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포르투갈 재생에너지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포르투갈
- 리스본무역관 오유진
- 2025-03-19
- 출처 : KOTRA
-
2024년 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이 총 발전량의 76.2% 차지
전력망 인프라 강화 및 에너지 저장 분야 개선 필요
포르투갈 에너지 산업 개요
포르투갈은 태양광, 풍력, 수력 발전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활용이 활발한 국가로, 재생에너지 관련 다음과 같은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관련 주요 목표
● 2030년까지 총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 비율을 51%로 확대
●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체 전력의 80%로 증가
● 2050년까지 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 달성
●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2005년 대비
- 2030년까지 55% 감축
- 2040년까지 65~75% 감축
- 2050년까지 90% 감축
포르투갈은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의 성장을 가속해 전체 재생 가능 에너지 설치 용량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저비용 재생 전력 생산 역량을 활용해 그린 수소 산업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포르투갈 에너지 관측소(Observatório de Energia)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재생에너지원 발전소의 설치 용량은 65.6% 증가한 반면, 비재생 에너지원 발전소의 설치 용량은 약 28.1% 감소했다.
2024년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된 전력은 4만3980GWh로, 이는 수입에너지 포함 총 발전량의 76.2%에 해당하는 수치다.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재생에너지원 발전설비의 총 설치 용량은 2만798MW에 달했으며, 이 중 분산형 발전(Decentralized Production)이 재생 발전 설비의 12.3%를, 수력 및 풍력 기술이 전체 설치 용량의 68.5%를 차지했다.
재생에너지 산업 수급현황
① 에너지 생산 현황
포르투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재생에너지원은 2024년 전체 전력 생산량의 42.2%를 차지한 수력 발전이었으며, 그 뒤를 풍력 발전(32.9%)과 태양광 발전(16.1%)이 차지했다. 기타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는 바이오매스(6.9%), 도시 고형 폐기물(1.4%), 바이오가스 및 지열(0.5%)이 있다.
<2024년 포르투갈 에너지 생산 비율>
(단위: %)
[자료: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 2024년 12월 기준]
한편 포르투갈의 재생에너지 연간 생산량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5년 2만5514GWh에서 2024년 4만3980GWh로 증가하면서 10년간 72.3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기상 조건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음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에너지원에서 일관된 생산량 증가를 보이진 않았다.
<2015~2024년 포르투갈 재생에너지 연간 생산량 추이>
(단위: GWh)
[자료: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 2024년 12월 기준]
에너지원별로 살펴보면, 우선 포르투갈의 수력 발전으로 비롯된 전력 연간 생산량은 10년동안 7632GWh에서 1만8570GWh로 크게 증가했는데,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선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 및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포르투갈은 2023년 기준, 유럽연합(EU) 내에서 7번째로 큰 수력 발전 전력 생산국으로 평가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스웨덴, 오스트리아, 독일에 이어 수력 발전 생산량이 높은 국가로 자리 잡은 바 있다.
포르투갈의 풍력 에너지 생산량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면서 10년동안 1만1608GWh에서 1만4453GWh로 증가했다. 풍력 발전소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및 풍력 터빈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풍력 에너지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풍력에너지는 포르투갈의 에너지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 정부 및 민간 부문의 금융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 풍력 터빈 기술 발전으로 인한 효율성 향상 및 비용 절감 등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EU 국가별 풍력 발전 전력 생산 용량>
(단위: MW)
[자료: EUROSTAT, 2025년 1월 기준]
유럽 내 풍력 에너지 시장에서 독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포르투갈은 유럽에서 10번째로 큰 풍력 에너지 생산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포르투갈의 태양광 에너지 생산량은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여 지난 10년 동안 799GWh에서 7098GWh로 급증했다. 이러한 성장은 태양광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태양광 기술의 광범위한 채택에 기인하며, 태양광 패널 기술 발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에너지 시스템의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포르투갈의 태양광 발전에서 민간 발전 사업자의 역할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Expresso에 따르면, 전체 태양광 발전량 중 54.8%가 전통적인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되며, 37.1%는 자가 소비를 위한 소규모 발전 설비에서 생산된다. 자가 소비형 발전 시스템은 주로 현지에서 소비할 전력을 생산하는데, 초과 생산된 전력은 전력망에 공급될 수 있다. Tourism of Portugal에 따르면 포르투갈은 연평균 300일 이상의 일조량을 기록하는 국가로, 태양광 발전에 유리한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 자료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설치 용량은 2015년 463MW에서 2023년 5664MW로 증가했으며, 설치 용량 기준 1123% 성장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세금 감면, 보조금, 정부 지원 정책 등의 영향으로 더욱 가속화됐다.
<2023년 EU 국가별 태양광 발전 전력 생산 용량>
(단위: MW)
[자료: EUROSTAT, 2025년 1월 기준]
태양광 에너지 생산량의 경우에도 유럽에서 독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포르투갈은 태양광 발전량 기준 유럽 내 12번째로 큰 생산국이다. 포르투갈은 유럽 평균보다 더 많은 일조량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 확대의 여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포르투갈은 2025~2030년 기간에 육상 및 해상 풍력과 태양광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할 예정이며, 태양광 발전 용량은 8.4GW에서 20.8GW로, 육상 풍력은 6.3GW에서 10.4GW로, 해상 풍력은 0.03GW에서 2GW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현재 아라냐스 풍력 발전단지와 해상 풍력 프로젝트 다수가 진행되고 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혁신 기금, 유럽 호라이즌, InnovFin 에너지 시범 프로젝트, RRP 등 EU 기금을 포함한 여러 자금이 사용될 예정이다.
<PNEC 2030 목표 달성을 위해 추진된 주요 프로젝트>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명
참여기관
풍력
Windfloat Atlantic Project
Ocean Winds, Tokyo Gas
태양광
Alqueva Floating Solar Plant
EDP
태양광
Ourika Solar Farm
Allianz Capital Partners
그린수소
H2 Enable
Bondalti
* 주: 대다수의 프로젝트는 기완공, 그린수소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
[자료: Windfloat, EDP, Bondalti 웹사이트 및 Portal Energia]
② 에너지 소비 동향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24.3%였던 재생에너지 소비 비중이 2023년 34.9%까지 증가했다. 즉, 지난 8년 동안 43.6% 성장할 정도로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2024년 7월, 포르투갈 정부는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5%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최종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기존의 47%에서 51%로 상향하겠다고 목표를 조정한 바 있다.
<2015~2023년 포르투갈의 재생에너지 소비 비중>
(단위: %)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소비 비중 (%)
29.4
33.2
27.6
31.2
30.1
32.9
34.0
32.3
34.8
[자료: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 2024년 12월 기준]
2023년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중 포르투갈은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한 국가 7위에 올랐다.
<2023년 EU 국가별 재생에너지원 최종 소비 비중>
(단위: %)
[자료: EUROSTAT, 2025년 1월 기준]
③ 수출입 동향
재생에너지 분야 주요 제품인 태양광 패널, 풍력터빈, 풍력 타워 등의 포르투갈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태양광 패널(HS Code 854143)의 경우, 2023년 기준 수입액은 12억1133만 달러, 수출액은 6억2847만 달러를 기록해 수입이 수출의 2배 정도 규모였다.
중국은 포르투갈의 최대 태양광 패널 수입대상국으로, 2023년 전체 수입량의 83% 이상을 차지했으며, 중국의 시장 점유율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유럽 내 주요 공급국 중 스페인은 2.51%로 소폭 증가했으며, 덴마크(+59.89%), 프랑스(+204.75%), 스위스(+86.60%) 등이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으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반면, 독일(-47.04%)은 거의 절반 수준으로 수입량이 감소했고 네덜란드 및 이탈리아 또한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즉, 태양광 패널 수입 시장은 중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유럽 국가들은 엇갈린 성장세를 보였다.
<포르투갈 태양광 패널(HS Code 854143) 수입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2022
2023
2022
2023
전 세계
1,242,464,321
1,211,334,396
100.00
100.00
-2.51
1
중국
999,966,121
1,005,880,672
80.48
83.04
0.59
2
스페인
162,296,641
166,374,152
13.06
13.73
2.51
3
독일
33,067,043
17,511,714
2.66
1.45
-47.04
4
네덜란드
16,556,316
11,942,621
1.33
0.99
-27.87
5
덴마크
4,004,193
6,402,210
0.32
0.53
59.89
6
프랑스
461,762
1,407,208
0.04
0.12
204.75
7
이탈리아
611,266
468,368
0.05
0.04
-23.38
8
스위스
246,272
459,532
0.02
0.04
86.60
9
아랍에미리트
-
358,920
-
0.03
-
10
홍콩
2,343,027
235,108
0.19
0.02
-89.97
26
대한민국
-
58
-
0.00
-
*주: '-' 표시는 Global Trade Atlas(GTA)에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음을 의미함.
[자료: GTA, 2025.2월]
풍력 터빈(HS Code 850231)의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2023년 기준 포르투갈의 풍력 터빈 수출액은 762만9506달러로, 수출이 수입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했다. 그러나 풍력 터빈 수입량은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3년에 전년 대비 74.14% 감소하는 등 변동을 보였다.
덴마크가 포르투갈의 최대 풍력 터빈 공급국으로 전체 수입량의 60.02%를 차지했는데, 덴마크는 2020년 이후 스페인을 대체해 최대 공급국이 됐으나, 2023년 포르투갈로의 수출이 71.45% 감소했다. 반면, 독일(+481.28%)과 스페인(+405.95%)에서의 터빈 수입이 급증했다. 반면, 태양광 패널과 달리 풍력 터빈(HS Code 850231)에서 중국산 풍력 터빈 수입은 크게 감소했다.
<포르투갈 풍력 터빈(HS Code 850231) 수입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2023년
점유율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2019
2020
2021
2022
2023
전 세계
440,593
7,464,135
14,627,272
21,636,502
5,594,212
100.00
-74.14
1
덴마크
82,931
205,520
12,224,439
11,761,252
3,357,826
60.02
-71.45
2
독일
-
-
166,721
194,386
1,129,920
20.20
481.28
3
스페인
303,816
21,278
1,273,984
194,162
982,360
17.56
405.95
4
중국
40,805
7,229,760
893,273
4,017,445
85,990
1.54
-97.86
5
튀르키예
4,899
6,685
21,945
35,055
35,059
0.63
0.01
6
미국
-
-
-
-
2,275
0.04
-
7
영국
-
-
1,996
212
779
0.01
267.82
8
대만
-
-
-
-
2
0.00
-
9
호주
1,536
-
-
-
-
-
-
10
벨기에
-
-
-
1,705,948
-
-
-
*주: '-' 표시는 Global Trade Atlas(GTA)에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음을 의미함.
[자료: GTA, 2025년 2월 기준]
풍력 발전 타워(HS Code 730820) 관련해서 2023년 포르투갈의 수입량은 2022년 대비 109.87% 증가했으나, 2023년 기준 수출액은 1억7813만 달러, 수입액은 5246만 달러를 기록해 수입보다 수출이 많은 상태를 유지했다.
해당 품목 관련해선 스페인이 2023년 전체 수입량의 74.11%를 차지해 포르투갈의 최대 공급국인 것으로 확인됐다. 스페인산 풍력 발전 타워 수입량은 2023년 전년 대비 101.70% 증가했다. 한편, 한국산 풍력 발전 타워의 포르투갈 수입량은 2023년 전년 대비 177.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로 CS WIND사 제품 수입에 기인한 것이다. 기타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급성장한 공급국으로는 튀르키예(+1050.61%), 독일(+3587.72%) 네덜란드(+1072.13%)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포르투갈의 공급망이 다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산 제품의 수입이 급격히 반등해 2022년 대비 346.39% 증가하고, 전체 시장 점유율 15.53%를 차지하면서 중국이 두 번째로 큰 공급국으로 부상했다.
<포르투갈 풍력 발전 타워(HS Code 730820) 수입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2023년
점유율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2019
2020
2021
2022
2023
전 세계
8,416,762
21,238,265
15,992,829
25,000,430
52,467,778
100.00
109.87
1
스페인
1,249,656
5,177,079
8,382,643
19,278,954
38,884,852
74.11
101.70
2
중국
978,554
3,653,093
3,384,747
1,825,510
8,148,820
15.53
346.39
3
튀르키예
-
30,506
50,732
299,233
3,443,006
6.56
1050.61
4
대한민국
5,868,359
6,552,244
2,987,187
265,675
737,846
1.41
177.72
5
독일
183,537
5,381,842
34,515
18,843
694,874
1.32
3587.72
6
이탈리아
107,826
-
337,132
1,017,365
198,358
0.38
-80.50
7
인도
-
-
-
-
173,212
0.33
-
8
네덜란드
-
10,953
12,668
10,132
118,756
0.23
1072.13
9
벨기에
-
-
-
33,626
53,618
0.10
59.45
10
영국
-
-
40,296
57,472
7,554
0.01
-86.86
*주: '-' 표시는 Global Trade Atlas(GTA)에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음을 의미함.
[자료: GTA, 2025년 2월 기준]
재생에너지 산업 특성: 관련 정책
① 기후법 및 2050 탄소중립 로드맵
2021년 12월 31일 승인된 포르투갈 기후법(Lei de Bases do Clima)은 기후 행동을 위한 공공 정책의 목표, 원칙 및 의무를 통합하고, 기후 정책에 대한 새로운 조항을 수립했다. 이 법은 기후 정의 실현, 온실가스(GHG)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순환 경제 촉진 등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에 따르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85~90% 감축하고, 나머지 배출량은 토지 이용 및 산림을 통해 상쇄해야 한다. 정부 당국은 이를 위해 단계별 감축 목표를 설정했으며, 2005년과 비교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45~55%, 2040년까지 65~75% 감축할 예정이다. 또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림과 기타 토지 이용을 통한 탄소 흡수 능력을 강화하는 것과 더불어 전력 생산 시스템 및 도시 모빌리티의 완전한 탈탄소화, 에너지 및 자원의 사용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 재생에너지원에 기반한 경제 전환, 순환 경제 모델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성 강화, 국토 가치 상승 및 지역 간 균형 발전 촉진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② 국가 수소 전략(EH-N2) 및 바이오메탄 실행 계획
국가 수소 전략(National Hydrogen Strategy, EH-N2) 및 바이오메탄 실행 계획은 포르투갈 정부에서 에너지 효율성 강화, 탄소중립 실현 및 지속 가능 발전을 목표로 추진하는 정책의 대표적인 사례다.
EH-N2는 2019년 7월 발표됐으며, 2050년까지 천연가스 네트워크 및 발전소의 탈탄소화, 운송 및 산업 부문의 탄소 감축 기여를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특히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주요 세부 목표는 설치된 수소(H₂) 생산 용량 확대, 수소 기반 차량(승용 및 화물) 확대, 50~100개의 수소 충전소 건설, 전해조(Electrolyzer) 설치 용량 2~2.5GW 구축 등이다.
바이오메탄 실행 계획(Biomethane Action Plan, PAB, 2024~2040년)은 2024년에 승인됐으며, 포르투갈 내 바이오메탄 시장 개발을 위한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략을 마련했다. 이 계획은 바이오메탄을 온실가스(GHG) 감축, 국가 경제의 탈탄소화, 산업 및 가정 부문의 천연가스 수입 감소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운송 부문에서도 바이오메탄의 활용을 추진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포르투갈 국내 천연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③ 국가 에너지 및 기후 계획 2030 (PNEC 2030)
2024년에 선출된 포르투갈 신정부는 환경 및 에너지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으며, PNEC 2030은 2021~2030년 기간 주요 에너지 및 기후 정책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다만 2024년에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2030년까지 55% 감축하고, 2030년까지 최종 총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 가능 에너지 비율을 51%로 확대하는 것으로 목표를 변경한 바 있다, 이 계획은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하며, 유럽연합(EU)의 에너지 연합 및 기후 행동 거버넌스 규정에 따라 모든 회원국이 유럽위원회(EC)에 통합 에너지 및 기후 계획을 제출해야 하는 의무를 반영하고 있다.
포르투갈 에너지총국 자료에 따르면, 포르투갈의 탄소 배출량은 2005~2022년 기간 34.9% 감소했으며, 이러한 감축의 주요 원인으로는 천연가스 사용 증가, 재생에너지 생산 및 소비 확대, 2021년 석탄 발전 중단, 건설업에서의 지속 가능한 자재 및 장비 도입 확대 등이 꼽혔다.
유럽연합(EU) 기준으로 포르투갈은 1인당 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낮은 국가 5위를 기록했다.
<2022년 EU 국가별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단위: 톤/명)
[자료: EUROSTAT, 2025년 1월 기준]
재생에너지 산업 특성: 주요 기업 현황
포르투갈에서는 여러 에너지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EDP Renováveis, Galp, Endesa(스페인) 등 대형 에너지 기업들은 풍력, 태양광, 수력 발전 등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포르투갈 재생 에너지 산업에 참여하고 있다.
<포르투갈 주요 재생에너지 기업>
기업명
설립연도/
본사 위치
주요 사업 분야
홈페이지
비고
EDP –
Energias de
Portugal1976/Lisbon
전력 생산 및 공급, 재생 가능 에너지(태양광·풍력), 수소, 전기 모빌리티, 가스
- 포르투갈 최대 에너지 기업, 29개국 진출
- EDP Renewables와 프랑스 ENGIE가 공동 설립한 Ocean Winds를 통해 한국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 참여
Finerge
1996
/Matosinhos재생 가능 에너지
(태양광·풍력)- 포르투갈 2위 규모의 재생 가능 에너지 생산 기업
포르투갈·스페인 내 여러 프로젝트 운영
Galp Energia
1999/Lisbon
석유·가스, 전력
생산 및 공급, 재생 가능 에너지(태양광·풍력), 수소- 포르투갈·스페인에서 다수의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 운영
Mohvera
2020/Porto
재생 가능 에너지
(수력 발전)- 포르투갈 내 2위 규모의 수력 발전 포트폴리오 보유
- 프랑스 ENGIE, Crédit Agricole Assurances, Mirova 간 컨소시엄 구성
Greenvolt
2021/Porto
재생 가능 에너지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에너지 저장 솔루션- 18개국에서 사업 운영
The Navigator Company
1957/Lisboa
제지·펄프 생산, 산림 관리, 재생 가능 에너지 (바이오매스)
- 포르투갈 최초의 바이오매스 기반 전력 생산 기업
- 포르투갈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50%를 생산해 자사 공장 및 국가 전력망에 공급
[자료: 각 기업 공식 웹사이트]
포르투갈에서 현재 추진 중인 주요 풍력 발전 프로젝트로는 아라냐스(Aranhas) 풍력 발전단지와 해상 풍력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와 관련해 외국기업 중에서는 스페인의 Iberdrola, Endesa와 영국의 Nadara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아라냐스(Aranhas)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는 스페인 기업 엔데사(Endesa)가 수주했고, 6억 유로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져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2021년 폐쇄된 석탄 화력 발전소를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통합 저장 설비 및 녹색 수소 생산용 전해조로 변환할 예정으로, 이 전환이 이루어지면 포르투갈은 유럽 최대 저장 배터리를 보유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스페인 기업 이베르드롤라(Iberdrola)도 포르투갈 해안에서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며, 이탈리아 Renantis와 영국 Ventient Energy의 합병으로 설립된 영국의 Nadara는 포르투갈 내 40개의 풍력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포르투갈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대표적인 한국 기업 CS WIND는 포르투갈을 유럽 및 북미 해상풍력 시장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하면서 글로벌 해상풍력 산업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관련 주요 이슈
① 에너지 저장에 대한 수요 증가
포르투갈은 재생에너지 성장을 위해 에너지 저장 솔루션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포르투갈 재생에너지 협회(APREN)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필수 요소로, 재생 가능 에너지원을 전력망에 통합하고, 전력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탈탄소화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전력 수요와 공급 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리튬이온 배터리와 양수 발전과 같은 기술을 활용해 전력 생산량이 높은 시간대에 초과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활용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2024년 7월 포르투갈 환경 기금은 전력망 유연성과 에너지 저장을 촉진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공고를 발표한 바 있다. 총 9975만 유로 규모로, 2025년까지 최소 500MW의 에너지 저장 용량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EU 복구·회복 탄력성 계획(RRP)에 따라 송전망·배전망과 연계된 다양한 저장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②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및 금융 지원 문제
한편,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의 재무 건전성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APREN은 투자자들이 신규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금융 지원을 받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보유한 태양광 프로젝트 포트폴리오가 매우 방대해, 낮 시간대 태양광 발전량 증가로 인해 도매 전력 시장에서 전기 가격이 거의 0에 가까워지는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 때문인데, 이로 인해 미래 수익성이 낮아질 위험이 있으며, 부채 상환을 위한 재원 마련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력 소비 증가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태양광 발전 용량을 추가적으로 확대하는 것은 경제적 관점에서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즉, 그린 수소 투자, 전기 모빌리티 확대, 데이터센터 구축 증가 등을 통해 전력 소비 증가를 유도해야 추가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생에너지 기술은 초기 투자 비용이 상당히 크며, 특히 소규모 프로젝트나 개인 투자자들은 공공 보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재생에너지는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일부 투자자들은 기술 변화 속도로 인해 미래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느끼고 있다. 아울러 포르투갈 내 복잡한 행정 절차와 송전망 접근 및 프로젝트 허가 지연으로 인해 일부 개발 프로젝트가 지연되면서 금융 지원 및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관심이 저하될 위험도 있다.
③ 수소 프로젝트 성장이 직면한 과제
포르투갈의 수소 프로젝트는 실행 과정에서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에너지 규제 당국(ERSE)은 경제적 타당성 및 기존 에너지 시스템과의 통합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는데, 특히 기존에 승인된 프로젝트 중 일부가 보조금 지원을 받지 못하고 무산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실행 가능성이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일례로 포르투갈에서 수소 및 바이오메탄 프로젝트 26건이 약 2억4500만 유로의 지원을 신청했으나, 실제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포르투갈 시네스(Sines) 항구에서 독일과 네덜란드를 연결하는 '그린 수소 회랑'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지만, 기술적 준비 수준, 규제 프레임워크, 생산 및 운송 인프라 구축을 위한 대규모 투자 필요성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진출전략
SWOT 분석
강점(Strengths)
-높은 재생에너지 생산 비중(76.2%) 및 성장 가능성 (2025년까지 80% 비중 달성 목표)
-정책적 의지와 강력한 규제 환경
(국가 에너지 및 기후 계획 2030(PNEC 2030), 국가 수소 전략 등)-다양한 재생에너지원(수력, 풍력, 태양광 등) 활용을 통한 균형 잡힌 에너지 포트폴리오
-태양광 발전의 급성장
- EU 내 1인당 순 온실가스 배출량이 5번째로 낮은 국가
약점(Weaknesses)
-에너지 저장 능력의 한계
-재생에너지 산업의 숙련 노동력 부족
- 에너지 프로젝트의 높은 초기 투자 비용(정부 인센티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및 개인 투자자에게는 여전히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음)
기회(Opportunities)
-해상 풍력 프로젝트 개발 잠재력 보유
-수소 생산 확대 가능성(천연가스망의 탈탄소화 및 수소 활용 확대 가능성)
-배터리 저장, 스마트 그리드, AI 기반 에너지 관리 기술 발전 가능성
-EU 규정 준수
위협(Threats)
-기후 변화에 따른 변동성
-타 유럽 국가들과의 투자유치 경쟁 심화 가능성
-세계 경제 불안정성 (미국 신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수익성 저하 위험)
유망 분야
① 해상 풍력 프로젝트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의 2024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포르투갈은 2024년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용량 기준 상위 5개국 중 하나로 선정돼 해상 풍력 발전 관련 잠재력이 높은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포르투갈은 지리적으로 긴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고 풍속을 활용한 해상 풍력 발전에 적합한 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이점이 있으며, 포르투갈 정부는 ‘해상 재생 가능 에너지 구역 지정 계획(PAER)’을 승인해 9.4GW의 설치 가능 지역을 확정한 바 있다 (2025년 2월 기준). 환경·에너지부 장관 Maria da Graça Carvalho 발표에 따르면, 해상 풍력 발전 입찰이 올해 시작될 예정이며, 2030년까지 2GW의 해상 풍력 발전소를 설치하고자 한다.
또한, 포르투갈은 세계 최초의 반잠수식 해상 풍력 발전소인 Windfloat Atlantic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상 풍력 관련 공동 사업, 기술 이전, 포르투갈의 부유식 풍력 터빈 기술 공유 등 산업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② 전력망 인프라
포르투갈은 재생에너지 통합을 위해 국가 전력망 확장과 강화에 투자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에 6억1100만 유로 규모의 국가 송전망(RNT) 확장 및 개발 투자를 승인한 바 있다. 또한, ‘국가 전력망 개발·투자 계획(PDIRT-E 2024)’을 통해 2034년까지 16억9150만 유로를 투자할 계획을 수립했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 목표로는 수요가 높은 지역의 전력망 연결 용량 확보, 신규 태양광 발전소의 전력망 통합 강화, 초고압 전력망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신규 변전소 건설 및 기존 변전소 업그레이드를 위한 변압기, 차단기 등 품목의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포르투갈의 전력망 확장과 재생에너지 발전소 증가에 따라 HS코드 853710에 해당하는 제어 시스템, 배전반, 모니터링 장비, 충전 컨트롤러, 제어 패널 등의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장비는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와 국가 전력망 간의 안정적인 연결을 지원하고, 송배전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즉,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확대에 따라 관련 장비의 시장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③ 에너지 저장 솔루션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와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구현은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포르투갈은 그리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저장 솔루션을 도입해 왔으나, 여전히 추가적인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포르투갈 환경 및 에너지부는 2025년 말까지 국가 전력망에 최소 500MW 규모의 에너지 저장 용량을 설치하기 위한 투자를 발표했다.
특히 기존 수력 발전소를 양수 발전소로 전환하면 추가 저수지 건설 없이도 저장 용량을 확대할 수 있어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높은 효율성과 장기 방전 용량을 제공하는 대규모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양수 발전과 배터리 기술 개발을 통해 재생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하고, 배터리 성능 및 수명을 최적화하는 핵심 기술의 발전이 요구된다.
④ 수소 분야
포르투갈 내 수소 공급망 구축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핵심 수전해 장비(전해조), 운송 및 저장 탱크, 수소 분배 장치 등 유망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선 관련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르투갈은 2030년까지 5GW 규모의 수소 생산 능력을 확보해 유럽 내 녹색 수소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수소 기술 개발과 생산 및 공급망 구축을 중심으로 협력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가 공동 설립한 '그린 에너지 회랑'은 유럽 내 주요 지역에 태양광·풍력 기반의 전기를 공급하는 재생에너지 전송 인프라 프로젝트인데, 이 회랑을 활용하면 생산과 공급이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대기업과의 합작 투자(JV)나 기술 협력을 통해 그린 수소 프로젝트 구축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특히 그린 수소 저장 및 운송을 위한 첨단 솔루션을 보유한 기업들의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STAT, 포르투갈 에너지총국(DGEG), 포르투갈 에너지청(APA), 포르투갈 재생 가능 에너지 협회(APREN), GTA, 포르투갈 공화국 관보(DRE), 포르투갈 관광청(Tourism of Portugal), Expresso, KOTRA 리스본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포르투갈 재생에너지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포르투갈 화장품 산업 정보
포르투갈 2024-04-22