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4-06-10
- 출처 : KOTRA
-
2023년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 규모 약 1428억 위안
두유,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에서 1위 차지
코코넛 워터 인기 급증
상품명 및 HS Code
식물성 단백질 음료, HS CODE: 220299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 소비자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개인화된 고품질 소비를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식물성 단백질 음료의 건강하고 친환경적인 특징은 최근 소비자 트렌드와 맞물려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중상(中商)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산업의 시장 규모는 약 135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다. 2023년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 규모는 약 1428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2017~2023년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현재 중국의 유당불내증* 환자는 22.4%, 유당불내증 의심 환자는 25%, 유당불내증이 아닌 사람은 52.6%를 차지한다. 유당불내증 인구가 많은 중국의 식물성 단백질 음료 소비 시장 잠재력은 크다 할 수 있다. 식물성 단백질 음료의 경우 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영양분을 보유하고 있어 유당불내증 환자들에게 우유를 대신해 단백질을 공급해 줄 수 있다.
*유당불내증: 락타아제 분비가 적어 모유나 우유 속 유당을 완전히 소화하지 못해 생기는 비감염성 설사로, 락타아제 결핍증이라고도 함.
<중국 유당불내증 인구 비중>
(단위: %)
[자료: 지옌(智妍)컨설팅]
두유 음료,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의 22% 차지
음료 종류별 시장을 살펴보면, 두유 음료는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에서 22%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위는 코코넛 주스 음료(14.2%), 3위는 호두 우유음료(9.5%), 4위는 아몬드 우유음료(3.1%)가 차지했다.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종류별 시장 비중>
순서
음료 종류
시장 비중
1
두유 음료
22.0%
2
코코넛 주스 음료
14.2%
3
호도 우유음료
9.5%
4
아몬드 우유음료
3.1%
5
기타
51.1%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코코넛 워터 시장 급부상
중국 코코넛 워터 시장 규모는 2018년 5억1300만 위안에서 2022년 7억8000만 위안으로 꾸준히 확대됐으며 2025년에는 1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티몰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6~8월 코코넛 워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5% 급증했다. 대형마트 중 하나인 따룬파(大润发) 자체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코코넛 워터 시리즈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배 증가했다.
지난 2년간 코코넛 제품 시장은 지속해서 확장돼 커피와 차 브랜드에서도 코코넛 주스, 코코넛 워터 등 코코넛 제품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다. 2023년 3월 하이난 춘광(春光)식품은 코코넛 워터 신제품을 출시했다. 새로 출시된 코코넛 워터의 판매량은 점차 증가했으며 2023년 8월 월간 판매량은 약 150만 병을 기록했다.
코코넛은 건강하고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속성을 가지고 있어 코코넛 음료는 현장제작(现制) 음료점 유통채널을 통해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코코넛 음료 시장 규모는 계속 확장될 전망이다.
<춘광(春光) 코코넛 워터>
[자료: 신하이난(新海南)]
주재국 수입동향
HS CODE 22029 9기준 상위 10개국/지역 수입 동향은 다음과 같다. 최근 3년간 대 한국 수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수입 비중은 약 24.3% 수준이다.
<중국 (HS Code: 220299기준) 주요 수입국/지역 현황>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지역명
2021년
2022년
2023년
증감률('23/'22)
-
총액
696
633
752
18.9
1
한국
162
136
183
34.2
2
독일
40
64
138
114.8
3
일본
60
72
83
14.9
4
미국
89
62
72
15.5
5
태국
43
43
55
1.3
6
대만
85
52
41
-22.1
7
호주
25
25
27
5.5
8
스페인
18
18
24
34
9
싱가포르
8
28
23
-18.5
10
홍콩
23
15
19
21.1
[자료: KITA]
대 한국 수입액 추이는 다음과 같다.
<중국 (HS Code: 220299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US$ 백만,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입액
100
110
162
136
183
증감률(%)
47.3
10.3
47.5
-15.8
34.2
[자료: KITA]
경쟁동향
시장 규모가 지속해서 확대되며 많은 음료 기업이 식물성 단백질 음료 산업에 진입하고 있다. 초기에 진입한 양위안위안 음료(养元饮品), 청더루루(承德露露), 예수그룹(椰树集团) 등 기업 외에도 OATLY, oatoat 등 신규브랜드도 시장에 진입했다. 한국의 매일, 삼육브랜드도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산업의 주요기업>
제품 종류
대표회사
대표제품 이미지
가격
아몬드 우유 음료
청더루루
(承德露露)
75.9위안/박스
(20개)
호두 우유 음료
양위안 음료
(养元饮品)
75.9위안/박스
(24개)
코코넛 주스 음료
예수그룹
(椰树集团)
59위안/박스
(10개)
두유
Vitasoy
43.9위안/박스
(16개)
땅콩 우유 음료
인루식품
(银鹭食品)
54.9위안/박스
(15개)
[자료: 징둥]
<중국 시장에 유통되는 대표 한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제품 종류
대표회사
대표제품 이미지
가격
아몬드 식물성
단백질 음료
매일
36위안
/190ml*6개
두유
매일
28.9위안
/190ml*6개
귀리액 음료
매일
135위안
/190ml*24개
검은콩호두
아몬드 음료
삼육
76.5위안
/195ml*20개
두유
삼육
76.5위안
/195ml*20개
[자료: 징둥]
유통구조
식물성 담백질 음료의 제품 판매 채널은 다양해지고 있다. 기존 슈퍼마켓, 마트 등 기존 오프라인 채널 외에도 전자 상거래, 라이브커머스 등 새로운 유통 채널도 시장 점유율이 급증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전체 유통 채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로 1위다.
<중국 식물성 담백질 음료 판매 채널별 비중>
(단위: %)
[자료: 관옌보고(观研报告)]
관세율
HS CODE: 220299 기준 관세율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MFN 적용세율>
(단위: %)
관세(MFN)
5
증치세
13
[자료: 중국해관]
<한중FTA 적용세율>
(단위: %)
관세(한중FTA)
17.5
증치세
13
[자료: 중국해관]
인증
1. 중국어 라벨
중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포장 식품은 중국어 라벨을 부착해야 한다. 중국어 라벨에는 원산지, 중국 내 수입상과 유통상 상호, 주소, 연락처 등을 기재해야 한다. 또한 검역·통관 대행사를 통해 라벨 등록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2. 수출기업 및 수입기업 등록
대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수출 시 중국 검역·통관 대행사를 통해 중국해관에 수출기업 및 수입기업 사전등록을 해야 한다.
3. 검역증명서(위생증서)
중국은 수입 제품에 대해 검역을 한다. 식물성 단백질 음료 제품은 중국해관에서 발급하는 검역증명서를 받아야 시장에서 판매 가능하다.
시사점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산업의 발전 잠재력이 커
2017년 중국국무원이 발표한 국가영양계획(2017~2030)'에서 '식물성 단백질'을 주요 기초 영양소로 명시했다. 국가정책이 식물성 단백질 음료 산업의 발전을 지원함에 따라 산업 성숙도가 지속해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산업의 발전 잠재력 또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 맛과 영양 중시
중국의 소비 수준이 향상되며 삶의 질을 더욱 추구하고 건강, 영양 및 고품질 식품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더욱 많은 소비자가 음료 선택 시 맛뿐만 아니라 영양과 건강 효과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취안퉈데이터(全拓数据) 조사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이 음료를 구매할 때 맛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소비자가 57%로 가장 많았고, 건강(영양)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52%로 뒤를 이었다.
참신한 포장 다자인 필요
산둥성 식품 취급회사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참신한 포장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로 특히 신규 기업들은 포장 디자인에 신경 쓰는 것이 좋다. 기존 청더루루(承德露露), 6개호두(六个核桃), 예수(椰树) 등 중국 전통 브랜드는 포장이 비교적 단순하고 색상과 브랜드명에 참신함이 부족해 사람들에게 저가 제품 이미지를 주었다. 이는 소비자에게 명절 선물이나 모임에 적합하지 않다는 인식을 줘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에 진입하려는 기업들은 제품 포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소비자의 관심,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징둥, 신하이난(新海南), 관옌보고왕(观研报告网),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2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3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4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5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6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