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소재·부품·장비 품목 심층분석 – 서보모터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조기철
  • 기업명 :
  • 2025-01-09
  • 출처 : KOTRA

  o 서보모터 품목 개요

- 보모터는 주어진 신호에 따라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터로 제조용 로봇 및 각종 장비의 구동에 사용됨

- 마그넷, 샤프트, 스테이터 코일, 베어링, 엔코더 등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로봇의 정밀 제어에 필수적인 부품

- 고정밀도, 고속제어, 유연성, 반복성, 에너지 절감 효과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반도체 기술 발달로 가격장벽이 높지 않아 다양한 분야에 사용 중

 * 위치제어가 가능하여 공작기계, 산업용 로봇, 권선장비 등 각종 기계분야에 적용

- 구조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품목으로 베어링 기어 등의 동력전달 제조업에서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에 이르기까지 연관산업에 대해 파급효과가 큰 산업

     


     o 서보모터 가치사슬

[표 1] 서보모터 가치사슬


후방산업

서보모터

전방산업

반도체, 재료, 정밀기계, 프레스금형, 전기

프레스금형, 전기 동력 전달 제조업

공장자동화, 자동차, 의료, 정밀기계, 로봇공학, 항공




     o 서보모터 산업 동향


- 로봇 부품 시장은 ’21년 94억 달러에서 ’30년에는 559억 달러에 달하여 6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첨단로봇의 경쟁력이 지능화 수준, 이동성, 정밀 제어 등에 의해 판가름되면서 부품시장도 급성장 전망. 특히, 로봇의 자율기능이 강화되면서, 인지, 판단, 동작 등을 제어하는 로봇 SW의 중요성이 커지는 추세

 * 로봇 제조에서 SW 비중은 ’17년 23% → ’23년 53%로 지속 상승 전망

- 로봇의 구동부는 서보모터, 감속기, 그리퍼 등 여러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로봇의 동작과 작업 수행을 가능케 하는 핵심 시스템으로, 산업 자동화의 발전, 다양한 산업에서의 맞춤형 솔루션 요구에 따라 지속적인 시장 성장 예상

- 일본의 화낙, 야스카와전기의 경우 각각 정밀가공 기계용 모션제어와 산업용 로봇제어 분야에 월등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서보모터의 기술 개발 가속화


     o 국내 수출액 추이 (’20~’24년)


- ’24년 서보모터의 수출액은 77백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15.0% 감소


[표 2] 수출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천 달러)

 86,138

127,401

119,664

96,646

77,833



   o 국내 수입액 추이 (’20~’24년)


- ’24년 서보모터의 수출액은 77백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15.0% 감소


[표 3] 수입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천 달러)

 222,951

251,968

342,996

329,753

257,431



     o 서보모터 기업 동향


 


국내    

국외

A사

(일) FANUC

B사

(일) MITSUBISHI ELECTRONIC

C사

(미) PARKER HANNIFIN


- (일) FANUC은 1956년에 설립된 일본의 세계적인 로봇 및 자동화 기술 회사로, 산업용 로봇, CNC 시스템 및 공장 자동화 솔루션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로봇의 자율성을 높이고, 고객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

- (일) MITSUBISHI는 192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전자 및 전기 기기 제조업체로, 산업 자동화, 전력 시스템, 전자 기기, 건축 기계 각 분야에서 첨단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함. 고성능 산업용 로봇과 협동 로봇을 통해 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며, 특히 정밀도와 신뢰성을 중시하는 제조업에서 제품 선호도가 높은 편

- 국내 A사는 소형전동기 제작업체로 시작하여 2008년 M&A 이후 서보모터와 모션제어 시스템을 집중 개발하여 자체 기술력을 보유함. 최근 스마트팩토리 확산에 따라 산업용 로봇, 물류자동화용 서보모터 및 드라이브 판매 증가세

- 국내 B사는 고정밀 제어용 서보모터 및 드라이브를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국산화에 성공함. 2005년부터 꾸준히 R&D에 투자하여 자체기술 보유

- 이 외에도 국내 기업의 경우 C사, R사 등이 서보모터를 자체 개발하여 국산화에 성공함


[그림 1] 서보모터 생산기업 현황


*출처: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24 GVC 산업분석 보고서



     o 서보모터 기술 동향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 수립에 따라, ’30년 5대 핵심부품 기술자립화율(44%→80% 이상) 향상을 목표로 원천·응용 기술개발 집중 투자 진행

 * 감속기·서보모터 등은 대량생산의 품질 균일성 확보, 출력밀도 향상 등을 추진하고, 공공硏-수요기업간 협력개발을 통해 상용화로 즉시 연계

최근 서보모터의 개발 방향은 네트워크화, 고속 응답화, 센서의 고정밀화, 고출력화, 소형·경량화 등을 지향 중. 업계 선두기업들은 고효율과 제어성에 개발이 강조되고 있음

로봇용 서보모터의 개발은 복잡한 산업용 로봇의 제어, 응답성 개선을 위해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기반 기술로 하여 제어와 응답성을 강조

속도 및 토크 제어 등에서 요구되는 응답 성능의 고속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 진행

 *서보모터의 고출력화에 대한 수요가 점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냉각방식의 고효율화와 더불어 수십kW급을 넘어 100kW 내외의 서보모터가 개발되고 있음 

 * 경량화를 목표로 구현되는 이러한 방식의 모터는 일반적인 자냉식 구조를 벗어나 강냉식 또는 수냉식 구조를 적용하는 형태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임

CO2 저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산업계에서도 에너지 절약이 대두. IEC에서 모터 효율 등록을 규정한 이래 세계 각국에서도 산업용 모터의 고효율 규제가 확산

* 고효율 모터는 표준 모터 대비 초기 비용은 비싸지만, 운전 비용이 저감되기 때문에 사용하면 할수록 경제적인 이점을 취할 수 있음


     o 출처 및 참고자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24 GVC 산업분석 보고서 및 GIVC 시스템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기술국산화 전략품목 상세분석

관계부처 합동,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발표자료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4~2026 “지능형로봇

언론, 보도자료 및 기업 홈페이지 정보 등


작성: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