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주요국 원자력발전 산업동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전세계
- 하선영
- 기업명 :
- 2022-11-17
- 출처 : KOTRA
-
◈ 최근 EU Taxonomy(녹색산업분류체계)에 원자력이 포함되고 러-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에너지 시장 불안정성이 확대되면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원전 진출 가능성이 높은 유망 국가들을 중심으로 주요국 원자력 산업 동향에 대해 살펴보자
<주요국 원전 동향>
32호: 미국·러시아·독일
33호: 중국·프랑스·영국
36호: 폴란드·체코·이집트
☐ 폴란드
- (현황) 폴란드는 ’33년까지 최초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현재 90% 이상인 석탄화력발전 의존도를 낮추고 러시아에 대한 석유·가스 의존도를 줄이고자 함
ㅇ 2021년 폴란드의 총 발전량은 180.6TWh이며 발전원별 비중은 석탄 70%, 가스 11%, 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지열) 11%, 바이오매스 5%, 수력 2%, 석유 1%임
- (주요 정책) ’21.2월 폴란드 정부는 에너지 정책(PEP2040)을 채택하여 탄소배출 저감과 전력공급 안정성 제고를 위해, ’43년까지 총 6~9GW 규모의 원자로 6기 건설(’33년 1~1.5GW규모 원자로 1호기 최초 가동, ’43년까지 2~3년마다 추가로 나머지 원자로 건설) 계획을 발표함
ㅇ PEP2040은 ’30년까지 최종 에너지소비 중 재생에너지원 비중을 23%로 확대(연안 풍력에너지 설비용량 ’30년 5.9GW, ’40년 최대 11GW 도달 예정)하고, 석탄 의존도를 56%로 감축(’20년 기준 72%)하는 등의 목표 설정
- 주요 이슈
① ’22.10.28일 Mateusz Morawiecki 폴란드 총리는 美 웨스팅하우스를 자국 최초 원전 1단계 사업자로 선정. 폴란드 정부에 따르면 건설승인은 ’25년, 착공은 ’26년, 상업운전은 ’33년으로 예상됨
② 폴란드의 국영ㆍ민간기업은 해외 국가들과 SMR 개발 및 보급을 위한 협력을 활발히 추진함
ㅇ (미국) ’22년 6월 폴란드 국영 에너지기업 Enea는 미국 SMR 스타트업 기업 Last Energy와 초소형 SMR(20MW, PWR, 설계수명 42년) 공동 개발 및 폴란드 내 보급을 위한 의향서를 체결함
ㅇ (루마니아) ’22년 9월 폴란드 광산·제련업체 KGHM Polska Miedz와 루마니아 원전 운영사 Nuclearelectrica는 NuScale SMR에 관한 프로젝트 개발(462MW, 총 6기 모듈)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함
ㅇ (캐나다) ’22년 10월 폴란드 화학기업 Synthos Green Energy는 캐나다 원전운영사 OPG의 자회사 Laurentis Energy Partners와 폴란드 내 SMR 개발·보급을 위한 포괄적 협력계약을 체결함
☐ 체코
- (현황) ’22.11월 기준 Dukovany 원전과 Temelín 원전에서 총 6기(3,934MW, PWR)를 가동 중이며 Dukovany 원전(1~4호기, 1,878MW, PWR)에 추가로 1,200MW급 원전을 건설하기 위해 ’22.3월 입찰 개시
ㅇ ’21년 체코의 총발전량은 84.9TWh으로 이 중 원자력은 36%, 석탄 39%, 수력 4%, 태양광 2% 차지
- 주요 정책
① 체코는 ’20.1월 EU에 제출한 국가 에너지·기후계획(NECP) 최종본에서 ’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05년 대비 30% 감축하겠다고 밝혔으며, 총발전량에서 원자력 비중을 ’16년 29%에서 ’40년에는 46~58%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함
② ’21.9.28일에는 Milos Zeman 대통령이 신규 원자로 건설을 지원하는 신규 법안인 ‘저탄소에너지 이행법안’에 최종 서명하여 해당 법이 발효됨. 이 법을 통해 체코는 저탄소 전력 확보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추진해 체코의 에너지 자립을 도모할 방침임
③ ’22.1.7일 체코 연립정부는 원자력과 분산형 재생에너지를 주요 전원으로 구성하고 ’33년까지 단계적으로 석탄을 폐기하는 정부 프로그램 성명서를 발표함
④ 체코 중저준위방폐물은 3개 처분장(Richard, Dukovany, Bratrstvi)에서 처리 중임. 고준위방폐물은 심지층 처분 방식을 검토 중이며, 관련 계획에 따르면 ’25년 부지 결정 후 ’50년 착공, ’65년 완공 목표
- 주요 이슈
① 체코 정부가 Dukovany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면서 올해 3월 EC에 통보한 3가지 재정지원책이 EU의 국가보조금 규정을 위반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유럽연합 집행위(EC)가 6.30일 조사에 착수함
② 올해 9.14일 독점규제청(UOHS)은 ’90년 체코의 민주화 후 민영화된 Skoda 그룹의 부실 경영으로 인해 ’04년 러시아 엔지니어링 그룹 OMZ에 매각되었던 前 Skoda 그룹의 계열사 Skoda JS를 체코전력공사 ČEZ가 인수하겠다는 계획을 승인했다고 발표함
③ ČEZ는 Temelín 원전에 SMR 건설을 목적으로 자회사 ÚJV Řež 및 남보헤미아 주정부(South Bohemian government)와 남보헤미아주 원자력 단지 조성을 추진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함
④ ČEZ는 5.27일 원자력안전청(SÚJB)으로부터 Temelín 2호기(1,029MW, PWR)의 계속운전을 위한 인허가를 취득했다고 발표함
☐ 이집트
- (현황) 이집트는 정부간 협정을 바탕으로 ’17.12월 러시아와 원전건설 계약을 체결한 이후, ’22.7월 이집트 북부에 VVER-1200 4기로 구성된 El Dabba 원전(총 4,800MW, PWR) 1호기를 착공함
ㅇ ’20년 이집트의 총발전량은 201.7TWh로 가스 78%, 석유 11%, 수력 6.5%, 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지열) 3.8% 비중 차지
- 주요 정책
① 이집트에서는 급속한 인구 증가와 활발한 산업 활동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집트 정부는 정전 위험 방지와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발전 설비 다양화를 포함한 에너지 계획을 수립함
② ’16.10월 이집트 에너지 최고위원회(Supreme Council of Energy)는 ‘ ’35년 이집트 에너지 전략(Egyptian Energy Strategy until 2035)’을 채택하여 ’35년 재생E 47%, 원자력 3% 발전량 비중 설정
③ ’21.7월 이집트 원자력발전청(Nuclear Power Plants Authority, NPPA)은 ’30년까지 이집트 원전 비중을 8%로 확대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 원전 추가 건설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 (주요 이슈) ’22.7.20일 Mohamed Shaker 이집트 전력재생에너지 장관과 Alexei Likhachev 러시아 Rosatom CEO가 참석한 가운데 El Dabba 1호기(1,200MW, PWR) 콘크리트 타설과 착공식이 개최됨
ㅇ 한편, ’22.8.25일 한국수력원자력이 러시아 Rosatom의 자회사인 Atomstroyexport JSC(ASE JSC)와 El Dabba 원전 2차측 건설 계약을 체결하면서 El Dabba 원전의 터빈 건물 등 80여 개의 구조물 건설과 관련 기자재 공급을 담당하게 됨
작성: 에너지경제연구원 미래전략연구팀 | 참고: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원전시장 인사이트(2022.11.04) 재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