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핀란드 양자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오인제
- 2025-04-21
- 출처 : KOTRA
-
유럽을 선도하는 핀란드 양자산업
"양자 기술전략 2025-2035" 초안 발표... 30억 유로 매출, 14억 유로 투자, 1만 개 일자리 창출 목표
산업특성
핀란드는 560만의 적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극저온 기술, 초전도 기술, 알고리즘 개발, 칩 설계 등 양자산업 생태계를 잘 갖추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 소수 국가만이 보유한 양자 컴퓨터 제작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핀란드의 양자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과 EU 프로그램과의 협력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5년 1월 말 핀란드 정부는 ‘핀란드 양자기술 전략 2025-2035 (Suomen kvanttiteknologiastrategia 2025-2035)’ 초안을 발표하고, 양자기술 생태계의 선도적 위치 강화와 양자기술을 활용한 산업고도화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또한 CSC – IT Center for Science를 통해 유럽의 국가들과 고성능컴퓨터(HPC, High-Performance Computer) 생태계를 조성하고, EU 반도체법(EU Chips Act)을 활용한 양자센터(Kvanttinova) 구축 및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핀란드 양자기술 전략
핀란드의 양자기술 전략 초안은 양자기술을 국가 경제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아 2035년까지 세계적 리더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전략에서 핀란드 정부는 양자 컴퓨팅, 양자키분배(QKD), 양자센싱,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등 양자산업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양자 기술 전략 초안은 2035년까지 양자 기술 산업에서 30억 유로의 매출과 14억 유로의 투자, 그리고 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의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총 8개의 실행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8개의 실행전략은 ① 양자역량센터 운영 ② 컴퓨팅 인프라 구축 ③ 양자컴퓨터 및 부품 개발을 위한 환경 조성 ④ 양자암호화 기술 도입 ⑤ 장기적 양자 RDI 계획 수립 ⑥ 기업들의 글로벌 성장 지원 ⑦ EU를 포함한 국제협력과 영향력 강화 ⑧ 국가적 조정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양자 생태계 홍보로 구성돼 있다.
양자역량센터 운영 전략을 통해서는 양자연구 인력 확보와 기업의 양자기술 활용 능력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30년까지 매년 120명의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을 유치하고, 1200명의 해외 인재를 유치하며, 200명의 인력을 해외에 파견하는 등 인력양성과 교류에 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또한 350개의 기업 또는 공공기관에 양자기술에 대한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서는 내결함성 양자컴퓨터 개발과 실제 산업 적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글로벌 5위에 해당하는 HPC, AI, 양자컴퓨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업 세제혜택을 통해 양자컴퓨터와 HPC 사용을 촉진할 예정이다. 또한,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개발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핀란드 과학기술한림원, Business Finland 등을 통해 기업을 지원하고, EU 등과 협력해 공동프로젝트 등을 추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부터 Aalto 대학교, 헬싱키 대학교 등 7개 대학이 5년 과정의 양자 석박사 통합과정에 90명의 학생을 유치해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고, VTT 등 국책연구소와 IQM 등 기업이 공동으로 2025년 유럽 최초 50큐비트 양자 컴퓨터를 공개하며 선도적 지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EU와 긴밀히 연계해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핀란드의 CSC – IT Center for Science는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폴란드 등과 공동으로 유럽 내 AI 고성능컴퓨터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2022년 LUMI 슈퍼컴퓨터와 IQM의 양자컴퓨터를 원격으로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와 함께 EU Chips Act의 Chips Joint Undertaking(Chips JU) 프로그램으로 양자센터 건설을 추진 중으로 완공 시 양자기술연구개발 허브로 운영될 예정이다.
<핀란드 양자기술 전략>
[자료: 핀란드 양자기술 전략 2025-2035 초안]
주요 기업 및 기관
핀란드 양자 산업은 학계, 연구기관, 스타트업, 민간 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환경을 형성하며, EU 프로그램과 핀란드 양자 플래그쉽(FQF, Finnish Quantum Flagship) 등 다양한 협력체계를 통해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은 양자컴퓨터를 생산하는 IQM Quantum Computers다. IQM은 2025년 유럽 최초의 5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했고, 핀란드, 독일,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 각국의 연구기관 등과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2월 말, 한국 충북대의 충북양자연구센터는 IQM의 5큐비트 양자컴퓨터를 도입해 IQM과 협력을 시작했다. Bluefors는 양자컴퓨터 운영에 필수적인 극저온 냉각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 IBM, Google 등에 장비를 공급하며, QuantrolOx 등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양자 제어 소프트웨어와 오류 보정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 핀란드 양자산업 주요 기업 및 기관 >
구분
기업/기관명
홈페이지
특징
기업(HW)
IQM
www.meetiqm.com
유럽 최대 양자컴퓨터 제조사
Bluefors
www.bluefors.com
극저온 냉각 시스템개발,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IBM, Google 등 고객)
Vexlum
www.vexlum.com
양자 컴퓨터 및 광학 원자 시계용 반도체 레이저 개발
SemiQon
www.semqion.com
반도체 기반 양자 프로세서 개발
Arctic Instruments
www.arcticinst.io
초전도TWPA 증폭기 개발, 양자 컴퓨터 하드웨어 부품 제조
기업(SW)
Algorithmiq
www.algorithmiq.fi
양자 알고리즘 개발(Aurora 플랫폼)
Quanscient
www.quanscient.com
클라우드 기반 양자 시뮬레이션 플랫폼
QuantrolOx
www.quantrolox.com
Quantum EDGE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소 및 교육기관
VTT Technical Research Centre
www.vttresearch.com
300 큐비트 양자 컴퓨터 개발, 저온물리학 및 양자암호통신 등 기초 및 응용기술 연구
CSC – IT Center for Science
www.csc.fi
LUMI 슈퍼컴퓨터와 양자 컴퓨터 하이브리드 환경 구축, 연구 인프라 제공
Aalto University
www.aalto.fi
양자 기술 연구(20큐비트 컴퓨터 개발), InstituteQ 운영
Finnish Quantum Flagship 참여
University of Helsinki
www.helsinki.fi
Finnish Quantum Flagship 참여
Tampere University
www.tuni.fi
Finnish Quantum Flagship 참여
협력
네트워크
InstituteQ
www.instituteq.fi
양자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Finnish Quantum Flagship 주관
인재 양성(QDOC) 프로그램 주관 등
Business Finland
www.businessfinland.fi
Quantum Campaign 등 하이브리드 컴퓨팅 및 양자기술 개발 지원 프로그램 운영
[자료: 각 사 홈페이지 및 KOTRA 헬싱키 무역관 자체 조사]
양자컴퓨터 시장 규모
양자컴퓨터 시장은 아직 구체적으로 통계가 잡히지는 않고 있으며, 품목분류도 명확하지 않지만 관련 자료를 통해 대략의 시장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핀란드 주요 양자컴퓨터 업체들의 매출액을 집계한 시장 규모는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3년 매출액 합계는 181만 유로로 전년 대비 22.5% 성장했다. 하드웨어를 제조하는 Bluefors, IQM, Vexlum 등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기업들도 2023년부터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해 시장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핀란드 주요 기업 매출액 추이>
(단위: 백만 유로)
2021년
2022년
2023년
합계
108.3
147.9
181.2
Bluefors
105.3
136.5
162.1
IQM
2.6
10.5
16.9
Vexlum
0.4
0.9
1.8
Algorithmiq
-
-
0.3
Quanscient
-
0.0
0.1
SemiQon
-
-
-
Arctic Instruments
-
-
-
QuantrolOx
-
-
-
[자료: www.finder.fi]
양자컴퓨터는 아직 명확한 품목분류가 돼 있지는 않지만, IQM의 양자컴퓨터 등은 자동 데이터 처리 기계 및 그 장치인 HS코드 8471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4년 핀란드의 HS8471 수출액과 수입액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72억2000만 유로와 74억5000만 유로를 기록했다. 수출과 수입 모두 스웨덴, 독일 등 인근 유럽 국가와의 교역이 가장 많았으며, 수출대상국 중 유럽에 속하지 않은 국가 중에선 미국이 3위, 중국이 5위를 차지한 점이 눈에 띈다.
<핀란드 HS 코드 8471 수출 동향>
(단위: 백만 유로, %)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순위
전체
81,885
18.8
76,362
-6.7
72,210
-5.4
1
스웨덴
8,879
24.8
8,145
-8.3
8,143
0.0
2
독일
9,520
4.0
8,045
-15.5
8,122
1.0
3
미국
7,782
67.1
8,493
9.1
6,968
-18.0
4
네덜란드
6,031
38.8
6,267
3.9
5,640
-10.0
5
중국
4,039
11.4
3,562
-11.8
3,512
-1.4
6
벨기에
2,873
24.4
2,499
-13.0
2,558
2.4
7
에스토니아
3,560
48.0
2,813
-21.0
2,519
-10.4
8
폴란드
2,504
24.6
2,617
4.5
2,456
-6.2
9
노르웨이
2,286
30.9
2,265
-0.9
2,353
3.9
10
영국
2,930
14.5
2,566
-12.4
2,353
-8.3
24
한국
982
28.7
786
-20.0
703
-10.5
[자료: 핀란드 관세청]
<핀란드 HS 코드 8471 수입 동향>
(단위: 백만 유로, %)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순위
전체
92,469
26.8
76,849
-16.9
74,480
-3.1
1
스웨덴
15,731
27.8
13,106
-16.7
12,766
-2.6
2
독일
13,377
9.2
11,936
-10.8
11,344
-5.0
3
네덜란드
8,069
22.6
6,846
-15.1
6,918
1.0
4
노르웨이
6,142
296.8
5,865
-4.5
5,157
-12.1
5
중국
4,547
45.7
3,441
-24.3
3,709
7.8
6
벨기에
2,672
19.8
2,924
9.4
2,826
-3.3
7
덴마크
2,640
12.9
2,616
-0.9
2,746
5.0
8
폴란드
3,056
26.1
2,701
-11.6
2,677
-0.9
9
에스토니아
3,697
40.0
2,991
-19.1
2,628
-12.1
10
미국
2,964
114.1
2,826
-4.7
2,512
-11.1
25
한국
470
-0.5
506
7.7
487
-3.8
[자료: 핀란드 관세청]
핀란드 정부는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양자컴퓨터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17억3000만 유로의 투자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중 9억1000만 유로는 VTT가 30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을 위해 2027년까지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고, 300만 유로는 Aalto 대학교의 20큐비트 양자컴퓨터 구매에 활용될 예정이다. 나머지 7900만 유로는 양자센터 구축에 사용될 예정이다. 그 외 Business Finland 및 핀란드 과학기술한림원(Research Council of Finland)에서도 RDI 및 R&D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SWOT 분석
S (Strengths) 강점
W (Weaknesses) 약점
- 극저온 물리학 및 반도체 등 탄탄한 연구기반
- 강력한 산학협력 생태계
- Bluefors, IQM 등 경쟁력을 갖춘 산업생태계
-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전문인력과 투자 규모
O (Opportunities) 기회
T (Threats) 위기
- EU의 양자컴퓨터 육성 전략
- 핀란드 정부의 양자육성 의지
- 지정학적 긴장 고조에 따른 안보기술 수요 증가
- 미국, 중국 등과의 기술 패권 경쟁
- 우수 인력의 해외유출 우려
시사점
핀란드는 극저온 기술 등 양자컴퓨터에 필수적인 기술에 대한 연구 전통과 주요 기업들을 결합해 글로벌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Bluefors, IQM 등 이미 글로벌 리더의 위치에 있는 기업들뿐만 아니라, 스타트업과 연구소, 대학 등을 포함한 산업 생태계 확장에 힘쓰고 있다. 핀란드 정부는 양자기술 전략 초안을 통해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양자산업 국가가 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2023년 양자산업을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해 관련 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있어 양국 간 협력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는 핀란드의 하드웨어 기업들이 뚜렷하게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나, 양자컴퓨터의 스케일업 등에 필요한 반도체 기술과 양자컴퓨터의 적용에 필요한 보안기술, 네트워크 기술 등 SW 분야에서도 한국과의 기술협력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부터 우리나라가 준회원으로 참여하는 EU의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 기업들과 연구소 등 기관들도 핀란드와의 교류 기회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자료: 핀란드 고용경제부, finder.fi, Bluefors 등 각 기업 홈페이지, Institute Q 유관기관 홈페이지, KOTRA 헬싱키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핀란드 양자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핀란드 원전 산업 정보
핀란드 2024-03-26
-
2
핀란드 전자상거래 시장동향
핀란드 2021-07-20
-
3
핀란드 2차 전지 산업
핀란드 2021-07-15
-
4
핀란드 제약산업
핀란드 2021-07-14
-
5
핀란드 조선해양산업
핀란드 2021-07-12
-
6
핀란드 기계 산업
핀란드 2021-06-21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