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텅스텐 공급망 동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고태우
  • 기업명 :
  • 2024-10-31
  • 출처 : KOTRA


텅스텐은 원자번호 74에 해당하는 희소금속으로, 금속 중 녹는점(3,400℃)이 가장 높으며 고밀도, 고경도, 높은 전도도, 높은 내마모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텅스텐 합금은 기계 가공, 광산 채굴,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전기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제와 현대 국방 분야에서 재생 및 대체가 불가능한 전략적 금속 자원 중 하나다. 텅스텐 부존량이 풍부한 중국의 텅스텐 동향을 알아보자


    o 텅스텐 공급 동향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3년 全 세계 텅스텐 광석 부존량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한 

       440만 톤이며, 그 중 중국의 텅스텐 광석 부존량은 230만 톤이다. 중국은 全 세계 부존량의 52.3% 비중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텅스텐 보유국이다.


[그림 1] 金 세계 텅스텐 부존량 현황

- 중국은 텅스텐 광석의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3년 全 세계 텅스텐 광석 생산량은 

   7만 8,000톤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그 중 중국의 생산량은 6만 3,000톤으로 全 세계 생산량의 80.8%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 러시아, 북한의 생산량은 각각 全 세계 생산량의 4.5%, 2.6%, 2.2%의 비중을 차지했다.


[그림 2] 金 세계 및 중국 텅스텐 광석 생산량 현황



     o 텅스텐 채굴 쿼터 

- 중국은 전략물자 관리와 자원보호를 위해 ’02년부터 텅스텐 광석에 대한 지역별 채굴 쿼터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23년 

  중국 텅스텐 광석 채굴 쿼터는 11만 1,000톤(WO3(산화텅스텐) 65% 함유)으로 전년 대비 2,000톤 증가했다. 그러나 지속 

  증가세를 이어오던 채굴 쿼터는 ’24년 1차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중국 자연자원부가 할당한 ’24년 1차 텅스텐 광석 채굴 

  쿼터는 6만 2,000톤으로 ’23년 1차 대비 1,000톤 감소했다. 이는 광산의 품질 하락, 정부의 엄격해진 환경보호 관리 등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3] 중국 텅스텐 광석 채굴 쿼터 및 생산량 현황



- ’24년 1차 채굴쿼터의 지역별 할당량을 보면, 장시성에 2만 3,670톤으로 가장 많이 할당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후난(15,530톤), 허난(7,050톤), 윈난(3,960톤), 광둥(2,616톤), 광시(2,400톤), 푸젠(2,238 톤), 간쑤(1,254톤), 네이멍구(1,200톤), 산시(780톤), 신장(582톤), 헤이룽장(340톤), 후베이(180톤), 저장(100톤), 안후이(100톤) 순이다. ’23년 1차 대비 헤이룽장, 안후이, 저장성 할당량이 각각 800톤, 100톤, 100톤 감소되었으며, 그 외 지역은 전년도 1차와 동일 수준이다


[그림 4] 텅스텐 소비구조


- 중국 원자재 시장 조사업체 바이인포(BAIINFO)에 따르면, ’23년 중국 텅스텐광, 텅스텐철, APT (파라텅스텐산암모늄, 텅스텐 

  주요 중간원료) 소비량은 각각 10만 1,995톤, 8,080톤, 9만 4,792톤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 35%, 20% 감소했다.


     텅스텐 수출 동향

- 중국은 텅스텐의 최대 수출국이나, 정부에서 허가한 업체만이 수출이 가능하다. ’24~’25년 텅스텐 수출 가능한 업체는 

  전년 대비 1개 감소한 15개 업체이다. ’15년부터 텅스텐에 대한 수출쿼터제와 수출관세 철폐로 ’16년부터 수출량은 점차 

  증가세를 보이다 ’18년 최고점을 찍은 후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으며, ’23년 산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52.3% 감소한 

  2,699톤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탄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18.7% 감소한 4,433톤을 기록했다. 

- ’23년 중국 화텅스텐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러시아, 이스라엘, 한국, 이탈리아로 상위 5개국으로의 수출비중은 87%를 

   차지했다. 상위 5개국 중 對러시아 수출량이 전년 대비 536.7% 급증하였으며, 그 외 4개국으로의 수출량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 했다. ’23년 對韓 산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73.9% 감소한 358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13.3%를 차지했다


[표 1] '21~'23년 中 산화텅스텐(HS Code:2825.9012 수출 동향

순위

국가명

수출량(톤)

점유율(%)

'23년 수출액 증감률(%)

'21년

'22년

'23년

'21년

'22년

'23년

金 세계

5,578

5,660

2,699

100.0

100.0

100.0

△52.3

1

일본

1,162

1,073

700

20.8

19.0

25.9

△34.8

2

러시아

50

80

512

1.0

1.4

19.0

536.7

3

이스라엘

720

760

490

12.9

13.4

18.2

35.5

4

한국

1,687

1,371 

 358

30.3

24.2

13.3

△73.9

5

이탈리아

580

700

300

10.4

12.4

11.1

△57.1


- ’23년 중국 탄화텅스텐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한국, 독일, 미국, 네덜란드로 상위 5개국으로의 수출 비중은 91%를 차지했다. ’23년 對韓 탄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1,323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29.9%를 차지했다.


[표 2] '21~'23년 中 탄화텅스텐 HS code: 28499020) 수출동향

순위

국가명

수출량(톤)

점유율(%)

'23년 수출액 증감률(%)

'21년

'22년

'23년

'21년

'22년

'23년

金 세계

5,691

5,452

4,433

100.0

100.0

100.0

△18.7

1

일본

2,124

1,797

1,341

37.3

33.0

30.2

△ 25.4

2

한국

1,632

1,273

1,323

28.7

23.3

30.0

4.0

3

독일

866

922

692

15.2

16.9

15.6

24.9

4

미국

504

549

550

8.9

10.1

12.4

0.2

5

네덜란드

21

60

132

0.4

1.1

3.0

120


텅스텐 산업의 밸류체인 텅스텐 산업사슬은 업스트림(상류)인 자원 채취, 중류의 제련, 다운스트림(하류)의 가공 단계로 나뉜다. 중류인 제련단계의 주요 제품은 APT(파라텅스텐산암모늄, Ammonium Paratungstate), 산화텅스텐, 등이 포함되며, 가공단계의 주요 제품은 텅스텐 합금, 특수강, 경질합금 등이 포함된다.


     전망 및 시사점 

- 중국은 全 세계 텅스텐 공급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텅스텐은 기계, 항공, 자동차, 철강, 전력, 에너지 등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핵심광물이자 대중 수입의존도가 높은 제품으로 공급망, 가격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아울러, 미국의 중국産 텅스텐 품목 관세 인상으로 중국의 대응 조치 및 우리 기업에 대한 영향 모니터링도 중요하다. 지난 

  5월 14일 미국 무역대표부가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조치에 텅스텐 품목도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중국 

  관련 업계 관계자는 베이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중국산 텅스텐 품목에 대해 현재 2.8%~25%의 관세를 품목별로    부과하고 있으나, 이를 ’25년~’26년에 전체 25%로 일괄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업스트림 부문인 채굴 단계에서는 중국 국내 광산기업의 기술은 기본적으로 세계 선진적 수준을 대표하고 있으며, 미드스트림 부문의 파우더 제조 단계 관련 기업의 기술은 외국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으나 품질 및 기술력 향상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다운스트림 부문인 가공 단계에서 중국의 고품질 제품 가공 기술은 아직 성숙하지 못해 고성능, 고정밀도의 고급 경질합금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