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인스턴트 커피 시장 동향
  • 상품DB
  • 인도
  • 콜카타무역관 박병국
  • 2024-04-30
  • 출처 : KOTRA

연간 13% 성장중, 가정용 소비 중심

상품명: 인스턴트 커피(HS 210111)


시장 동향


인도는 기존에 차를 주로 마시던 문화였으나 최근 카페 문화(café cultures)의 등장,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젊은층을 중심으로 커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인스턴트 커피의 소비도 크게 증가하였다. 2020년 인도 인스턴트 커피 산업의 가치는 3억 8821만 달러로 평가되었고, Business Wire에 따르면, 2027년까지 연평균 12.8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인도에서는 B2B 또는 HoReCa(호텔, 레스토랑, 카페의 약자)에서 소비되는 인스턴트 커피가 전체의 15% 수준이었고, 나머지 대부분이 가정에서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스턴트 커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원두 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낮아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장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빠르고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다는 점과 경제성은 매출 증가의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블렌딩 커피와 달리 싱글 오리진 커피는 더 나은 품질과 독특한 풍미를 제공한다. 커피 회사들은 고품질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싱글 오리진 제품, 스페셜티 커피, 프리미엄 커피 등 다양한 제품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응하고 있다.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강하고 진한 맛부터 부드럽고 크리미한 맛까지 클래식, 플레이버, 디카페인, 스페셜티 블렌드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젊은 층을 사로잡기 위해 트렌디한 제품부터 노년층을 목표로한 전통적인 블렌드 제품 등도 출시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에 속하는 직장인과 학생들도 시장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현재 인도 남부는 인구통계학적으로 인스턴트 커피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데, 문화적으로도 다른 지역에 비해 소비가 많기 때문이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인도는 2023년에 1000만 달러 상당의 인스턴트 커피를 수입하여 2022년 대비 115.3%의 증가율을 보였다. 최대 수입국은 한국으로 전체 수입의 41.5%를 차지했고, 브라질, 콜롬비아, 베트남, 독일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 베트남, 영국, 폴란드, 말레이지아 등에서는 수입이 증가하였고 아랍에미리트,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등에서는 수입이 감소하였다. 


<인도의 인스턴트 커피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수입국

2021년

2022년

2023년

증감

(2023/2022)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합계

8,883.2

100.0

4,973.7

100.0

10,707.8

100.0

115.3

1

한국

2,448.6

27.6

3,777.1

75.9

4,448.8

41.5

17.8

2

브라질

-

 

-

-

3,387.6

31.6

-

3

콜롬비아

-

 

-

-

647.4

6.0

-

4

베트남

2,556.7

28.8

214.5

4.3

624.8

5.8

191.2

5

독일

85.7

1.0

-

-

592.9

5.5

-

6

에쿠아도르

-

 

-

-

450.0

4.2

-

7

영국

339.8

3.8

129.0

2.6

150.9

1.4

17.0

8

폴란드

6.7

0.1

66.9

1.3

146.6

1.4

119.2

9

아랍에미리트

219.6

2.5

110.3

2.2

108.3

1.0

-1.8

10

말레이지아

48.9

0.6

17.6

0.4

58.7

0.5

233.5

11

네덜란드

-

 

47.6

1.0

41.9

0.4

-11.9

12

리투아니아

23.8

0.3

-

-

36.7

0.3

-

13

인도네시아

1,701.6

19.2

423.9

8.5

6.5

0.1

-98.5

14

미국

10.2

0.1

16.6

0.3

5.2

0.0

-68.4

15

호주

28.4

0.3

1.3

0.0

0.9

0.0

-31.4

HS CODE: 21011110, 21011120 기준 

[자료: G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인도의 인스턴트 커피 시장은 분무 건조(spray-dried)와 동결 건조(freeze-dried) 커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분무 건조 커피가 더 경제적이고 시간적으로도 효율적이다. 반면, 동결 건조 커피는 프리미엄 커피 생산에 더 적합하다. 인스턴트 커피의 종류는 과립형, 농축액, 파우치, 유리병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는데 현재는 일회용 봉지가 인스턴트 커피의 주요 형태이다.


인도의 인스턴트 커피 시장의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네슬레 인디아 리미티드(네스카페), 힌두스탄 유니레버 리미티드(BRU 커피), CCL 제품(인도), 타타 컨슈머 프로덕츠, 블루 토카이, 다비도프 커피 등이 있다.


<인도 시장에 유통중인 주요 인스턴트 커피제품>

네슬레 커피

BRU 커피

CCL 커피

타타 커피

[자료: www.nestle.inwww.hul.co.inshop.continental.coffee, www.tatacoffee.com]


세계 최대 소비재(FMCG) 기업인 네슬레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인도에 최대 7억8000만 달러(6,000~6,500루피)를 투자하여 제조 시설과 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다. 힌두스탄 유니레버(HUL)는 바닐라, 캐러멜, 헤이즐넛 향 등의 새로운 커피 라인으로 BRU 커피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면서 제품 다양화 및 프리미엄화를 추진하고 있다.


독특하고 다양한 커피를 제공하는 몇몇 스타트업 기업들의 제품도 인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슬리피 아울, 레이지, 베질라, 컨츄리 빈 등의 회사는 모카, 민트, 바닐라, 헤이즐넛 등의 맛을 프리믹스 패키지로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스타트업 기업들의 주요 제품시장>

슬리피 아울 커피

레이지 커피

베질라 커피

컨츄리 빈 커피

[자료: www.sleepyowl.co, www.ragecoffee.comwww.bevzilla.cocountrybean.in]


인도 시장에 진출한 한국 인스턴트 커피는 맥스프레소, 로즈버드, 맥심, 에드야, 카누 등이 있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인도의 주요 유통망과 협업을 통해 Amazon India, India Mart, UBuy India, Blink it 등에 입점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인도 시장에 유통중인 주요 한국 제품>

맥심 커피

맥스프레소 커피

카누 커피

에드야 커피

[자료:  www.ksfoods.co.inwww.amazon.in, www.indiamart.comwww.ubuy.co.in]


유통 구조


인도 인스턴트 커피 시장은 B2B, 슈퍼마켓 및 대형마트, 독립 소매업체, 백화점 및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세분화된다. 현재 슈퍼마켓과 대형마트가 시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 따라서, 수입 제품의 경우, 벤더(수입상)를 통해 수입후에 대형 유통망이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유통이 일반적이다. 스(Starbucks)   데이(Café Coffee Day)    용 효율성 문제로 인스턴트 커피 유통은 제한적이다. 


관세율 및 인증


인스턴트 커피는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스턴트 커피에 부과되는 관세는 15%이다. 아시아 태평양 무역 협정(APTA)에서도 인스턴트 커피에 대한 특혜 관세는 제공하지 않는다. 인스턴트 커피 수입을 위해서는 인도 식품표준안전청(FSSAI)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FSSAI 04A.001:2021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인도 표준국(BIS)에서 제시한 수용성 커피 분말에 대한 IS 2791을 준수해야 한다.

 

시사점


인도에서 인스턴트 커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은 한국의 탄탄한 커피 문화와 독특한 품질에 매료되어 한국 커피에 관심이 높은 편이다. 현지 바이어인 B사에 따르면 한국 인스턴트 커프에 대한 문의가 많이 늘어나고 있어 다양한 브랜드의 수입을 검토중이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향후 몇년간은 수요 증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자료: www.expertmarketresearch.com, www.custommarketinsights.com, www.mordorintelligence.com, www.businesswire.com, www.thekoreanguide.com, 

www.indiamart.com, 무역관 조사 및 각종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인스턴트 커피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