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일의 對中 반도체 규제와 중국 맞불 규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미국
  • 전혜윤
  • 기업명 :
  • 2023-04-13
  • 출처 : KOTRA

미국은 對中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22.10) CHIPS Act 보조금 지원에 따른 가드레일 조항 규칙 개정안을 발표(’23.3)했으며, 이후 일본·네덜란드가 반도체 수출통제에 동참하면서 중국도 반도체 규제 맞불에 나서 본격적인 ·반도체 분쟁 심화가 우려된다.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자.

□ 미국·일본, 對中 반도체 규제 타임라인

구분

세부 내용

’22.10

상무부, 미국산 첨단반도체 장비의 對中 수출 금지 고성능 첨단반도체·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 등 수출 제한 조치 발표(’22.10.7) 인사이트 31호 참고

* 규제 항목: 18nm 이하 D,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 FinFET 혹은 GAAFET 등 비평면 트랜지스터 구조의 16nm 로직 반도체 및 14nm 이하 로직 반도체 기술 및 생산 장비

 

-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통제(10.7~), 중국 제조시설 지원 금지(10.12~), 첨단 컴퓨팅 및 슈퍼컴퓨터 관련 수출통제(10.21~) 시행

 

- 28개 중국기업을 해외직접생산규칙(FDPR)에 따른 수출거래제한명단(Entity List)에 등재하여 엄격히 수출 통제

’23.1

일본·네덜란드, 미국의 대중국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 수출통제 협력에 합의(’23.1.27)
인사이트 46호 참고

’23.2

상무부, CHIPS Act 보조금($527) 상업용 제조시설 지원($390) 관련 지급 계획 발표(2.28) 인사이트 49호 참고

* 주요 내용: 대중경쟁, 친노동 정책, 기업 활동 투명성 강화 등

 

- $1.5억 이상 수혜 시 연방정부에 초과 수익 일부 지급 조항10년간 우려국 내 반도체 설비 증설 제한 및 우려국과의 연구 및 기술 면허 허가 제한 등 가드레일 조항 포함

’23.3

상무부, 반도체 보조금 지원에 따른 우려국 투자·R&D 제한 규칙인 가드레일 조항 규칙 개정안 공지(3.21) 인사이트 51호 참고

* 주요 내용: 우려국 내 첨단 생산설비 확정 제한 기준, 우려국 내 레거시(구형) 반도체 생산시설 확장 제한 기준, 일부 반도체 국가 안보 중요 품목으로 지정, 산업안보국(BIS) ’22.10월 수출통제 강화, 우려국 관련 단체와의 공동 연구 및 기술 면허 허가 제한 등 5가지 항목으로 구분

 

일본, ’23.7월부 외환법의 하위 규정을 개정해 반도체 노광장치, 세정·검사 장치 등 23개 품목에 대한 수출 규제 도입 발표(3.31) 인사이트 52호 참고

 

 

□ 중국의 반격, 반도체 규제 맞불

1) 중국, 희토류 자석 기술 수출 금지 검토

- 4.5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2.12월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에 대한 의견수렴을 ’23.1월에 마치고 올해 이를 시행 예정이라고 보도

- 핵심은 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 수출금지 항목 11에 규정된 희토류 제련·가공·활용 기술, 희토류 추출·분리 기술, 희토류 금속 및 합금 재료 생산기술, 사마륨코발트·네오디뮴철붕소·세륨 자성체 제조기술, 희토류 붕산산소칼슘 제조기술 등 포함

 ㅇ 네오디뮴 자석은 네오디뮴(Nd)을 붕소, 철과 결합해 만든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영구자석으로, 전기차·로봇·항공기 모터·스마트폰 등에 핵심 부품으로 사용

 ㅇ 사마륨 코발트 자석은 사마륨과 코발트의 합금으로 만든 영구자석으로, 내식성·내열성이 뛰어나 항공우주, 항공, 의료, 레이더 분야에 활용

* 세계시장 점유율(%): (네오디뮴 자석) 중국(84%), 일본(15%), 기타(1%) / (사마륨 코발트) 중국(90%), 일본(10%)

TIP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 개요

,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 의견수렴 진행(’22.12.30~’23.1.28) 원문링크(클릭)
* 목록 발표시기: (1) 2001.12(2) 2008.9(3) 2020.8(4) 의견수렴 완료 후 올해 시행 예정

()은 총 139개 항목으로 대외 기술이전이 금지되는 수출금지기술 24와 사전에 상무주관부처 수출허가 취득이 필요한
수출제한기술 115로 구성
* 식품가공 및 일반 기계·소재·제품 기술 수출규제는 완화하고, 태양광·바이오 등 첨단분야 및 희토류 관련 기술 수출통제 강화

중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검토 , 일부 언론 중국 태양광 웨이퍼 기술 수출 제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보도한 바 있지만(’23.1), 기술 수입 수요는 크지 않아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 인사이트 44호 참고

 

2) 중국, 마이크론 제품 대상 사이버 안보 심사 착수

-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산하 인터넷안보심사판공실은 메모리 반도체업체 마이크론(Micron)의 중국 내 판매제품에 대한 인터넷 사이버안보 심사 시행을 공고(’23.3.31)

 ㅇ 당국은 핵심 정보 인프라 및 네트워크 보안 강화를 위해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보안법네트워크 보안법에 근거네트워크 보안 검토 조치에 따라 중국 내 판매 중인 마이크론 제품의 보안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

 ㅇ 마이크론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약 11%(33억 달러)로 크지 않으나, 미국 내 유일한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업으로서 중국 수입 규제로 인한 피해 상당할 전망

* 주요 반도체 기업 매출에서 시장 비중: Qualcomm(64%), Broadcom(35%), Intel(27%), AMD(22%), Nvidia(21%), Micron(11%) (출처: 블룸버그(’23.4.6))

- 현지 언론에 따르면, 기존 마이크론메모리를 구입하던 기업이 삼성, 하이닉스 등 외자기업이나 창장메모리, 창신메모리 등 기업의 경쟁제품으로 구매를 전환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마이크론경쟁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반도체 메모리 분야 국산화 및 자주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 반면, 언론중국의 외국 기업을 겨냥한 해외투자, 개방거래 시스템 및 관련 시장의 신규 제재에 대해 우려 중이며, -중 반도체 분쟁 심화 속 업계 불안 고조 심화 전망


작성: 글로벌공급망실, KOTRA, 참고: 중국 상무부(’22.12.30), KOTRA 베이징·워싱턴무역관 자료 종합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