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미국 상호관세에 대응하려 희토류 7종 수출통제 발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중국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4-10
  • 출처 : KOTRA


   o 4.4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및 대중국 추가관세 34% 부과 조치(4.2.)에 대응하여 희토류 7종에 대한 이중용도* 수출통제를 발표 

    * 군사 및 민간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소프트웨어, 기술을 의미 

 -  이는 수출금지가 아닌 수출허가 절차가 추가된 것으로, 중국 상무부의 수출허가(최대 45일) 후 국내수입이 가능


희토류 수출통제 더 알아보기




중국 희토류 관련 정책 동향 및 기업 현황

희토류 생산·수출 정책 연혁(’16~)






구분

시기

정책

내용

생산

2016

희토류 생산기업 통폐합

구조조정으로 6대 국유기업으로 통폐합* 

2024

희토류 관리조례 발표

'21년 초안 후 최종안(’24.6.29.) 발표(시행시기 ’24.10.1.부)

2025

희토류 관리방법 초안 발표 및 의견수렴 

* 희토류 관리조례 이행을 위한 세부실행지침

희토류 채굴 및 제련·분리에 대한 총량 조절·통제 관리방법과 희토류 제품 정보 추적 관리방법

수출

2020

수출통제법 시행

수출통제 법적 근거 마련

2023

수출금지 및 수출제한 기술 목록 발표

토류 정제·가공 기술 4가지에 대한 수출금지

2024

 ‘수출허가관리화물목록’ ‘수출금지·제한 기술목록’으로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

희토류는 수출 허가 대상이며 세륨은 이중용도 수출 허가 대상


    중국 희토류 산업은 ’16년에 6대 국유기업으로 통폐합된 이후 추가 인수합병으로 중국희토그룹과 북방희토그룹 양강 구조로 재편 · 중국 정부는 희토류 기업의 생산 집중도를 지속적으로 확대 중이며, ’24년 희토류 채굴·제련 쿼터 또한 2개 기업에만 할당함




수출통제 대상 重희토류 특징 및 주요 용도




원소명

특징 및 설명

주요 용도

주요 사용 산업

사마륨

(Samarium)

은백색의 금속으로, 

높은 자성 및 중성자 흡수능력 있음

사마륨-코발트(SmCo) 영구자석, 

핵반응 제어봉, 적외선 흡수 유리 등

전자, 방위산업, 원자력

가돌리늄

(Gadolinium)

은백색의 연성 금속으로, 

우수한 중성자 흡수능력과 자기적 특성 있음

MRI 조영제, 원자로 제어봉, 

자기 냉각 시스템, 형광체

의료, 에너지, 전자

테르븀

(Terbium)

연한 은색의 연성 금속으로, 

녹색 형광체로서 우수한 발광 특성 있음

녹색 형광체, 고성능 자석, 

연료전지의 안정화제, 디스플레이

전자(디스플레이), 전기차, 에너지

디스프로슘

(Dysprosium)

은회색의 연성 금속으로, 

높은 자성과 내열성을 지님

고온용 영구자석, 원자로 제어봉, 

레이저 소재, NdFeB 자석 안정화 소재

전자, 전기차, 에너지(풍력 등)

루테튬

(Lutetium)

은백색의 단단한 금속으로, 

촉매로서 우수한 성능을 보

석유 정제 촉매, PET 스캐너, 고급 합금

에너지, 의료, 정밀계측

스칸듐

(Scandium)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으로, 

알루미늄과의 합금 시 강도 증가

항공기 구조용 합금, 연료전지 전해질

항공우주, 에너지

이트륨

(Yttrium)

은회색의 금속으로, 

다양한 합금 및 세라믹 재료에 사용

세라믹, 형광체, 금속 합금, 레이저

 전자, 의료 등



중국 등 주요국 희토류 매장량 및 상산량 현황



희토류 매장량(’24년 기준)


희토류 생산량(24년 기준)

중국

브라질

인도

기타

합계

중국

미국

미얀마

기타

합계

44,000천 

(48.9%)

21,000천 톤(23.3%)

6,900천 톤

(7.7%)

18,100천 톤(20.1%)

90,000천 톤

(100%)

270천 톤

(69.2%)

45천 톤

(11.5%)

31천 톤

(7.9%)

44천 톤

(11.4%) 

390천 톤

(100%)





핵심 키워


희토류

수출통제




출처: 산업부(4.7.), 중국 상무부(4.4.),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4.5.),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5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