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시장동향
- 상품DB
- 파라과이
- 아순시온무역관 서주영
- 2024-07-30
- 출처 : KOTRA
-
2023년 자동차 클러치 약 760만 달러 수입, 2.5% 성장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시장, 높은 수입 의존도와 수요 증가 전망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품명
8708.93
자동차 부품 (클러치와 그 부분품)
<자동차 부품 매장 전경>
[자료: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체 조사]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시장 규모 및 동향
파라과이는 자동차 부품(클러치) 생산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 규모는 수입 규모를 통해 파악된다. 특히 파라과이에서는 중고차 시장의 활성화로 인해 클러치 수입금액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2022년 이후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데, 이는 신차 수입의 증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품 교체 주기가 길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 3년간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수입 규모 및 성장률(HS CODE 8708.93)>
(단위: US$ 천, %)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6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6,777
46.2
7,421
9.5
7,606
2.5
3,656
1.6
*주: 2024년 자료는 전년 동기 대비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2024.7.10.]
자동차 부품(클러치) 수입 동향
통계자료 사이트 펜타트랙션(PENTA-TRANSACTION) 조사 결과에 따르면, 파라과이에서 자동차 부품(클러치, HS CODE 8708.93) 수입액은 2023년 기준, 약 76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의 증가했다. 2023년 파라과이의 자동차 부품(클러치) 수입 1위 국가는 브라질로 약 383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체 수입액의 50.4%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뒤이어 2위 국가는 독일로, 약 80만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해 10.6%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중국도 약 58만 달러의 수입액으로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52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6.9%를 점유율로 4위를 기록했다.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주요 수입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2023년
점유율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6,777
46.2
7,421
9.5
7,606
2.5
100
1
브라질
3,367
44.1
3,273
-2.8
3,832
17.1
50.4
2
독일
832
104.9
779
-6.4
806
3.6
10.6
3
중국
604
68.5
887
46.9
581
-34.6
7.6
4
한국
430
43.5
599
39.4
523
-12.8
6.9
5
일본
486
42.3
749
54.1
427
-43
5.6
6
미국
233
-8.3
206
-11.6
247
19.9
3.3
7
멕시코
108
140.2
154
42.1
237
55.3
3.1
8
헝가리
13
-63.7
36
178.8
145
301.7
1.9
9
터키
148
34.3
151
1.9
139
-7.5
1.8
10
프랑스
178
144.4
100
-43.7
138
37.7
1.8
기타
378
0.9
486
28.7
529
8.8
7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2024.7.10.]
2023년을 기준으로 1위 수입업체는 AUTOMOVIL SUPPLY SA사로 나타났다. 점유율은 14.9%이며, 전년 대비 40% 증가한 약 113만 달러 규모의 자동차 부품(클러치)을 수입했다. 2위는 SANTA ELENA SA사가 차지했으며, 3위는 CONDOR SACI사가 기록했다.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주요 수입업체>
(단위: US$ 천, %)
순위
업체명
2021
2022
2023
2023년 점유율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6,777
46.2
7,421
9.5
7,606
2.5
100.0
1
AUTOMOVIL SUPPLY SA
630
49.1
807
28.2
1,130
40
14.9
2
SANTA ELENA SA
718
68.8
475
-33.8
846
78.1
11.1
3
CONDOR SACI
695
139.8
793
14.1
614
-22.5
8.1
4
TRACTO PIEZA IMP.EXP SA
165
-43.8
217
31.2
434
100.2
5.7
5
CARLAO AUTO REPUESTOS SA
291
89.3
302
4
313
3.4
4.1
6
TOYOTOSHI SA
246
30.5
296
20.4
272
-8.1
3.6
7
TODO CAMINONES & Cia
190
98.7
222
16.9
244
9.9
3.2
8
VALPARTS SA
245
32.2
219
-10.3
205
-6.6
2.7
9
PLUSCAR SA
189
248.9
468
148.2
188
-59.9
2.5
10
KUROSU Y Cia. SA
119
10.8
170
42.9
182
6.9
2.4
기타
3,291
36
3,451
4.9
3,179
-7.9
41.8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2024.7.10.]
경쟁 동향
파라과이는 자동차 부품(클러치) 생산업체가 없으므로 이러한 부품들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파라과이에서 주로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은 아래와 같다.
(단위: US$)
제조국가
기업, 제품명
제품 사진
가격
일본FSDJ, Pro- Kit Exedy
395
브라질FSDJ, Luk Rep Set
307
한국
FR Repuestos, Valeo
138
일본
FR Repuestos, Kasuga
70
*주: 1달러= 7540과라니 (2024년 6월 기준 환율)
[자료: FR Repuestos, FSDJ SA,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체 조사]
유통구조
파라과이에서 자동차 부품(클러치)의 유통 경로는 다음과 같다. 해외 제조업체로부터 부품을 수입한 수입업체는 직접 운영하는 대리점이나 다른 판매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소비자들은 주로 자동차 매장, 부품 판매점, 카센터 같은 소매점을 통해 부품을 구매한다.
업계 관계자 의견
파라과이의 수도 아순시온과 주변 수도권 지역에서 5개의 자동차 부품점을 운영하는 프란시스 루피넬리(Francis Ruffinelli) 씨는 KOTRA 아순시온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파라과이는 도시의 도로 상태가 비교적 좋지 않은 편이다. 차량을 급정지하거나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돌길이나 흙길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노면의 불규칙성과 진동 때문에 운전 시 클러치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루피넬리 씨는 "파라과이 내 한국산 자동차 부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파라과이에서 최근 10년 이상 연속으로 5위 내외의 인지도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품질 면에서 신뢰할 수 있는 한국산 부품을 찾는 고객이 늘어나면서 한국산 자동차 부품 수입 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자사는 10년간 중국에서 자동차 부품을 수입해 왔으나, 한국산 부품 수입을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세 및 관련 제도
파라과이에서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역외 공통관세에 따르면 HS CODE 8708.93 자동차 부품(클러치) 상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10%이며, 10%의 부가세가 부과된다. 또한 파라과이에서 자동차 부품을 수입할 때 필수적인 인증 요구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관세율>
(단위: %)
HS Code
품목명
관세
부가세
8708.93
자동차 부품(클러치)
0~10
10
*주: HS Code8708.93은 LNE 리스트(관세 예외 목록)에 있는 품목으로 대외공동관세(AEC)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한다.
[자료: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자료, 2024.7.12. 확인]
시사점
파라과이의 도로 상태는 자동차 클러치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웅덩이가 많은 도로, 돌길, 흙길 등은 클러치의 빈번한 사용과 마모를 가속해, 주기적인 점검과 예방적 유지보수가 필수다. 이러한 조건에서 한국산 자동차 부품(클러치)의 품질과 신뢰성은 파라과이 시장에서 큰 강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파라과이의 자동차 부품 소비자들은 브라질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가까운 거리와 물류 비용 절감으로 인한 브라질 제품의 저렴한 가격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파라과이 시장 진입의 핵심은 가격 경쟁력 확보다. 품질보다 가격이 중요시되며, 특히 중고차 소유주들은 저렴한 부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제품은 성능이 좋다는 긍정적인 이미지와 한국 브랜드 자동차의 꾸준한 수입 덕분에 부품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격 경쟁력 확보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자료: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Penta Transaction 통계 사이트, 파라과이 관세청(DNA), 파라과이 산업통상부(MIC), 자동차기계수입협회(CADAM), 파라과이 중앙은행 (BCP), 파라과이 주요일간지(ABC, LA NACION),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파라과이 자동차 부품(클러치)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파라과이 대두산업 정보
파라과이 2024-10-15
-
2
2021년 파라과이 농축산업 정보
파라과이 2021-11-23
-
3
2021년 파라과이 정보통신(ICT) 산업 정보
파라과이 2021-11-23
-
4
2021년 파라과이 자동차 산업 정보
파라과이 2021-11-11
-
5
2021년 파라과이 산업 개관
파라과이 2021-11-10
-
6
파라과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파라과이 2020-11-0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