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임플란트 시장 동향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Nessa Wong
- 2024-06-27
- 출처 : KOTRA
-
2024년을 기점으로 연평균 9.2% 성장하며 2029년 4648만 미 달러로 증가 전망
홍콩의 빠른 인구 고령화 추세, 적극적인 보건위생 정책 등이 성장을 견인
상품명 및 HS Code
임플란트의 HS 코드는 9021.29로 정형외과용 또는 골절 치료용 기기, 의치, 치과용품 이외에도 인공관절, 보청기, 심장박동기 등을 포함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기관 Statista에 따르면 홍콩의 임플란트 수술을 포함한 치과 수술용 기기의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10.9% 증가한 2748만 미 달러를 기록했다. 치과 수술용 기기 시장은 2024년부터 연평균 9.2%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9년 4648만 미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홍콩 치과 수술용 기기(임플란트 포함) 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2023년 홍콩대 치과대학(HKU Dentistry)에서 진행한 홍콩 노인 구강 건강 개선 프로젝트(Empowering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NGO) to develop a sustainable model of community-based outreach to improve the older adults’ oral health in Hong Kong)에 따르면, 90%의 노인 인구가 충치를 가지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 대부분은 잇몸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치아 건강에 좋지 않은 식습관, 손 움직임의 불편함, 다른 만성 질환 등이 지목됐다.
홍콩 통계청이 2023년 발표한 인구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 홍콩 인구*의 20%를 차지하며, 2046년에는 이 비율이 36%까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홍콩 내 구강 건강에 대한 서비스와 치료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 외국 국적의 가사 도우미 제외
<연령대별 인구 규모 및 예상 추이>
[자료: 홍콩통계청]홍콩 정부는 홍콩 시민들의 치아 건강을 위해 1980년 9월부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구강 검진 및 치과 치료를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School Dental Care Service)를 운영해 왔으며, 2020년 기준으로 전체 초등학생의 96%가 이 무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2년 말 홍콩 시민의 구강 건강에 대한 정책, 서비스 제공 계획 등을 검토하기 위해 구강 건강 및 치아 관리 실무팀(Working Group on Oral Health and Dental Care)을 설립했으며, 2023년 시정연설에서는 향후 2년 동안 13~17세 청소년에 대한 개인 치과 검진 서비스 비용 지원, 저소득층을 위한 긴급 치과 서비스 제공, 노인층을 위한 서비스 지원 등 다양한 구강 건강 정책 계획을 발표했다.
한편 홍콩 정부는 홍콩 내 치과 서비스 및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올해 초 '2024년 치과의사 등록(수정)조례 초안'(the Dentists Registration (Amendment) Bill 2024)을 통해 해외 치과 전문 인력 유치, 현지 대학 치과 졸업생과 해외 치과 의사의 임상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턴십 제도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새로운 정책을 제안했다.
홍콩 정부의 이러한 행보를 미루어 볼 때, 향후 임플란트 수술을 비롯한 모든 치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3년 홍콩의 임플란트(HS 902129) 품목 전체 수입 규모는 약 5681만 미 달러로 전년 대비 23.2% 상승했다. 주요 수입국 가운데 스웨덴이 2011만 미 달러의 수입액으로 전체 수입액의 35.4%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으며, 중국 본토(26.6%)와 독일(10.7%)이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대비 2023년에는 프랑스의 수입액 증가율이 842.1%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 본토(+504.7%)와 일본(+59%) 역시 전년 대비 큰 폭의 수입액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2023년에는 약 247만 미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해 전년도의 925만 미 달러 대비 73.3% 감소했으며, 전체 임플란트 수입국 가운데 6위를 차지했다.<최근 3년간 홍콩 임플란트 수입 동향(HS Code 9021.29기준)>
(단위: US$ 천,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시장
점유율
(2023년)
증감률
2021년
2022년
2023년
전체
68,480
46,113
56,805
100
23.2
1
스웨덴
36,434
13,290
20,110
35.4
51.3
2
중국 본토
2,148
2,497
15,099
26.6
504.7
3
독일
13,148
10,232
6,100
10.7
-40.4
4
미국
5,009
3,301
3,993
7.0
21.0
5
스위스
4,614
2,621
2,684
4.7
2.4
6
한국
1,606
9,252
2,469
4.3
-73.3
7
네덜란드
1,765
1,828
2,132
3.8
16.6
8
스페인
1,244
1,665
1,687
3.0
1.3
9
프랑스
87
116
1,095
1.9
842.1
10
일본
257
303
482
0.8
59.0
*주: 증감률은 2022년 대비 2023년 증감률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6.11.]
경쟁 동향
홍콩 임플란트 시장에는 주로 수입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한국, 스웨덴, 스위스 등의 다양한 제품이 존재한다. 특히 한국의 Osstem 제품은 다른 수입 임플란트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 홍콩 소비자들 사이에서 많이 선호되고 있다. 홍콩에서 임플란트 수술 비용은 치과 유형, 임플란트의 재질 및 브랜드에 따라 크게 다르며, 한 개당 9800홍콩 달러부터 4만 홍콩 달러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홍콩 내 유통되고 있는 임플란트 브랜드>
브랜드
국가/지역
브랜드 이미지
Straumann
스위스
Osstem
한국
Nobel Biocare
스위스
Astra Tech
스웨덴
Hiossen
미국
Thommen
스위스
Ankylos
독일
BEGO
독일
Dentium
한국
Anthogyr
프랑스
[자료: Beame, CKJ, Bowtie]
홍콩 내 임플란트 수술의 가격은 일반 시민들에게 부담스러운 편이기 때문에, 홍콩 대비 30~50%의 가격으로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한 중국 선전에서 수술을 받고 오는 시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CKJ(愛康健), Maiya(麥芽) 등 중국 치과들은 홍콩 연예인을 브랜드 앰배서더로 선정하고 광둥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홍콩 시민 대상 할인 이벤트를 제공하는 등 홍콩 소비자를 겨냥한 맞춤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홍콩 소비자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중국의 치과 브랜드>
CKJ(愛康健) 치과
Maiya(麥芽) 치과
[자료: CKJ(愛康健), Maiya(麥芽)]
유통 구조
Straumann과 같은 해외 임플란트 기업은 홍콩의 임플란트를 비롯한 치과 재료를 수입 및 공급하는 업체를 통해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또한 Osstem과 Nobel Biocare와 같은 기업들은 홍콩 및 아시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홍콩 현지에 지사, 대리 사무소 또는 전용 사이트 설립을 통해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 고객사들을 관리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 관세율: 0%
- 인증: 자발적으로 취득, 등록 가능함
홍콩에서는 의료기기에 대한 제조, 수출입, 판매 등에 관한 별도의 규정이나 의무 인증이 없다. 다만 홍콩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는 의료기기의 안정성 관리를 위해 2004년 11월부터 자발적 관리 시스템인 '의료기기 행정 및 관리 제도(醫療儀器行政管理制度, MDACS)'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임플란트는 잇몸에 삽입하는 이식물에 해당해 일반 의료기기에 속하며 등록이 필요한 중간-높은 위험도의 의료기기로 분류된다. 홍콩 진출을 희망하는 제조업자 및 수입업자들은 해당 시스템을 통해 자발적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2024년부터 홍콩 의료기기 관리국이 한국을 참조 국가로 인정함에 따라 홍콩 MDACS 내 의료기기 등록이 훨씬 용이해졌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할 수 있다. (https://me2.do/FcuwmK36)
<임플란트 관련 주요 의료기기에 따른 등급 분류>
등급
위험도
AMDNS* 번호
AMDNS 명칭
상세 설명
I
낮은 위험도
(Low risk)33427
Screwdrivers, Dental Implant
임플란트 스크류 드라이버
II
중간-낮은 위험도
(Medium-Low risk)41897
Power Systems, Electromechanical, Dental, Surgical
임플란트 드릴
III
중간-높은 위험도
(Medium-high risk)16744
Dental Implants
치과 임플란트/치아 임플란트
16203
Dental Implants, Endosteal, Plate Form
치과 플레이트/치과 보철물
23659
Dental Implants, Transosteal
경골 임플란트
*Asian Medical Device Nomenclature System의 약자로 Universal Medical Device Nomenclature System(UMDNS)와 겸용하는 시스템으로 의료기기 제품을 식별하는 시스템임
[자료: 홍콩 의료기기 관리국(MDD)]
시사점
2023년 홍콩의 임플란트(HS 902129) 수입 규모는 약 5681만 달러로, 스웨덴, 중국 본토, 독일, 미국, 스위스에 이어 한국이 전체 수입액의 4.3%를 차지하며 6대 수입국에 속한다.
홍콩에서는 인구 고령화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치과 서비스의 부족, 높은 치과 치료 비용 등의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어 품질이 좋고 가격이 합리적인 치과 서비스 및 수술 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홍콩 정부에서도 치과 전문 인력 유치, 특정 연령층 대상 치과 서비스 제공 등 치과 관련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수요를 포착해 우리나라의 임플란트 기업들 역시 홍콩 시장 진출을 시도해 볼 수 있다.
한편, 최근 중국 선전에서 치과 진료 및 수술을 받는 홍콩 시민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고려해 홍콩을 비롯해 홍콩과 인접한 중국 선전, 광저우 등 지역까지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료: Statista, 홍콩통계청, Yahoo News, School Dental Care Service 홈페이지, 구강건강 및 치과 실무팀(Working Group on Oral Health and Dental Care), 홍콩 정부, 2023년 시정연설, Global Trade Atlas, Beame, CKJ, Bowtie, CKJ(愛康健), Maiya(麥芽), Straumann, Osstem, Nobel Biocare, Astra Tech, Hiossen, Thommen, Ankylos, BEGO, Dentium, Anthogyr, 홍콩 의료기기 관리국(MDD),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임플란트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2
2023년 홍콩 산업 개관
홍콩 2023-06-05
-
3
2023년 홍콩 주얼리 산업 정보
홍콩 2023-05-24
-
4
2022년 홍콩 법률서비스 산업 정보
홍콩 2022-12-05
-
5
2022년 홍콩 전시 산업 정보
홍콩 2022-07-14
-
6
2022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2-05-2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