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4-06-24
  • 출처 : KOTRA

코로나19 사태 후 시장 점차 회복

반려동물 공기청정기가 주목 받고 있어

상품명 및 HS Code

 

공기청정기 HS CODE: 842139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소비자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은 생활 환경의 쾌적함과 건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결과 공기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고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규모는 2021년, 2022년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2023년은 3% 성장세를 기록했다. 2021~2022년은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인해 공장이 가동이 멈춤에 따라 공기질이 평년 대비 개선되고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1~2023년 중국 가정용 공기청정기 매출액>

(단위: 억 위안, %)

[자료: AVC]

 

중국 AVC컨설팅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 광군절(11.11) 기간에 공기청정기 온라인 판매액은 6억9000만 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18.5% 증가했으며 판매량은 36만2000대로 전년동기 대비 16.4% 증가했다.

 

<2023년 11.11. 쇼핑페스티벌 온라인 공기청정기 판매규모>

구분

온라인 전체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억 위안)

6.9

18.5%

매출량(만 대)

36.2

16.4%

평균 가격(위안)

1905

1.9%

[자료: AVC]


 

광둥성, 공기청정기 제조업체 최다 소재

 

중국 공기청정기 제조업체는 주로 광둥성,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 등 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광둥성의 기업 수가 가장 많다. 지역별 분포 상황을 보면, 광둥성, 저장성, 장쑤성에 대표기업이 다수 분포한 편이며 산둥성, 안후이성에도 하이얼(海尔), 창훙메이링(虹美菱) 등 대표기업이 위치하고 있다. 이외에 공기 청정기 선도 기업인 샤오미(小米)는 베이징에 위치하고 있다.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판매 증가 추세

 

최근 몇 년간 '펫코노미' 경제가 확대되고 있는데, 반려동물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또한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 12월 12일 발표된 '중국 반려동물 산업 발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국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17년의 840억 위안에서 2022년의 2566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판매 또한 이러한 추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중국 AVC 컨설팅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광군절(11월 11일) 기간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판매는 전체 공기청정기 판매의 9.5%를 차지했는데 이는 2022년 0.6% 대비 8.9%p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생산 브랜드 수 또한 2022년 23개사에서 2023년 66개사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반려동물 공기청정기 홍보 이미지>

[자료: Honeywell]

 

주재국 수입 동향

 

상위10개국(지역) 수입 동향은 다음과 같다. 2023년 말레이시아 수입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은 수입 순위 5위로 한국산 수입 비중은 약 0.2%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 (HS Code: 84213910 기준) 주요 수입국/지역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명

2021

2022

2023

증감률('23/'22)

-

총액

29,965

24,628

26,764

8.7

1

말레이시아

2,849

5,757

12,878

123.7

2

독일

4,028

3,566

3,419

-4.1

3

일본

8,330

1,543

2,175

41

4

스위스

6,784

7,185

1,935

-73.1

5

한국

2,352

1,310

547

-58.3

6

대만

341

682

419

-38.6

7

이탈리아

675

551

409

-25.7

8

미국

1,109

583

384

-34

9

폴란드

117

513

301

-41.3

10

베트남

24

5

99

1814.6

[자료: KITA]

 

대한국 수입액 추이는 다음과 같다.

 

<중국 (HS Code: 84213910 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US$ 천,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수입액

12,470

6,108

2,352

1,310

547

증감률

6.1

-51

-61.5

-44.3

-58.3

[자료: KITA]

 

경쟁동향

 

현재 중국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 브랜드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는 주로 삼성, AIRMATE, PHILIPS, Panasonic, SHARP, LG, DAIKIN 등 수입 브랜드이며, 수입 브랜드들은 브랜드 파워와 연구개발 등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그룹은 Casarte(卡帝), 샤오미(小米), 야두(都), TCL, KONKA(康佳) 등을 비롯한 중국 국산 공기 청정기 브랜드로 일부 공기 청정기 제품은 기술력은 수입브랜드와 차이가 없지만 수입브랜드 대비 가격 및 현지 마케팅 측면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 그룹은 소형 공기 청정기 기업으로 중저가 시장에서 점유율 확보를 목적으로 중저가 제품 생산 및 저가 마케팅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3년 징동 공기청정기 브랜드 매출량 TOP10>

순위

브랜드

제품명

제품 이미지

가격(위안)

1

샤오미(小米)

음이온 공기청정기4Pro

1,099

2

352

플래그십 공기 청정기

5,499

3

Dyson

포름알데히드 분해 공기청정기

7,190

4

IAM

포름알데히드 분해 공기청정기

5,199

5

화웨이(华为)

넓은 공간 소독 공기청정기

2,199

6

Honeywell

고양이털 공기청정기

2,599

7

Blueair

포름알데히드 분해/살균 공기청정기

2,199

8

SOLEUSAIR

포름알데히드 분해/살균 반려동물 털 공기청정기

6,899

9

Midea

Air3 침실 거실 포름알데히드 제거 음이온 공기 청정기

1,399

10

Philips

공기청정기 가습기 일체형

1,999

[자료: 징동(京)]

 

유통구조

 

가정용 공기청정기의 주요 유통채널은 백화점, 가전제품 종합매장, 브랜드 전문매장 및 온라인 플랫폼이 있다.

 

관세율 

 

HS CODE: 84213910

 

<MFN 적용세율>

관세(MFN)

7%

증치세

13%

[자료: 중국해관]

 

<한중FTA 적용세율>

관세(한중FTA)

9.7%

증치세

13%

[자료: 중국해관]

 

인증 

 

가정용 공정청정기 제품은 중국시장에 진출할 시 중국 강제인증(CCC인증)제도 관련 제품 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CCC인증이 불요하다.

 

시사점

 

1) 반려동물 공기청정기 시장 잠재력이 커

 

반려동물을 키우는 소비자는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는 소비를 하는 경향이 있기에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 또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시장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시장이 확대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시장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또한 세분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시장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2) 제품 스마트화 수준 향상

 

향후 공기청정기는 스마트 기능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가능성이 크다.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스마트 기능을 사용 제품 원격 제어, 데이터 분석,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AVC, KITA, 공옌왕(共研网), 징동(京), 중국해관,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