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헤이룽장성 CNC 공작기계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하얼빈무역관
- 2024-04-23
- 출처 : KOTRA
-
상품명 및 HS Code
<금속절삭가공기계 HS Code>
품목
HS Code
이미지 예시
CNC선반
(수치제어식)845811
[자료: 알리바바 홈페이지]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선반이란 컴퓨터로 작성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수치제어장치를 통해 제어신호 공작기계의 동작을 제어하고 도면이 요구하는 모양과 크기
에 따라 자동으로 부품을 가공하는 기계로, 제조업에서는 빠질 수 없는 핵심 설비다. 범용선반과 다른 점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각종 부품을 가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CNC 선반은 자동으로 기계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컨트롤러와 기계 장치의 기계 본체로 구성돼 있다. 전자 장치인 컨트롤러는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CNC 시스템 프로그램, PLC 프로그램, 서보 모터 등으로 구성돼 있다. 기계 본체는 범용선반의 구조와 유사하다. 주축대(head stock), 척(chuck), 회전 공구대(turret), 심압대(tail stock), 베드(bed), 왕복대, 이송 장치, 유압 장치 등으로 구성돼 있다.
다양한 절삭공구를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재료를 정밀하게 제작 할 수 있는 또 다른 기계로는 CNC 밀링이 있다. CNC 밀링은 컴퓨터 제어 및 회전 절삭 공구를 사용해 맞춤형으로 설계된 부품 또는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 공정이다. 다양한 정밀 부품을 제조할 수 있고 복잡한 형상의 부품도 생산이 가능한 다목적 기계로 항공, 자동차, 의료 장비 분야에서 사용하며, 금속, 플라스틱, 유리, 목재 등의 소재를 가공할 수 있다. CNC 또는 컴퓨터 수치 제어 기계는 3D CAD 모델로 프로그래밍 돼 기계 공장에서 동일한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CNC 선반 및 CNC 밀링의 차이점>
CNC 선반
CNC 밀링
- CNC에 선반을 조합한 것. 수동선반에 컨트롤러를 장착한 공작기계로 입력한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원형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기계
- '소재'를 회전시켜 공구로 가공하는 방식
-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의료기기 가공
- CNC에 밀링을 조합하는 것. 재료 및 공구를 1회 부착하면 모든 가공이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되는 기계
- 툴 교환 시 작업자가 직접 교체해야 함. 툴 교환이 필요 없는 볼드엔밀링을 주로 사용
-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금형부품 가공
[자료: 셀텍]
CNC 선반 시장현황
중국 CNC 선반 산업은 국가 정책의 지원과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으로 급속한 발전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운영 상황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중국상공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중국 CNC 선반 시장 수요 예측 및 발전 동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 규모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잠시 부진했으나 2021년부터는 회복세를 보였다. 2023년 중국 CNC 선반 시장 규모는 약 4090억 위안에 달했으며 최근 5년 연평균 성장률은 5.75%에 달했다. 관련 전문가들은 2024년의 산업 시장 규모가 4325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2019~2024년 중국 CNC 선반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중국상공산업연구원]
CNC 선반은 다양한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자동차의 엔진 블록, 실린더 헤드, 크랭크축, 피스톤, 항공 우주 분야에서는 항공기의 날개, 동체, 엔진을 가공하는 데 사용되며 조선의 선박 선체, 엔진과 기계의 기어, 베어링, 축을 생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밖에 흔히 볼 수 있는 가전의 전자 부품, 가전제품 본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절삭 가공을 사용해 제품을 생산한다.
CNC 선반을 통한 작업 시에는 다양한 공구를 사용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공구의 종류는 공작물의 재질, 가공 형상, 치수 등에 따라 선택한다. CNC 선반은 범용선반에 비해 정밀도, 작업 효율, 제품 기능 및 사후관리 등 방면에서 효율적이며 현대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가공 기술이다. 그러나 국산화율의 관점에서 중국 CNC 선반 기업은 주로 저가형 제품을 판매하고 있어 첨단 프리미엄 제품의 보급률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현재 중국 중저가 CNC 선반의 국산화율은 각각 65%, 82%며, 프리미엄 CNC 선반의 국산화율은 6%에 불과하다.
<공작가공기계 분야의 산업구조>
후방산업
공작가공기계 산업
전방산업
- 부품소재
- 철강
- 공구업종
- 첨단소재 가공시스템
- 초정밀 가공시스템
- 3D 적층제조 및 하이브리드 가공시스템
- 고속/복합 및 대형 가공시스템
- 자동차
- 전기·전자
- 조선
- 금형
[자료: 중국 공작가공기계 연구원]
중국 정부는 ‘중국 제조업 2025’ 정책에서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할 것을 제시했다.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의 핵심 공정에 사용되는 컴퓨터 수치제어(CNC) 비중을 2013년 27%에서 2020년 50%, 2025년 64%로 확대할 계획이라 발표했다. 또 ’10대 핵심 산업 분야별 주요 발전계획’에서는 고정밀 수치제어 로봇, 고정밀 수치제어 공작기계, 서보모터, 베어링, 래스터 등 주요 부품 및 핵심 응용소프트웨어 개발과 로봇 본체, 감속기, 서보모터, 제어기, 센서 등의 핵심부품 연구 강화 및 각 산업에의 활용 확대를 통해 제조업 품질을 향상하고 브랜드를 창출할 것을 강조했다.
이러한 국가정책에 따라 헤이룽장성 역시 에너지, 항공, 우주, 선박 및 해양공학, 교통, 자동차 등 주요 국민경제 분야 발전의 필요성에 직면했다. 이에 치치하얼시(齐齐哈尔)는 고속, 정밀, 스마트, 컴파운드(복합), 다축연동 및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갖춘 고급 중형 수치제어 공작기계를 중점적으로 발전시켜 자주적인 지식재산권과 국제 경쟁력을 갖춘 프리미엄 제품을 개발했다.
헤이룽장성 경쟁동향 및 주요 기업현황
1. 치치하얼시 치중수치제어장비 주식회사(齐重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산업 업그레이드, 산업·공급사슬 강화, 현대 산업 시스템 개선 등 중국 동북 지역의 장비제조업 선두 기업들은 첨단 시스템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치치하얼시 치중수치제어장비 주식회사(이하 치중)는 중국 최초의 C512 수직선반을 개발한 이래 수치제어 대형 수직선반과 수평선반을 비롯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해 국내외 격차를 해소해 왔다. 현재 치중은 수치제어중형수평선반, 롤선반, 수치제어롤링기, 딥드릴링보링머신 등을 비롯한 10 종류 600개 이상의 절삭공작기계 제품을 연구·개발했다. 치중은 현재 각종 공작기계 제품을 총 5만 세트 이상 생산하고 있다.
2. 중국일중그룹(中国一重集团)
중국일중그룹은 5G 산업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소재 및 석유화학 용기, 친환경 분야 관련 장비 등 다양한 수치제어 선반기계 네트워킹을 구축해 데이터 수집, 에너지 소모 모니터링, 작업장
투명화 관리 기능 등을 구현했다. 중장비사업부 제조공장에는 65년 연혁인 국영기업답게 각종 대형 갠트리 밀링 보링 머신이 압연기 프레임과 대형 부품을 가공하고 있으며, 조립 현장
에는 압연기 프레임, 조립 및 시운행 중인 각종 압연기가 질서정연하게 배치돼 있다.
3. 중국선박중공그룹703연구소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O三研究所)
중국선박공업그룹의 계열사로, 중국의 대형·중형 선박의 증기, 내연기관 동력 장치 개발에 종사하는 군사 과학 연구 기관이다. 대형 및 중형 선박의 주요 전력 장비 공급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생산, 시스템 통합, 테스트 및 검증, 장비 공급을 통합하는 종합 연구소다. 해외 수치제어 시스템이 배치된 가공공작기계를 HNC-848 프리미엄 수치제어 시스템으로 일괄 개조했고, 이를 통해 보링밀링머신, 갠트리보링밀링머신, 수평가공선반 등 수십 대의 대형, 중형, 정밀 수치제어공작기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밖에도 스마트 수치 제어 시스템을 통해 가공 과정 모니터링 및 평가, 실시간 효능 및 에너지 소비 평가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헤이룽장성 수치제어 공작기계 주요 업체 및 제품>
기업명
개요
주요제품
제품 예시
치중수치제어장비 주식회사
수치제어중형수평선반, 롤선반, 수치제어롤링기, 딥드릴링보링머신 등을 비롯한 10 종류 600개 이상의 절삭공작기계 제품의 연구·개발
C512
수직선반
중국일중그룹
압연기모터 디지털화 작업장은 5G 전용망과 산업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30여 대의 수치제어 선반기계 네트워킹, 데이터 수집, 에너지 소모 모니터링 가능
압연기
공작기계
중국선박중공그룹703연구소
대형·중형 선박의 증기·내연기관 동력 장치 개발
HNC-848
프리미엄
수치제어
시스템
[자료: 펑파이 홈페이지, KOTRA 하얼빈 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최근 중국 국내 중·고급 수치제어 공작 기계 시장에서 특정 핵심 기술을 갖춘 민영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중국 기업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 프리미엄 공작 기계의 응용 범위에는 에너지, 우주 항공, 방산업, 선박 및 기타 국가 안보와 관련된 핵심 기간 산업이 포함된다. 또한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 장비 등 다운스트림 산업의 업그레이드로 인해 프리미엄 공작 기계에 대한 수요가 급증 하고 있다. 공작가공기계는 핵심 기간제 산업으로 전후방 연관 산업과의 연관성이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전방산업에는 자동차, 전기·전자 및 통신기기, 조선, 금형 업종 등이 해당하고 후방산업에는 부품소재, 철강, 공구업종 등이 해당한다.
<CNC선반 분야의 산업 사슬>
[자료: 전망산업연구원, KOTRA 하얼빈 무역관 정리]
공작기계 시장의 유통구조는 크게 다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대리상 판매 방식
공작기계 및 장비의 대리상 판매 방식은 많은 유통업체 가맹으로 시장을 확장하기에 쉽고, 다양한 지역 및 산업의 바이어 니즈를 충족하며 기업의 판매 압력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여러 판매 루트를 통한 포괄적인 홍보, 기술 지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판매 루트로 인한 이익 분할, 기업 간의 경쟁 및 부적절한 협력은 기업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제조업체 직거래 방식
제조업체 직접 판매 방식은 마케팅 효율성과 사후 관리 서비스를 향상할 수 있다. 동시에 채널 품질 관리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제품과 애프터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판매 방식은 마케팅, 판매 및 애프터 서비스 등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해야 하므로 강력한 팀워크가 필요하다.수출입 동향
헤이룽장성의 CNC 선반 수출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수출량이 5배로 증가했다. 반면 수입은 2020년 이후 발생하지 않았다. 중저가형 공작기계가 국산화 트렌드에 힘입어 수입에 의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22~2023년 헤이룽장성 CNC 선반 수출입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2년
2023년
수출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총계
303
168.4
4,338
0.0
1,636
440.1
0
-100.0
1
러시아
292
194.1
0
0.0
1,094
274.4
0
0.0
2
폴란드
0
0.0
0
0.0
423
0.0
0
0.0
3
파키스탄
0
0.0
0
0.0
119
0.0
0
0.0
4
영국
11
0.0
0
0.0
0
-100.0
0
0.0
5
독일
0
0.0
4,338
0.0
0
0.0
0
-100.0
6
멕시코
0
-100.0
0
0.0
0
0.0
0
0.0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2년 중국 공작기계 생산 및 점유율은 전 세계 32%를 차지했으며, 중국세관통계에 따르면 2022년 공작 기계 수입량은 4059대로 수입액은 4억9000만 달러, 수출량은 1만7051대로 수출액은 5억2700만 달러를 달성했다. 2022년 중국 공작기계 수출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3.24%에 달해 2021년 대비 2.6% 증가했지만, 일본과 독일에 비해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해외 선두 공작기계 기업에 비해 중국 공작기계 기업의 규모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기 때문에, 선진국에 비해 중국은 상대적으로 가능성이 높은 수출대상국이라 볼 수 있다. 중국 전체 수출입 현황을 보자면 러시아가 CNC 선반의 안정적인 수출국으로, 연간 수출액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독일은 최대 CNC 선반 수입국으로 2022년 수입액의 전체를 차지한다.
<2020~2024년 2월 CNC 선반 수출 현황(Hs Code 845811 기준)>
(단위: US$ 1000, %)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월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수출액
증감률
105
39.0
113
7.2
303
168.4
1,636
440.1
0
-100.0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0~2024년 2월 CNC 선반 수입 현황(Hs Code 845811 기준)>
(단위: US$ 1000, %)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월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808
-83.6
0
-100.0
4,388
0.0
0
-100.0
0
0.0
[자료: 한국무역협회]
관세율 및 수입규제
CNC 선반은 한중FTA 및 APTA 협정 품목이 아니며 특정 원산지 규칙에 따르면 부가가치기준(RVC)은 40이다.
<CNC 선반 관세율>
Hs Code
일반관세
MFN
한중FTA
APTA
845811
20%
9%
불포함
불포함
[자료: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 홈페이지]
전망 및 시사점
향후 공작기계 시장은 자동차 외의 산업군인 항공, 의료, 조선 등에서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높은 사양의 제품 혹은 가격경쟁력이 있는 보급형 제품으로 양분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제어 등의 기능을 추가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 예상한다.
공작기계의 경우 업체 간 품질수준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판매망 확보가 주요 경쟁 전략이다. 공작기계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후발 경쟁업체들과의 점유율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우리 기업도 중국 관련 산업 시장을 이해하고 경쟁력이 있는 제품의 수출을 확대하는 동시에 프리미엄 자동화 솔루션을 더해 효율적인 운영 환경까지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중국 시장 진출 전 현지 시장 동향, 진출 기회, 업계 경쟁력, 물류, 판매루트, A/S 서비스 제공 등 다방면의 준비가 필요하다.
자료: 알리바바 홈페이지, 셀텍, 중국상공산업연구원, 중국 공작가공기계 연구원, 전망산업연구원, 펑파이 홈페이지, 한국무역협회,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 홈페이지, KOTRA 하얼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헤이룽장성 CNC 공작기계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2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3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4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5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6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