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소재·부품·장비 품목 심층분석 – 알루미늄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고태우
  • 기업명 :
  • 2024-12-05
  • 출처 : KOTRA

o 알루미늄 품목 개요

- 알루미늄(Aluminium)은 화학기호 Al로 표기되며, 원자번호 13인 은백색 금속이며, 지구 지각에서 세 번째로

  많이 존재하는 원소이자, 가장 풍부한 금속

* 산소(O2, 46.6%), 규소(Si, 27.7%), 알루미늄(Al, 8.1%), 철(Fe, 5.0%) 順

- 자연 상태에서 순수 금속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 보크사이트(Bauxite), 장석(Feldspar), 운모(Mica) 의 

  광물에서 발견됨

- 유연성, 성형성, 강도, 내구성, 내부식성, 경량성 등 산업·경제적 장점이 있어 자동차, 이차전지, 우주·항공 등

  수송기기 경량화 부품, 건축자재, 산업용 기계부품, 열교환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음


o 알루미늄 가치사슬

[표 1] 알루미늄 가치사슬

원료/부품


중간재


최종재

알루미늄괴

알루미늄 합금

자동차, 이차전지,

항공·우주, 전자기기장비,

철도해양, 건축물 등



o 알루미늄 산업 동향

- ’24년 알루미늄 시장 규모는 약 2,498억 3천만 달러로 추정, ’32년까지 4,032억 9천만 달러에 달할 것로 

  전망됨

-국내 알루미늄 합금 판재 산업은 중간재 수입 후 가공하여 수출하는 형태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공급망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기존 소재 대비 초경량화 및 고기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건설 및 제조업 등에서 지속적으로 수요 증가하고 있음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송기기 경량화 방안으로 가장 의존성이 높은 소재이나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판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중강도 이하: 중국, 고강도: 미국, 일본, 독일 등)


o 국내 수출액 추이 (’19~’23년)

- ’23년 알루미늄 합금의 수출액은 1,984백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22.6% 감소

[표 2] 수출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금액(천 달러)

1,525,031

1,473,279

2,041,647

2,565,791

1,984,676


o 국내 수입액 추이 (’19~’23년)

- ’23년 알루미늄 합금의 수입액은 1,105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8.0% 감소

[표 3] 수입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금액(천 달러)

868,148

835,470

974,083

1,201,493

1,105,963


o 알루미늄 기업 동향


국내

국외

기업명

A사

(러) RUSAL

B사

(영) RIO TINTO

C사

(중) CHALCO


- RUSAL(러시아)은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생산업체 중 하나로,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을 도입하여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국제 제재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생산 및 

 수출 활동에 일부 차질을 겪는 중

- Aluminum Corporation of China Limited(CHALCO, 중국)은 세계 최대 산화알루미늄·전해 알루미늄

 공급업체 및 고순도 알루미늄·알루미늄 양극 생산업체로, M&A(윈난알루미늄 인수, 2022), 해외 설비 

 증대(인도네시아, 연간 1,000만톤 규모) 등 지속적으로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저탄소  

 알루미늄 생산 강화 및 재생에너지 활용을 늘려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을 도입 중

- RIO TINTO(영국)는 알루미늄 사업 부문에서 재활용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20.12월에는 캐나다에서

  알루미늄 재활용 능력을 연간 22,000톤 늘리기 위해 840만 달러 투자

- ALCOA(미국)는 호주, 브라질, 기니, 자메이카, 스페인 등에서 보크사이트 채굴 및 알루미늄 제련 공장을

  운영 중이며, 연간 약 260만 톤의 알루미늄을 생산 중. 또한, 지속 가능한 알루미늄 생산을 위해 Rio

  Tinto社와 함께 온실가스 배출이 없이 산소를 부산물로 배출하는 ‘ELYSIS’ 기술을 도입하여 알루미늄 생산 중

- 국내 A사는 국내 알루미늄 압연 및 재활용 분야 선도기업으로, 영주(연간 34만 톤), 울산(연간 100만 톤)

  규모의 알루미늄 합금 생산 중이며, 연간 10만톤 규모의 재활용 센터 공사 중

- 국내 B사는 연간 12.6만 톤의 알루미늄 판재를 생산하는 알루미늄 압연 전문 생산기업으로, 최근 이차

  전지용 양극박 수요 증가로 2022년 연간 양극박 소재를 연간 4만 톤 규모로 확대하며 사업 다각화

[표 4] 알루미늄 생산량/매장량 현황



o 알루미늄 기술 동향

- (저탄소 알루미늄)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고철 알루미늄 재활용 기술 연구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중이며,

  노르웨이, 중국 등 국가에서 저탄소 알루미늄 생산 중

- (무탄소 양극 기술 개발) Alcoa, Rio Tinto 공동으로 ‘ELYSIS’ 기술을 통해 알루미늄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을 제거하고 산소를 부산물로 생성하는 기술 개발

- (재활용) 노벨리스(Novelis)는 ’22년 220만 톤 이상의 알루미늄을 재활용하고 있으며, 국내 C업체에서도

  연간 10만 톤 규모의 저탄소 알루미늄 시트 잉곳을 생산할 수 있는 재활용 센터 공사 중에 있으며,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mirates Global Aluminium), 크라운홀딩스(Crown Holdings) 등이 알루미늄 재활용

  기술 개발 중

- (고성능 합금 기술 개발) 알루미늄 합금의 개발을 통해 경량화와 강도 향상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며, 이는 항공우주 및 자동차 산업에서의 활용을 촉진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