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희토류 주요 기업 실적 부진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고태우
  • 기업명 :
  • 2024-11-14
  • 출처 : KOTRA

   o 11.3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中 주요 희토류 상장기업 22개사 가운데 17개사의 

      1~9월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했다고 보도 

- 현지 언론은 희토류 가격 감소세 지속 및 다운스트림 분야 수요 부진 등이 中 기업의 매출 

  부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 

출처: 희토재선(稀⼟在线)(’24.11.03), 등 언론보도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11월 1주)




비철금속


中 경기부양책 추진으로 동 가격↑, 中 전기차 시장 확대로 니켈 가격↑


품목

연평균 (U$/)

주간평균 (U$/)

’23

’24.1~10

전년비(%)

10.5

11.1

전주비(%)

8,478

9,173

8.2

9,408

9,410

 0.02

니켈

21,474

17,060

△20.6

15,722

15,931

1.3

아연

2,647

2,729

3.1

3,117

3,011

△3.4

자료원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o (동) 中 경기부양책 추진 및 거래소 재고량 감소세로 전기동 가격 상승압력 발생

中 전국인민대회 상무위원회 회의에서 지방정부 부채 감소를 위해 총 10조 위안 규모 지원 

  결정 

  (니켈) 中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요 상승 기대로 니켈 가격 상승압력 발생

中 최대 전기차 기업인 BYD社의 10월 신에너지차량(NEV) 판매량은 502,657대로 전년 동월 

  대비 66.5% 증가



철강


中 철광석 수입 확대로 철광석 가격↑


품목

연평균 (U$/)

주간평균 (U$/)

’23

’24.1~10

전년비(%)

10.5

11.1

전주비(%)

연료탄

173.32

136.26

△21.4

144.75

143.63

△0.8

원료탄

295.71

249.44

△15.6

202.50

204.60

1.0

철광석

119.32

111.40

△6.6

103.30

104.94

 1.6

자료원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철광석) 주요 생산기업 수출 감소 및 中 철광석 수입 확대로 철광석 가격 상승압력 발생

 (유연탄) 계절성 수요둔화에 따른 가격 소폭 하락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11월 1)




희소금속


기온 하락에 따른 中 생산 감소로 탄산리튬 가격↑


품목

연평균 (U$/)

주간평균 (U$/)

’23

’24.1~10

전년비(%)

10.5

11.1

전주비(%)

페로망간

1,266

1,214

△4.1

1,150 

1,150

 -

탄산리튬

35,697

12,945

△63.7

10,154 

10,479 

3.2

수산화리튬

37,972

11,922

△68.6

9,594

 9,597

-

코발트

(U$/lb)

17.82

16.46

△7.6

15.50

15.50

-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330,258

262,718

△20.5

248,300

 247,500

△0.3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78,383

55,160

△29.6

60,550

60,550

-

자료원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탄산리튬) 中 최대 리튬 매장지 칭하이성의 기온 하락에 따른 공급량 감소로 전주 대비 

   가격 상승세 지속

 o  (페로망간) 시장 약세에도 불구, 中 합금 수요 증가 및 높은 원료 공급가액으로 톤당 1,150달러 가격

   대 형성

 o  (희토류) 미얀마의 군사적 충돌에 따른 희토류 수급 불안에도 불구, 수요 약세 이어지며 가격 

    하락세 





에너지


OPEC+ 증산 계획 연기, 허리케인發 공급 차질로 원유 가격↑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3

’24

전년비(U$/bbl)

10.5

11.1

전주비(U$/bbl)

두바이유

82.10

80.72

△1.38

72.10

73.73

 1.63

브렌트유

82.17

80.96

 △1.21

72.27

75.29

 3.02

WTI

77.60

 76.79

△0.81

 68.39

 71.88

 3.49

자료원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원유) ▲OPEC+ 증산 계획 추가 연기, ▲허리케인發 원유 공급 차질로 유가 상승압력 발생

  했으나, 美 달러화 가치 상승 및 美 원유 재고 증가 등은 유가 상승 폭 제한 요인으로 작용

11.4일(현지시간) 사우디·러시아·이라크·쿠웨이트·카자흐스탄·알제리·오만 등은 약 220만 b/d 

  규모의 자발적 감산 완화 개시 시점을 1개월 추가 연장하는 것에 합의

美 안전환경집행국(BSEE) 발표에 따르면 11.7일(현지시간) 기준 허리케인 Rafael의 영향으로

  美 멕시코만 원유 생산량의 약 22.4%가 생산 중단

11.1일(현지시간) 美 상업 원유 재고는 4억 2,765.8만 배럴로 전주 대비 214.9만 배럴 증가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