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광물 공급망 이슈와 주요국의 광물 확보전략 1편 - 한국무역협회 박가현, 「주요국의 핵심광물 확보전략과 시사점」보고서 요약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전문가
- 전세계
- 정유나
- 기업명 :
- 2023-01-12
- 출처 : KOTRA
-
◈ 각국의 탄소중립 목표달성, 첨단산업 확대로 핵심광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핵심광물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핵심광물의 주 활용처와 수급이슈, 주요국의 광물 확보 정책을 알아보자.1. 핵심광물의 활용
□ 핵심광물은 신재생에너지 및 미래 첨단산업의 필수 원료로 가치사슬 단계에서 최종 소비자에 가까워질수록 부가가치가 커지고* 국가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
* ’16년 미국에서 사용된 희토류 가격은 6.1억 달러에 불과했으나 정유, 석유화학, 반도체 등 주요 산업에 활용되며 총 4,900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
< 핵심광물 주요 활용처 >
태양광
배터리
풍력터빈
방위산업
항공기
게르마늄, 인듐, 텔루륨,
코발트, 흑연, 리튬, 망간
알루미늄, 희토류
크로늄,갈륨,스칸듐
니오븀, 탄탈럼,바나듐
자료 : GAO(2022)
□ (전기차 및 배터리)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과 모빌리티 산업 발달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전기차 및 배터리용 광물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
* ’21년 전체 자동차 판매 부진에도 불구 전기차 판매는 전년도의 두 배 수준인 660만대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전기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광물 사용량이 6배에 달하며 사용 광종도 다양해 전기차 관련 광물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며, 배터리 광물 또한 2040년 광종별로 3배에서 42배까지 증가할 전망
< 내연기관 및 전기차 광물 사용량 비교 >
< 2040년 전기차 관련 주요 광물 수요전망 >
단위 : kg/vehicle
주 : 2020년=1
자료 : IEA
자료 : IEA
□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국제적 노력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친환경에너지 장비의 핵심 소재인 광물의 수요 또한 크게 늘어날 전망
- 1M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에는 구리, 아연, 크로뮴, 니켈 등 총 15톤의 광물이 사용되며(석탄발전 대비 6.2배), 전력망 구축에도 알루미늄, 구리, 몰리브덴 등 다양한 광물이 필요
□ (방위산업) 각국 방위산업에서 핵심광물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제품의 성능 향상과 기동력 제고에 기여하며 대체가 어려움
- EU는 방위산업용 광물은 주로 고성능 합금이나 특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되며 이를 위해 높은 순도와 정밀가공이 불가피하여 민간 부문보다 공급망 위험이 더 크다고 지적
2. 핵심광물의 수급이슈
□ (수급불안 및 가격변동 심화) 신흥국 경제발전 및 산업구조 고도화로 원자재 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팬데믹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가격 변동성과 수급 불안이 확대됨
- 신흥국·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및 금속집약적 산업의 확대로 세계 원자재 수요는 ’11년 790억톤에서 ’60년에는 1,670억톤으로 2배 이상이 될 전망이며, 특히 중국의 경제발전은 광물수요 급증의 주요인임
ㅇ ’22년 초 리튬 및 니켈 가격은 2021년 1월 대비 각각 738%, 94% 상승했으며, 비철금속 가격지표인 LME 지수는 5000대를 돌파하며 최고치를 경신
□ (생산·가공의 특정국 편중) 핵심광물의 자원 편재성 및 소수국가에 집중된 생산·가공시설이 공급 리스크를 가중시키고 있음
- (생산) 배터리 생산의 필수 광물인 코발트, 흑연, 리튬 생산의 50% 이상이 한 개 국가에서 이루어지며, 기타 주요 광물 약 70%도 3개국 이내에서 생산되고 있음
- (가공) 대부분의 광물 분리, 정‧제련이 중국에서 이루어져 생산보다도 공급의 집중도가 큰 상황
< 주요 광물의 3대 생산국 >
< 주요 광물의 3대 가공국 >
자료 : IEA(2022)
자료 : IEA(2022)
□ (신규 광산개발 부진) 자원탐사 및 신규광산 개발 노력에도 불구 낮은 채굴 성공률, 환경오염 우려로지역주민과의 갈등을 빚는 등 신규 생산 불확실성이 증폭
- 광산 탐사에서 채굴까지 통상 15~20년이 소요되며, 초기발견부터 시운전까지 도달할 확률은 매우 낮음
ㅇ 2011년 美 기술 광물 연구소의 희토류 개발프로젝트 조사결과, 30개국 180여개 기업에서 진행한 275개의 프로젝트 중 2021년 4월 생산에 진입한 프로젝트는 4개로 10년간 성공률은 1.5%에 불과
□ (자원민족주의 강화) 자원 보유국들은 원자재를 자국의 정치·경제적 지렛대로 활용하기 위해 국유화를 단행하고 수출을 통제
- 배터리 원자재의 가치가 높아지며 중남미 등 자원 생산국을 중심으로 국유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자원 보유국들이 자국내 공급물량 확보 및 정부수입원 확충 등을 위해 수출을 통제하는 사례가 늠
ㅇ ’22년 멕시코는 리튬산업 국유화 법안을 통과시키고 국영 리튬회사를 설립, 인도네시아는 ’22년 보크사이트, ’23년 구리 원광 수출중단 계획을 발표
작성: 산업분석실,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