에 관심이 높은 덴마크 소비자들은 정수기를 대안으로 주목하기 시작했다.
덴마크에서 커피 및 차의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정수기 시장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물의 맛이 음료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러한 트렌드는 더욱 확산되고 있다. 유럽 커피 협회의 연구에 따르면, 수돗물의 품질이 커피 맛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석회질 제거에 특화된 가정용 정수기를 주요 제품으로 내세우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수입 동향 및 규모
HS코드 8421.21의 수입은 2014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21년에 이르러서는 코로나19에서 비롯된 물류 파동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치의 수입량을 기록했다. 2022년과 2023년의 경우 러-우 사태 및 이에 따른 에너지 가격의 급등으로 덴마크를 비롯한 유럽의 경기가 위축되면서 해당 품목의 수입 역시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2024년에는 지정학적 요인에서 기인한 경기침체가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해당 품목의 수입 역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4~2023년 덴마크의 HS코드 8421.21 품목 수입액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GTA 2024.]
국가별 수입의 경우 10위 권내 8개 국가가 유럽 국가로 덴마크는 해당 품목을 주로 유럽 내에서 조달하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독일이 가장 큰 수입국이었으나 2023년에는 지난해 대비 18%가량 수입량이 감소했으며 2위 수입국인 미국으로부터의 수입도 지난해 대비 28% 감소했다. 덴마크의 주요 아시아 수입국으로는 중국이 대표적이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도 지난해 대비 55%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 한국으로의 수입액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2023년 덴마크의 대한 수입액은 146만 달러로 이는 지난해 대비 약 412%가 증가한 수치다.
<2021~2023년 덴마크의 HS코드 8421.21 품목 국가별 수입액 추이>
(단위: US$ 십만, %)
순위
국가명
2021년
2022년
2023년
'23/'22
증감률
합계
719,848
703,917
600,525
△14.69
1
독일
276,811
217,503
177,757
△18.27
2
미국
80,899
106,491
76,380
△28.28
3
스웨덴
61,104
34,637
44,974
29.84
4
네덜란드
47,933
29,943
37,731
26.01
5
오스트리아
7,001
13,360
31,899
138.75
6
중국
63,448
69,541
31,717
△54.39
7
체코
32,129
34,253
23,726
△30.73
8
프랑스
22,197
23,620
22,509
△4.7
9
이탈리아
22,445
20,628
18,956
△8.11
10
스페인
25,360
22,264
18,880
△15.2
14
한국
4,959
2,870
14,698
412.07
[자료: GTA 2024.]
경쟁 동향
덴마크에서는 BRITA, Dafi 등의 물통형 정수기, A2O Pure 등의 싱크대 설치형, Brita On Tap 등의 수도꼭지 설치형 정수기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물통형 정수기는 간편한 사용성과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제품은 보통 1~2개월의 필터 교체 주기에 따라 유지 비용이 다소 추가된다.
A2O Pure는 싱크대 밑에 설치하는 제품으로, 초기 비용 및 설치 비용이 꽤 높은 편이다. 그러나 한 번 설치하면 1~2년 동안 필터의 교체 없이 유지할 수 있다. Brita의 On Tap V는 기존 수도꼭지에 직접 설치해 사용하는 정수기로, 설치 및 필터 교체가 쉬워 덴마크 시장에서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제품의 경우 LG와 삼성의 정수기 기능이 있는 냉장고가 인기가 많다. 이외에는 Coway의 Aquamega라는 정수기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이처럼 덴마크 내 유통되는 정수기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소비자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
<덴마크 유통 정수기 브랜드 및 가격>
(단위: US$)
국가
제품명
제품사진
가격
독일
브리타 정수기 저그 마렐라
35
폴란드
Dafi ASTRA
13.5
덴마크
A2O Pure
984
네덜란드
Philips Micro X-Clean
42
독일
Brita On
Tap V
53
한국
LG Side by
Side with
Water
dispenser
1,690
한국
삼성 Side by Side 냉장고
1,832
한국
Coway
Aquamega
329.5
[자료: Bilka, Elgiganten 등 덴마크 온라인 유통망]
유통 구조
덴마크의 정수기 주요 유통채널로는 전통적인 전자제품 매장과 오프라인 소매점이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거래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Føtex, Bilka와 같은 대형 마트에서는 간단한 필터형 정수기와 물통형 정수기를 찾아볼 수 있으며, 전자제품 소매점인 Power, Elgiganten에서는 싱크대 설치형 정수기 및 스탠드형 정수기를 구매할 수 있다. 싱크대 설치형 등 별도의 설치 서비스가 필요한 제품의 경우 자체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Amazon 등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도 관련 제품을 다수 찾아볼 수 있다.
관세율 및 인증
HS 코드 8421.21의 한-EU FTA 관세율은 0%다.
덴마크에서 시행되고 있는 GDV(Godkendt til DrikkeVand, 음용수 승인) 제도는 음용수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음용수와 접촉하는 자재의 재료를 규제하는 제도로 배관, 수도꼭지, 밸브, 정수기 등 음용수가 접촉하는 전 구성요소가 이에 적용된다. 다만 2016년부터는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에서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면 GDV 인증을 받을 필요 없이 덴마크에서 판매가 가능하다. 따라서 음용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수기 등의 경우 덴마크 내 판매를 위해서는 GDV 인증 또는 주변 국가의 인증을 받아야 한다.
시사점
덴마크는 전통적으로 지하수의 청정도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어 정수기 시장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그러나 최근 지하수 오염 문제로 인해 생수 소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환경 문제에 민감한 덴마크 소비자들은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정수기를 주목하고 있어 동 분야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덴마크는 높은 인건비로 인해 초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제품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잦은 필터 교체는 플라스틱 사용을 꺼리는 덴마크 소비자의 취향에 맞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덴마크 현지 시장에 대한 사전 조사 및 대비는 필수적이며 아울러 GDV 인증 등 필요 인증 사항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덴마크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해 석회 제거와 같은 기능적 장점 외에도 플라스틱 사용 절감, 재활용이 가능한 부품 등 친환경적 요소를 포함한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작성 지원: 현장실습생 서예린
자료: 덴마크 환경부(Miljø og Ligestillingsministeriet), 덴마크 사회 및 주택청(Social og Boligstyrelsen), 덴마크 지역 협의회(Danske Regioner), Euromonitor, Statista, GTA, Bilka, Elgiganten 및 KOTRA 코펜하겐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덴마크 정수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 덴마크 화장품 산업 동향
덴마크 2024-05-20
-
2
2021 덴마크 해운산업
덴마크 2021-12-03
-
3
2021년 덴마크 의료/바이오 산업
덴마크 2021-11-29
-
4
2021년 덴마크 유통산업 정보
덴마크 2021-10-18
-
5
2021년 덴마크 해상풍력발전 산업 정보
덴마크 2021-08-20
-
6
2021년 덴마크 산업 개관
덴마크 202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