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가나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가나
  • 아크라무역관 황홍구
  • 2024-12-09
  • 출처 : KOTRA

한국산 자동차부품 틈새시장 위주 진출 가능성


상품명 및 HS코드


자동차부품의 HS코드는 870829이며 다른 곳에서 별도로 지정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기타 차량용 부품이나 부속품을 포함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최근 몇 년간 가나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자동차 부품도 호황이다. 가나에서는 신품 및 중고 부품과 차체 부속품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수입도 수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16억 달러로 추정되며 2024년 말에는 약 18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부품(HS코드 870829)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 한국, 미국이다. 최근 3년간 수입 1위 국가는 중국이었으며 한국이 두 번째다. 2023년 기준 중국으로부터 수입액은 93만7856달러며 이는 전체 수입액의 15.5%이다. 한국으로부터 수입액은 80만4957달러며 이는 전체의 13.3%이다.


가나의 자동차 조립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가나로의 자동차 부품 수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나에서 운영되는 현지 조립공장 중 일부는 외국 브랜드와 협력해 차체 부품 및 액세서리를 수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칸탄카 오토모빌(Kantanka Automobile)과 같은 현지 조립공장은 대부분의 차체 부품과 액세서리를 중국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한국산 부품 및 부속품 수입업체는 현대, 기아, GM 등 한국산 자동차의 차체 부품 및 부속품을 주로 한국에서 수입해 판매한다. 독일, 미국, 일본 등의 차량용 부품의 경우 해당 브랜드 제조 모기업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브랜드 제조국에 상관없이 중국은 다양한 차종에 걸쳐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를 공급하고 있다. 중국은 부품 종류, 다양성 및 가격 면에서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다.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가나의 대한국 수입 규모 (HS코드 870829 기준)>

(단위: US$ 천, %)

연도

금액

증감률

2021

552.02

-15.0

2022

1,102.00

99.6

2023

804.96

-27.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5.07.]

 

<2021년 주요 수입국 현황 (HS코드 870829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액 중 비율

 

전체

5,755.64

100

1

중국

1,311.20

22.78

2

미국

582.14

10.11

3

UAE

564.07

9.80

4

대한민국

552.02

9.59

5

이탈리아

532.49

9.25

6

영국

386.87

6.72

7

독일

358.91

6.24

8

벨기에

243.97

4.24

9

캐나다

217.80

3.78

10

스페인

198.36

3.45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5.07.]

 

<2022년 주요 수입국 현황 (HS코드 870829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액 중 비율

 

전체

8,979.24

100

1

중국

1,417.17

15.8

2

대한민국

1,102.00

12.3

3

이탈리아

 978.64

10.9

4

미국

910.68

10.1

5

UAE

742.94

8.3

6

벨기에

586.07

6.5

7

독일

530.72

5.9

8

영국

495.14

5.5

9

남아공

416.53

4.6

10

캐나다

353.14

3.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5.07.]

 

<2023년 주요 수입국 현황 (HS코드 870829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액 중 비율

 

전체

6,044.13

100

1

중국

937.86

15.5

2

대한민국

804.96

13.3

3

미국

645.61

10.7

4

UAE

 438.86

7.3

5

남아공

 426.74

7.1

6

이탈리아

404.37

6.7

7

영국

387.12

6.4

8

벨기에

359.29

5.9

9

독일

309.46

5.1

10

캐나다

201.61

3.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05.07.]

 

경쟁 동향

 

차체 부품 및 액세서리 시장에서의 중고 자동차 부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은 특정 차량에 대해 거의 동일한 부품을 판매한다. 경쟁 요인은 가격이며, 중고 제품을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가격도 비슷하게 책정되는 편이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차체 부품 및 액세서리는 특정 차량의 부품이 생산되는 국가에서 수입되는 오리지널 부품과 경쟁한다. 가나에는 중국산 차량이 거의 없으나 가나에는 모든 종류의 차량에 사용되는 일반 자동차 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해 판매하는 회사가 많이 있다. 가나 대부분의 구매자는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에 품질이 낮더라도 중국에서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Japan Motors(닛산), Toyota Ghana(토요타), CFAO Motors(미츠비시, 스즈키), Auto Plaza(현대), Rana Motors(기아)는 브랜드별 차체 부품 및 액서사리를 수입 및 판매하는 공인 딜러다. 이들은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브랜드 전용 부품을 판매한다. 개인, 자동차 정비사 등도 동 딜러를 통해 부품을 구매하기도 한다.


가나 내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취급하는 업체는 Max Professionals, Dap Motors, Auto Z, Joe Dee Auto, Mawuko Autoparts 등이 있다.

 

유통 구조


자동차 부품 딜러 및 정비사 등이 부품을 유통한다. 특히 중고 자동차 부품 카테고리 중에는 정비사가 직접 매장을 방문해 해당 부품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가나 자동차부품 유통 구조>

[자료: KOTRA 아크라 무역관 분석]

 

자동차 부품 딜러의 약 80%는 도매업체와 소매업체를 겸하면서 새 부품과 중고 부품을 모두 취급한다. 20%는 도매업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주로 차체의 새 부품과 액세서리를 취급한다. 자동차 부품 사업의 특성상 소매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특히 중고 자동차 부품 시장은 소규모 상점에서 수입 및 판매하는 소규모 기업으로 주로 구성돼 있다. 이러한 기업 대부분은 가나인이 소유하고 운영한다. 가나 투자진흥센터(GIPC, Ghana Investment Promotion Centre)법은 소매업 운영 대상을 가나인만 가능하다고 제한하고 있다. 외국기업은 최소 100만 달러의 자본금 투자 시 소매업이 가능하다.


차체 부품 및 액세서리 등 자동차 부품이 광고 및 판매되는 주요 온라인 플랫폼은 지지 가나(https://jiji.com.gh/car-parts-and-accessories)다. 2024년 12월 4일 기준 지지 온라인 플랫폼의 부품 및 액세서리 카테고리에는 약 7만5068개의 품목이 등재돼 있다. 구매자가 전화 및 온라인으로 자동차 부품을 주문하고 결제하면 배송이 완료된다. 판매자로부터 배송이 완료된 후 결제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는 특히 온라인 결제 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배송은 자동차 부품의 종류와 무게에 따라 오토바이 또는 차량으로 이뤄진다.


아보세이 오카이(Abossey Okai) 부품 단지는 가나에서 신품 및 중고 자동차 부품으로 유명한 허브다. 아크라에서 가장 큰 자동차 부품 단지며, 약 5000개 이상 자동차 부품 상점에서 약 4만5000명 이상이 종사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사업의 특성상 상인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소액 금융 회사 및 보험 회사와 같은 금융기관도 같이 소재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부품 구매 후 자동차에 부품을 수리 및 설치하는 정비소도 있다. 이러한 정비소는 부품을 판매하지는 않지만 판매자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자가 이러한 정비소에 부품을 의뢰하는 경우도 있다. 자동차 부품 딜러 이익 대변을 위해 '아보세이 오카이 부품 딜러 협회'라는 조합이 있다.

 

관세율 ALC 인증


자동차부품(HS코드 870829)의 수입 관세는 10%다. 자동차 부품 수입 시 부과되는 주요 세금은 다음과 같다. 

- 부가가치세(VAT) 표준 세율 12.5%

- 국민건강보험 부과금(NHIL) 2.5%

- 가나 교육 신탁 기금(GETFund) 2.5%

- COVID-19 건강 회복 부담금(COVID-19 HRL) 1%


이외 수입 소비세, 시험 수수료, 아프리카 연합 부과금, ECOWAS 부과금, 처리 수수료, 특별 수입 부과금, 수입 부과금 등 세금 혹은 수수료가 부과된다. 자동차 부품 수입 시 적용되는 인증은 없다.

 

시사점


가나에는 한국산 중고자동차 증가로 관련 부품 수요가 꾸준하다. 중국산에 비해서는 가격 면에서 불리하나, 일본, 유럽 등 타 선진국 브랜드 부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부품 가격과 고품질은 바이어에게 장점으로 작용한다.


한국 제품의 가나 진출을 위해서 바이어는 시장 내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초기 마케팅, 홍보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대로변 대형 간판(빌보드)에 광고, 홍보물 제작 등은 바이어가 추천하는 효과적인 마케팅 사례다.


중고 자동차 부품 수입 시, 주요 바이어는 직접 한국을 방문해 공급업체나 매장을 방문하는 편이다. 가나 바이어는 한국 공급업체를 직접 방문해 자동차 부품 종류를 직접 확인한 후 선택하고, 컨테이너에 자동차 부품이 적재되는 것까지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바이어 방한을 위해서 한국의 수출희망업체는 KOTRA 아크라 무역관을 통하거나 바이어에게 직접 초청장 및 공증서류 원본을 발송하고 바이어는 이를 수령한 후, 한국으로 비자 신청 시 이를 첨부해야 한다.


자동차 부품 생산에 관심 있는 한국 기업은 가나에 조립 공장을 설립해 가나 시장 및 기타 아프리카 국가에 공급할 자동차 부품을 생산할 수도 있다. 가나 정부는 가나 현지에서 차량 및 차량 부품을 조립할 경우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가나 정부의 자동차개발계획(GADP, Ghana Automotive Development Plan)이 대표적인 정책이며, 동 정책에 부합해 현대, 기아, 닛산, 도요타 등이 조립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가나에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할 경우,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를 통해 아프리카 대륙 내 타 국가로의 수출 가능성도 있다.


자동차 부품의 경우, 한국 기업은 가나 현지 자동차 조립업체(예: 칸탄카 오토모빌)와 파트너십을 맺고 예비 차체 부품 및 액세서리를 공급할 수 있다. 칸탄카 오토모빌은 주로 차체 부품과 액세서리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자료: Ghana Revenue Authority, Global Trade Atlas,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Korea Importers Association of Ghana, KOTRA 아크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가나 자동차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